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립신

한국무속신앙사전
한국 무(巫)의 신격 중 하나. 주로 굿의 뒷전에 모시는 하위신으로 분류된다.
definition
한국 무(巫)의 신격 중 하나. 주로 굿의 뒷전에 모시는 하위신으로 분류된다.
mp3Cnt
0
wkorname
김창호
정의한국 무(巫)의 신격 중 하나. 주로 굿의 뒷전에 모시는 하위신으로 분류된다.
Geollipsin, or Collector God, is a deity that helps spirits or good fortune enter the house and be greeted.

Geollip refers to the collection of grains or goods for a collective effort that serves a specific cause related to the public good and solidarity.

It seems that this spirit of fundraising and participation has been developed into a conceptual deity. Geollipsin is a shamanic god, often enshrined in the image of [[Daegam](/topic/StateOfficialGod)](/topic/Daegam) (State Official God), which oversees material fortune, and is also called Geollipdaegam (Collector Official), Geollipmanura (Collector Wife), and Geollipseongsu (Collector Shaman).

Geollipdaegam nori is a ritual for worshipping Geollipsin as Daegam to pray for money and material gain for the family. Geollipdaegam is considered capable of “acquiring all the riches that drift around in all four directions.” In farming communities, Geollipsin is worshipped to pray for a good harvest. Geollipsin, however, is not worshipped individually as a household god, and is addressed when the family shaman visits to officiate a ritual for household gods (gosa), or in the case of illness or other calamities in the home.

The deity is not enshrined in the form of a specific sacred entity but sometimes in the form of a pillar in the house, or as the head of a dried pollock (bugeo) hung by a straw rope on the wall outside the open hall where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is enshrined, or as a bundle of mulberry paper folded and hung on the wall.
使神频繁往来于家中,并为此提供帮助的神。

为了以大同的方式进行原本目的明确的事情,从众人处获取钱粮或物品的行为就叫做“乞粒”。乞粒文化的本质在于公共性,公益性和大同性。

通过乞粒获得众多财源,以及愿意尽可能参与的心态,形成了神的观念。其神格正是作为神的“乞粒”。乞粒神以巫俗神存在,也称为乞粒[大监](/topic/大监),乞粒婆,乞粒星宿。乞粒神是掌管财福的大监,具有为乞粒神设位供奉的特性。

将乞粒神作为大监供奉在神位上进行的“乞粒大监游戏”,是祝愿多赚钱和将所有财物聚集于家中的[巫祭](/topic/巫祭)。“乞粒大监”被视为是“将东西南北源源不断的财富全部赚回的存在”。由此,人们认为乞粒神具有赚钱和聚集财富的职能。此外,在农耕地区也为祈求丰收而供奉乞粒神。乞粒神并不是普遍供奉的家神,而是[丹骨](/topic/丹骨)巫(音)来到家中进行[告祀](/topic/告祀)时,敬拜的对象。平时若家中有人生病或遭罹时,也会向乞粒神祈祷。

乞粒神没有神体,常以家门周边的柱子指代,若供奉神体,会在供奉[城主](/topic/城主)厅堂对面的外侧供奉。其形体是用草绳穿过[干明太鱼](/topic/干明太鱼)头挂在厅堂外侧的墙上,并将韩纸折叠后整个悬挂起来的形态。
Geollipsin que significa “dios recolector”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una deidad que ayuda a los espíritus a entrar al hogar y ser bien acogidos.

El término geollip hace referencia a la recolección de granos u objetos con los que podrán hacer esfuerzos colectivos para enfrentar retos claros. Entonces el bien público y solidaridad son los elementos esenciales de la geollip.

Al parecer, parece que este espíritu de la recaudación de fondos y participación ha sido desarrollado en la idea conceptual de una deidad, que se conoce como Geollipsin. Geollipsin se identifica como un dios chamánico, y tiene varios nombres como Geollidaegam, Geollipmanura y Geollpseongsu. Dicha divinidad está encargada de la fortuna y la riqueza.

Geollipdaegam nori es un ritual de la adoración a Geollisin como [Daegam](/topic/Dios,FuncionariodelEstado) para pedirle por riquezas y bienes materiales en la familia. Se considera que Geollidaegam es capaz de “obtener todas las riquezas que se encuentran en las cuatro direcciones”. Aunque Geollpsin es el objeto de la veneración para que brinde buenas cosechas en las comunidades agrícolas, no se adora generalmente como un dios del hogar. El nombre del dios recolector se pronuncia cuando el chamán, a quien conoce la familia, visita el hogar para oficiar un ritual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y se lleva a cabo un ritual para Geollipsin, en caso de enfermedades u otros graves accidentes que experimenta la familia.

No existe ninguna entidad sagrada de la deidad recolectora, pero a veces uno de las pilares de la entrada del hogar, un abadejo seco, colgado en la pared exterior de la casa con un montón de papeles de morera doblados donde el dios guardián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 está enclaustrado se consideran como entidades sagradas de Geollipsin.
내용걸립신은 굿의 연행 후 뒷전에서 모셔지는 하위신 중 하나로, 학자들에 따라 잡귀(雜鬼) 혹은 잡신(雜神)으로 분류되거나 정신(正神)과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의 중간 정도로 파악되는 양상을 보인다. 정신에는 포함되지 못하지만 그렇다고 잡귀잡신으로 분류하기에는 어느 정도 신적 기능이 드러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성격이 명확하게 파악되지는 않는다.

‘걸립’이라 하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음식이나 물건 따위를 얻어 모으는 것을 의미하지만 보통 [마을](/topic/마을)의 행사를 치르기 위한 기금이나 물건을 마련하기 위해 풍장을 치며 집집마다 도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를 다른 말로 ‘[걸궁](/topic/걸궁)’이라고도 한다. 무(巫)에 있어서도 마을굿을 위해 무당이 집집마다 돌며 기원을 해 주고 쌀이나 돈 등을 걷어 오는 걸립이 있다. 이러한 용어로 인해 걸립신은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얻어먹는 귀신 정도로 이해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걸립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계면’이라는 용어가 있어 이 두 명칭 간의 관계에 주목하게 된다. 무당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행위를 ‘걸립한다’라고 말하지만 ‘계면돈다’라는 말도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계면은 굿의 한 제차인 계면거리라는 것이 있어서 뒷전에서 모셔지는 걸립신과 같은 하위신의 이미지와 차이가 있다.

계면거리는 ‘계면각시’ 혹은 ‘계면팔이’라고도 한다. 이 거리에서 무당은 [계면떡](/topic/계면떡)을 팔러 군중 사이사이를 돌아다닌다. 지역에 따라 계면떡은 고기의 씨앗이 되기도 하고 농사를 위한 씨앗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기원을 해 주고 돈이나 곡식을 얻어 오는 형태인 계면돌기와 같은 것으로 판단되며, 걸립과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걸립은 사실상 무당의 성무(成巫) 과정 중에 겪게 되는 한 단계이기도 하다. [내림굿](/topic/내림굿) 제물을 마련하기 위해 걸립을 하는 경우도 있고, 황해도 무당처럼 금속으로 제작된 [신물](/topic/신물)(神物)이 [쇠걸립](/topic/쇠걸립)을 통해 얻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걸립신은 이러한 과정 중에 무당과 연관을 맺게 된다.

걸립신의 성격 규명을 위해 크게 두 [가지](/topic/가지)를 거론하면 첫째, 걸립신은 일정 부분 정신(正神)들과 관련을 맺고 있다. 뒷전에서 가장 먼저 불리는 걸립신의 종류는 연행하는 무당에 따라 다르겠지만 꽤 여럿이다. 조흥윤이 기록한 무당 배경재의 뒷전에는 총 24걸립이 등장한다. 그 명칭으로는 ‘매옹남산불사걸립’ ‘본향부군걸립’ ‘성주걸립’ ‘지신걸립’ 등 여러 신령과 연결된 걸립신이 등장한다. 둘째, 계면돌기 혹은 걸립을 통해 필요한 것을 얻게 되는 과정을 보면 걸립신은 무당의 성무에 일정 부분 관여하는 신격으로 볼 수 있다. 아키바 다카시(秋葉隆)가 기록한 강화도 무당의 내림굿에서는 이미 신령을 받아들인 애기무당이 집집마다 공수를 내리고 걸립을 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간혹 내림굿에서 애기무당의 몸주로 걸립신이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이 두 가지 사실로 볼 때 걸립신은 무당의 몸주가 되는 여러 정신(正神)과 관련을 맺고 있으면서 무당의 성무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무당들이 걸립신을 신당 입구나 [거실](/topic/거실)ㆍ[처마](/topic/처마) 등지에 모시는 것을 보면 [몸주신](/topic/몸주신)령 및 무당과 연관을 맺고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신격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구송되는 [걸립굿](/topic/걸립굿) 무가를 통해 더욱 확실해진다. 동해안별신굿에서는 걸립신을 위한 걸립굿이 연행된다. 경우에 따라 ‘걸립거리’, ‘제면굿’, ‘계면굿’ 등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걸립굿에서 구송되는 무가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반가](/topic/반가)(班家)의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신내림](/topic/신내림)을 받은 후 시어머니는 걸립할머니가 되어 당골판을 돌아다니며 곡식을 걷었다. 어느 집에서는 걸립할머니를 구박하여 내쫓고, 다른 집에서는 빈집인 양 숨어서 걸립할머니가 돌아가길 기다린 데 비해 한 집에서는 융숭하게 대접하고 아들의 장래를 점쳐 달라고 하였다. 걸립할머니는 그 아들이 과거에 급제하겠다는 점괘를 내주었고 후에 정말로 과거에 급제하였다. 이로 인해 다른 당골네들도 걸립할머니를 융숭하게 대접하고 집안의 우환 등에 대하여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다. 걸립할머니는 당골네들이 두고 간 곡식을 빻아 계면떡을 만들었는데 그것을 개가 먹어치우자 화가 난 나머지 그 개를 때려잡고 [가죽](/topic/가죽)을 벗겨 장구라는 악기를 만들었다.

이 무가는 다른 서사무가들에 비해 서사적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여겨지기에 서사무가에 포함하지 않는 경향도 있으나 내용으로 볼 때 걸립신은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적 성격을 일정 부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조선무속의 현지연구 (秋葉隆, 최길성 역, 계명대학교출판부, 1987)
무와 민족문화 (조흥윤, 민족문화사, 1990)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국립문화재연구소, 화산문화, 2002)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