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심절본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굿의 사제계승에 따른 [유파](/topic/유파)를 구분할 때에 동문 밖의 유파를 이르는 말.
definition
서울굿의 사제계승에 따른 [유파](/topic/유파)를 구분할 때에 동문 밖의 유파를 이르는 말.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서울굿의 사제계승에 따른 [유파](/topic/유파)를 구분할 때에 동문 밖의 유파를 이르는 말.
내용각심절본은 각심절쪽의 전통을 중시하는 굿법과 무가를 말한다. 이 용어는 특정한 제보자에 의해 말해진 것이지만 서울굿의 전반적인 판도를 볼 때 전통적인 서울굿의 [유파](/topic/유파)를 말하는데 일정한 의의를 [가지](/topic/가지)고 있다.

각심절본이라고 할 때 각심절이 어디인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제보자들의 증언이 한결같지는 않지만 현재 행정구역상 월계동에 각심사(覺心寺)가 있었으며, 이곳에 있는 [마을](/topic/마을)을 각심절마을이라고 했을 때 상당 정도 이쪽을 지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각심절본의 유래는 구전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증언은 서울 대표적인 [박수](/topic/박수)무당 가운데 한 사람인 이지산의 증언이다. 이지산의 구전신화에 따르면 각심절본의 내력은 자못 간명하다.

예전에 오만수라는 무조가 살았는데, 오만수에게 딸이 넷이 있었다. 그 중 하나는 양씨부인으로 개성 덕물산의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의 부인이 되어서 덕물산의 굿법을 마련하였으며, 나머지 세 명의 자매가 서울로 들어와서 맏언니는 구파발에 자리하여 당주가 되었으며, 둘째언니는 동문 밖의 각심절에 당주가 되었으며, 막내는 우수재서낭의 당주가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각각의 굿법과 전통이 마련되었는데, 각심절본의 문서는 서울의 동쪽으로 [진적굿](/topic/진적굿)과 재수굿으로 유명하였으며, [구파발본](/topic/구파발본)의 문서는 서울의 서쪽으로 진오기굿이 유명하였으며, [노들본](/topic/노들본)인 우수재의 문서는 서울의 남쪽으로 [서낭당](/topic/서낭당)에서 서낭굿으로 유명하였다고 전한다.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적 분포와 변화를 존중하면서도 이들이 자매간이라고 함으로써 혈족적인 인접성을 말하고 있다.

이 전통적 유파와 문서의 구분은 표면적인 사실 이외에도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 지역들은 한양의 변두리였으며, 서울의 [만신](/topic/만신)들이 축출되면서 사[대문](/topic/대문) 밖으로 밀려나고 그 과정에서 독자적인 무풍이 형성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서울굿의 다른 구분도 있는데 서울굿의 동쪽제와 서쪽제의 구분이다. 서울굿은 궁 안과 궁 밖의 굿이 일차적으로 매우 중요한 구분이 되고, 동쪽제와 서쪽제의 구분은 지역적 편차를 말하는 것이 된다.

각심절본은 지역의 편차를 말하는 것으로 서울굿의 지역적 특색을 말하는 외적 비교론에서 마련된 전통적인 용어라면, 서울굿의 동쪽제와 서쪽제는 내적 차별화를 꾀하기 위한 구분이다. [굿](/topic/굿)에서 쓰이는 [장단](/topic/장단)과 무가, [춤사위](/topic/춤사위)의 차별성 따위는 각심절본ㆍ노들본ㆍ구파발본 등에서는 잘 구분되지 않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진적굿ㆍ재수굿ㆍ진오기굿ㆍ서낭굿 등으로 구분하는 굿의 특징과 세부적인 차별성이 무엇인가 하는 말은 전혀 다른 각도에서 나오므로 외적 비교와 내적 비교에 의한 구분은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각심절본•노들본•구파발본 이 세 유파의 문서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과장된 개념일 수 있다. 무풍의 차이를 말하는 각심절본이라는 용어는 무당들의 대자적 인식과 대타적 인식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지역적 차별성에 대한 거시적 준거 틀이다. 이 세 지역의 차별성과 함께 이들의 연관성을 말하는 혈족적 친연성에 대한 인식 역시 세 유파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참고문헌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서울육백년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특별시, 1992)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