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싯상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을 위해 차려 놓는 것으로, 굿을 할 때 심방의 무구를 올려놓는 상.
definition
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을 위해 차려 놓는 것으로, 굿을 할 때 심방의 무구를 올려놓는 상.
mp3Cnt
0
wkorname
강소전
정의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을 위해 차려 놓는 것으로, 굿을 할 때 심방의 무구를 올려놓는 상.
내용공싯상은 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을 위해 차리는 상이다. 제주도에서 행해지는 모든 굿에서 차려진다. 굿의 규모와 성격에 따라 축원을 드리는 신에 대한 [제물](/topic/제물)이 진설되고, 그 앞으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상에다 무조신을 위한 공싯상을 따로 차려 놓는다.

무조신에 대한 내력은 ‘[초공본풀이](/topic/초공본풀이)’에 잘 나와 있다. 무조신은 심방의 조상이며, ‘멩두(明刀)’라는 무구로 표상된다. 멩두는 ‘신칼’과 ‘산판(천문, 상잔, [산대](/topic/산대))’, ‘요령’을 말한다. ‘[삼멩두](/topic/삼멩두)’, ‘일월삼멩두’라고도 부른다. 제주도 굿에서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 무구이다. 심방은 단골의 의뢰를 받으면 자신의 당주에서 조상인 멩두를 들고 굿을 하러 간다. 당주에서 모시고 온 멩두는 굿당의 공싯상에 놓인다. 말하자면 ‘공시’는 이 멩두를 뜻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모신 것이기에 공싯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공싯상은 ‘공신상(恭神床)’이라고 이해하기도 한다.

공싯상에 올려 두는 무구는 멩두와 바랑이다. 심방은 굿을 진행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이 무구를 가져다가 사용하고 끝나면 다시 공싯상에 올려놓는다. 이 밖에도 공싯상에 올리는 제물로는 사발시루떡, 돌래떡, 계란, 구운 생선, 과일([사과](/topic/사과), 배, 귤), 비자, [대추](/topic/대추), 곶감, 밤, 술, 제비쌀 등이 있다.

한편 심방이 스스로 본주가 되어 하는 심방집굿에서는 공싯상이 2개 차려진다. 즉 ‘안공싯상’과 ‘밧공시상’이다. 굿을 하러 온 심방뿐 아니라 본주도 심방이기 때문이다. 이때 본주 심방의 조상은 안공싯상에 모신다. 밧공싯상은 굿을 맡은 수심방의 조상을 놓는 상이다. 소위 ‘안팟공시’가 모두 함께 모셔지는 것이다. 이들 안팟공시는 나중에 굿이 끝나면 서로 자신의 조상을 당주에 모셔가야 하기 때문에 ‘공시갈림’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안공시는 본주심방의 당주로 가고, 밧공시인 수심방의 멩두는 [안채](/topic/안채)포에 담겨 수심방의 당주로 돌아간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제주도 굿의 ‘공시풀이’ 고찰 (강소전, 한국무속학 14, 한국무속학회, 2007)
굿과 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