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룡묘

한국무속신앙사전
중국 삼국시대 정치가인 제갈공명을 모시는 [사당](/topic/사당).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산 5-6에 있으며, 1974년 1월 15일에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중국 삼국시대 정치가인 제갈공명을 모시는 [사당](/topic/사당).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산 5-6에 있으며, 1974년 1월 15일에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시지은
정의중국 삼국시대 정치가인 제갈공명을 모시는 [사당](/topic/사당).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산 5-6에 있으며, 1974년 1월 15일에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내용우리나라 무속에서는 [최영](/topic/최영)(崔塋, 1316~1388)·임경업(林慶業, 1594~1646) 등 [장군](/topic/장군)들을 최영장군마누라·임장군마누라 등으로 신격화하여 섬기고 있다. 우리나라 장군 외에 중국의 영웅을 신격화 하여 섬기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소열황제(昭烈皇帝), [관성제군](/topic/관성제군)(關聖帝君), 장장군(張將軍), 와룡[孔明] 선생, 조장군(趙將軍), 마장군(馬將軍), 황장군(黃將軍) 등이 대표적이다. 소열황제·관성제군·장장군은 각각 유비(劉備, 161~223)·관우(關羽, ?~219)·장비(張飛, ?~221)를 일컬으며, 와룡 선생은 제갈량(諸葛亮, 181~234)을 가리킨다. 와룡 선생은 와룡당에서 숭배되며, 맹격(盲覡)의 선각자로서 알려진 곽각 선생·이순풍 선생·황계관 선생 등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주로 맹격이 숭배하는 신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와룡 선생은 관성제군을 섬기는 서울 굿거리에서 성제님공수를 할 때 “관성제군은 성제마마 아니시리, 운창은 제군 아니시냐, 소열황제 아니시랴, 와룡은 선생님 아니시냐, 너 오호 대장 아니시냐, 영문옥문에 제갈공명이시다”라고 하는 부분에서만 불려지고 있어 와룡 선생이 과연 맹격이 숭배하는 신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무(巫)의 당(堂)은 두 종류로 나뉜다. 무당의 집에 제단을 차려 놓고 신령이나 부처·보살의 화상(畵像) 또는 [무경](/topic/무경)(巫鏡) 등을 걸어두는 신당(神堂)과 무당의 집이 아닌 곳에서 굿을 행할 수 있는 당이다. 대표적인 당이 개성의 덕물산 장군당이다. 서울의 경우 남묘, 동묘, 아기씨당, [금성당](/topic/금성당), 국[사당](/topic/사당), 와룡당 등이 있다. 모든 무당이 집에 신당을 차릴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당이 없는 무당에게 이러한 당들은 굿을 행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가 된다.

와룡묘는 중국 삼국시대 지략가인 제갈공명(제갈량)을 기리는 사당이다. 이곳에는 와룡묘 외에 단군묘(檀君廟), 제석전(帝釋殿), 약[사전](/topic/사전)(藥師殿), 삼성각(三星閣), [요사](/topic/요사)(寮舍), 문신각(文臣閣) 등이 함께 있어, 중국 도교계의 신령으로 모셔지는 와룡 선생과 우리 민속신앙이 결합된 무속신앙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문화재청 홈페이지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 하 (赤松智城, 秋葉隆 共著, 심우성 옮김, 동문선, 1991)
서울지역 안안팎굿 무가자료집 (김헌선, 보고사, 2006)
역사『조선왕조실록』 선조 38년(1605)의 기록을 보면 평안도 영유현에 와룡묘를 짓게 하고 왕들이 관원을 보내 제를 올리거나 제문(祭文)을 지어 보내고 사액(賜額)의 예도 전한다. 그러나 이 기록과 이 와룡묘의 연관성은 확실치 않다. 조선시대 엄상궁(嚴尙宮)이 와룡묘를 시건(始建)하였다는 설이 있지만 이 역시 확실하지 않다.
형태당은 [기와](/topic/기와)[지붕](/topic/지붕)을 얹은 건물로 안에 2m 크기의 제갈공명 석고상과 함께 2.5m 높이의 관운장의 석고상이 있다. 이외에도 대북·소북·종 등 의식용 악기들을 갖추고 있다. 1924년에 화재로 훼손되었다가 1934년에 재건하여 지금에 이른다.
문화재보호재단한국의 전통예술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