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향토문화유적 267 페이지 > clubrichtour
rus.clubrichtour
rus
Туристические достопримечательности
Объекты культуры
Фестивали/Мероприятия/Выступления
Досуг/Спорт
Проживание
Шоппинг
Питание
Транспорт
메인
Объекты культуры
Фестивали/Мероприятия/Выступления
Досуг/Спорт
Проживание
Шоппинг
Питание
Транспорт
0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지역
시/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시/군/구
키워드
통합검색
번호
제목
680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정의현 객사 전패
‘전패’는 객사(客舍)에 모신 왕을 상징하는 일종의 위패로. 정의현 객사 전패는 현재 제주도에 남아있는 유일한 전패다. ‘제주계록(濟州啓錄)’ 등의 사료에 의하면 정의현 객사 전패는 1847년(헌종 13) 6월에 제작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832
2022.06.13
679
경상남도 > 창원시
창원 다호리고분군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분묘유적
828
2022.06.28
678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영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불감
해당 불감(佛龕)은 불상의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으로부터 1692년 조각승 단응(端應). 탁밀(卓密). 보웅(普雄). 종인(宗印) 등에 의해 제작된 것임이 확인된다.
829
2022.06.13
677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병와 이형상 관련자료탐라장계초
1702년(숙종 28) 이형상 제주목사 재임 중 조정에 장계를 올렸던 내용만을 추려서 별도의 책으로 정리해 놓은 것으로. 마정(馬政)의 실태와 이를 개혁하고자 하는 개혁안 및 실천사항. 오미자 진상과 관련한 내용. 풍운뇌우단에 대한 내용 등이 수록되었다.
798
2022.06.13
676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병와 이형상 관련자료 남환박물
1714년(숙종 40) 이형상이 저술한 제주도 지방지로 제주도 및 주변 도서의 자연 역사 산물 풍속 방어 등에 대한 기록이다. 해당 자료는 조선 숙종연간에 제작된 지리지로 그 내용이 충실할 뿐만 아니라. 18세기 초 당시 제주 상황을 알 수 있는 지지(地誌) 가운데 하나로 제주사(濟州史) 연구에 있어 역사적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다.
793
2022.06.13
675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귤수소조
남종화의 대가인 소치 허련(본관 양천)의 큰아들 미산 허은이 ‘귤수(문백민)’라는 제주인을 그리고. 소치가 찬(撰)한 작품으로. 보존상태가 아주 양호하며 제작배경. 제작연대. 초상화의 주인공. 작가(화가)가 명확하고. 찬의 필체가 전형적인 소치의 것으로. 그림 양식 역시 소치家의 전형적인 화풍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당 시대 두 화가의 기량을 엿볼 수 있는 미술사적 가치가 있다.
838
2022.06.13
674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홍화각 현판
홍화각 현판은 홍화각 건물에 실제로 걸려 있었던 현판으로 세종조의 고득종(제주출신 문신으로 당시 한성부 판윤)이 글씨로 추정된다. 목재 연륜연대를 측정한 결과. 홍화각 건축물이 축조될 시기(1435년)에 제작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홍화각 건물의 건립 전말을 판각한 기문인 홍화각기는 현재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91. 6. 4)되어 삼성사재단이 소장·관리하고 있다.
830
2022.06.13
673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쌍계암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은 화엄경과 함께 대승불교를 상징하는 경전으로 법화경이라고도 한다. 쌍계암 소장본은 7권 7책의 완본으로 판각은 ‘가정십팔년기해정월일경상도안음지덕유산영각사중각嘉靖十八年己亥正月日慶尙道安陰地德宥山靈覺寺重刻’이라 되어 있어 1539년에 개간되었음을 알 수 있다.
845
2022.06.13
672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보초등록
건륭 59년 5월 (정조 18년. 1794) 선박 관리소 에서 갑인년에 소봉할 각종 진상마을 제주도 삼읍배로 나누어 실어 내보낼 보고서로 사공의 이름과 배의크기 그리고 말의 수가 기록 되었다.
840
2022.06.13
671
인천광역시 > 계양구
부평향교
1127년(고려 인종 5)에 지은 것으로 병자호란(1636년)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지음. 현재의 건물은 18세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여러 차례의 수리가 있었으며 현재 대성전,명륜당,동재,서,동무,내삼문 등이 남아 있음.전학후묘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형식을 따르고 있음.
857
2021.08.23
670
경기도 > 안성시
주물유기장 이종문
주물유기장 이종문
838
2021.03.15
669
충청북도 > 진천군
이시발 묘소
조선 후기 문신 이시발의 묘소
902
2021.07.02
668
충청북도 > 진천군
대운사지
문백면 평산리 양천산에 위치한 고려시대 절터
866
2021.07.02
667
충청북도 > 진천군
연곡리 사지
진천읍 연곡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절터
827
2021.07.02
666
충청북도 > 진천군
대문리 사지
백곡면 대문리 만노산에 있는 고려~조선 전기 절터
853
2021.07.02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정렬
검색
266
267
268
269
270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Category
추천여행코스
전국캠핑장정보
전국명소갤러리
전국둘레길
한국민속신앙사전
전국지역특화거리
전국시티투어정보
전국문화축제
전국도시공원정보
전국농어촌체험휴양마을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
전국향토문화유적
전국공연행사정보
전국휴양림
전국길관광정보
전국가로수길정보
전국전통시장
전국관광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