전국향토문화유적 207 페이지 > clubrichtour
rus.clubrichtour
rus
Туристические достопримечательности
Объекты культуры
Фестивали/Мероприятия/Выступления
Досуг/Спорт
Проживание
Шоппинг
Питание
Транспорт
메인
Объекты культуры
Фестивали/Мероприятия/Выступления
Досуг/Спорт
Проживание
Шоппинг
Питание
Транспорт
0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지역
시/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시/군/구
키워드
통합검색
번호
제목
1580
충청북도 > 청주시
묵정사
고령신씨 문중의 6분 선조를 모신 사당
848
2020.12.22
1579
충청북도 > 청주시
고령신문효열각
신우권의 처 열녀 파평윤씨 효열을 기리기 위한 정려각
840
2020.12.22
1578
충청북도 > 청주시
보성오씨 삼기문중재실
보성오씨 삼기 문중 재실임
810
2020.12.22
1577
충청북도 > 청주시
충신사
1887년 이민핵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사당임
828
2020.12.22
1576
충청북도 > 청주시
이민핵 충신각
이인좌의 난때 공을 세운 완산이씨 이민핵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795
2020.12.22
1575
충청북도 > 청주시
가좌리 석조약사여래좌상
청주지역 불교문화와 약사여래 신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848
2020.12.22
1574
충청북도 > 청주시
김용호부부 효열각
1894년 경주김씨 김용호와 그의 처 진주하씨의 효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801
2020.12.22
1573
경상북도 > 의성군
의성병락정
1930년 근대 건축물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건축물로 지속적인 보수와 관리가 필요한 상태이나, 건물의 규모, 구조, 평면구조, 가구의 짜임 등 현존하는 경북일원 근대기 재실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음. 근대 건축물이기는 하지만 문화재지정기준의 최소연한은 충족 하고 있으며, 기 지정된 건축물의 건축연도와 차이가 없음.
866
2020.12.10
1572
경상북도 > 의성군
의성영모재
1740년에 이건되었다고 하지만 이 보다는 늦은 시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여지지만, 18세기 재실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문중의 지속적인 관리로 인해 보존상태가 매우 좋음. 지붕가구의 결구수법, 창호의 짜임 등 전통건축수법의 전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문중의 관심이 지대하고 보존상태 양호 향후 도지정문화재로 승격추진하여도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유적임
912
2020.12.10
1571
경상북도 > 의성군
의성모화재
본체 기단과 부속건물, 마당에 현대식으로 보수 수리되었으나 건물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문중의 보존관리 의지가 확고 함. 본체와 부속건물 일부 변형이 이루어 졌으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고, 성주이씨문중의 의성 입향에 대한 상징적인 건물로 의성군문화유산으로 지정하여 보호할 가치가 있음.
854
2020.12.10
1570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제주애말방아-잣동네말방아
말방아’란 말을 이용하여 도정하는 연자방아의 제주도 말이다. 제주 애월 말방아가 있는. 애월읍 하가리는 제주의 전형적인 중산간 마을이다. 이 마을의 말방아가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1950년대까지 말방아가 널리 사용되었다고 한다.
866
2022.06.13
1569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제주 방선문
방선문(訪仙門)은 ‘신선이 사는 곳으로 들어가는 문’. ‘신선이 사는 영산 즉 한라산으로 오르는 곳’ 이라는 의미가 있는 명소로서 영주 12경 중의 하나인 영구춘화의 장소로 알려진 경승지이다.
837
2022.06.13
1568
경상남도 > 의령군
용사일기목판
이 목판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송암 이노(1544∼1598)가 쓴 전쟁일기를 새긴 것이다.
839
2021.12.08
1567
경상남도 > 의령군
의령 중교리 석조여래좌상
1925년 석곡리 미륵골의 옛 절터에서 출토되어 이곳에 옮겨 놓은 2구의 불상으로, 발견 당시는 머리 부분과 팔, 무릎 등이 손상을 입고 있었으나 지금은 복원하였다. 덩쿨무늬와 불꽃무늬가 새겨진 배(舟)모양의 광배(光背)와 연꽃무늬가 새겨진 8각의 대좌(臺座) 또한 신라시대의 특징이다.
841
2021.12.08
1566
경상남도 > 의령군
정암철교
정암철교는 1935년 철골트러스교로 준공되었으나 6.25전쟁으로 파괴된 후 1958년 남아있던 2개의 경간을 그대로 살려 상부는 철골트러스 형식으로 재건하면서, 완전히 파괴된 부분은 새로운 교각을 세워 7개의 경간을 지닌 철근콘크리트 T형 보로 재건하였음. 경남 의령군과 함안군을 연결하는 교량으로서 경남 서부지역 교통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교량으로 가치가 있음.
827
2021.12.08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정렬
검색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Category
추천여행코스
전국캠핑장정보
전국명소갤러리
전국둘레길
한국민속신앙사전
전국지역특화거리
전국시티투어정보
전국문화축제
전국도시공원정보
전국농어촌체험휴양마을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
전국향토문화유적
전국공연행사정보
전국휴양림
전국길관광정보
전국가로수길정보
전국전통시장
전국관광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