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공주

한국무속신앙사전
바리공주
한국의 망자천도굿인 서울 지역 진오기굿의 말미거리, 호남 지역 씻김굿의 오구풀이거리, 동해안 지역 오구굿 발원굿에서 [구연](/topic/구연)되는 장편서사무가. 지역에 따라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 비리데기라고도 부른다. 원래는 서사무가의 주인공 이름이지만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서사무가 각 편의 대표적인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definition
한국의 망자천도굿인 서울 지역 진오기굿의 말미거리, 호남 지역 씻김굿의 오구풀이거리, 동해안 지역 오구굿 발원굿에서 [구연](/topic/구연)되는 장편서사무가. 지역에 따라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 비리데기라고도 부른다. 원래는 서사무가의 주인공 이름이지만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서사무가 각 편의 대표적인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mp3Cnt
56
wkorname
홍태한
정의한국의 망자천도굿인 서울 지역 진오기굿의 말미거리, 호남 지역 씻김굿의 오구풀이거리, 동해안 지역 오구굿 발원굿에서 [구연](/topic/구연)되는 장편서사무가. 지역에 따라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 비리데기라고도 부른다. 원래는 서사무가의 주인공 이름이지만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서사무가 각 편의 대표적인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내용바리공주는 서울 지역에서 부르는 명칭으로, 호남이나 동해안 지역에서는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라 부른다. 망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천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높이 받드는 의미에서 바리공주라 부르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90여 편의 각 편이 채록ㆍ보고되어 있어 전승 양상을 알 수 있다. 지역에 따라 편별로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인 서사 단락은 동일하다. 1)바리공주 부모가 혼인을 한다. 2)바리공주 부모가 연이어 딸을 낳는다. 3)일곱 번째도 공주를 낳는다. 4)바리공주가 버림을 받는다. 5)바리공주 부모가 병에 걸린다. 6)바리공주 부모의 병에 필요한 약이 약수임을 알게 된다. 7)바리공주가 부모를 만난다. 8)여섯 딸들에게 부탁하지만 딸들은 모두 핑계를 대고 거절한다. 9)바리공주가 약수를 구하러 길을 떠난다. 10)바리공주는 약수를 지키는 이를 만난다. 11)바리공주는 약수를 얻기 위해 일정한 대가를 행한다. 12)바리공주가 부모를 살려낸다. 13)바리공주가 부모를 살린 공을 인정받는다. 이것이 바리공주 무가의 기본 내용이다.

이러한 무가에는 한국인의 내세관, 영혼관, 저승관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저승과 현실이 수직적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공간관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버림받은 딸이 부모를 위해 희생하고 있어 한국인의 효(孝)관념이 드러나며, 효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심청과 다른 의식이 담겨 있다. 심청이 왕후가 된 다음에 자신의 아버지를 직접 찾지 못하고 울기만 하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반면에, 약수를 구해 온 바리공주가 부모의 상여를 보고 남편과 자식을 버리고 달려가는 모습에는 혼인으로 이루어진 가족관계보다 혈연으로 이루어진 가족관계를 중시하는 의식이 드러난다.
지역사례무가는 지역별로 세부적인 단락에서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조사된 무가는 크게 북한본, 중서부본, 동해안본, 호남본 등으로 나뉜다. 북한 지역에서는 바리공주의 부모가 하늘에서 땅으로 귀양 온 것으로 나타나며, 자식을 낳지 못한 바리공주 부모가 자식 있는 사람들을 부러워하는 장면과 약수를 구해 온 바리공주가 죽는 장면이 있어서 내용에 차이가 있다. 또한 망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바리공주의 위상이 약화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한편 서울ㆍ경기ㆍ충청도가 속해 있는 중서부 지역은 바리공주의 여섯 언니가 태어나는 장면을 지루할 정도로 반복하고 있는 점, 바리공주를 구해 주는 인물로 ‘비리공덕 할아범’과 ‘비리공덕할멈’이 등장하는 점, 약수 지킴이로 ‘무장승’을 만나 천생 배필이 되는 점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중서부본의 모습은 제의성(祭儀性)을 강하게 드러내는 이본으로, 망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바리공주의 모습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지역본 | 부모의 이름(신분) | 주인공의이름(신분) | 배경 |
| -------- | -------- | -------- | -------- |
| 북한본 | 덕주아·수차랑(양반) | 바리덕이(불명확) | 양반집인 듯 |
| 중서부본 | 업비대왕마마(왕) | 바리공주·바리데기(공주) | 궁궐임을 분명히 묘사 |
| 동해안본 | 오귀대왕·길대 부인(왕) 천별산 대[장군](/topic/장군)·검탈에 병오(뚜렷하지 않음) | 벼리데기(공주) 비리데기(미상) | 궁궐(분명한 묘사 없음) |
| 호남본 | 오구대왕님·길대 부인(왕)- 왕인지 불명확한 경우도 있음 | 버르댁이(공주)-공주인지 불명확한 경우도 있음 | 궁궐(분명한 묘사가 없는 경우도 있음) |



동해안본은 오락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단락이 발달되어 있다. 약수 지킴이로 ‘동수자’가 등장하는 장면, 남장(男裝)을 하고 약수를 구하러 간 바리공주를 여성으로 눈치챈 동수자가 여러 차례 바리공주의 여성 신분을 드러내려고 애쓰는 장면, 약수탕에 가서 바리공주가 약수를 구해 오는 장면 등에서 유희적 면모가 명확하게 보인다. 특히 바리공주 부모가 일곱 딸을 낳는 과정에서 성적인 표현이 등장하기도 하여 오락성과 놀이성을 강하게 내비친다.

호남 지역은 지역별로 세부 단락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하위 권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약수를 구하러 갈 때 여느 지역과 달리 남장을 하지 않으며, 약수를 구해 돌아온 이후도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다. 이러한 편차는 등장인물 및 배경에서도 보인다.

이러한 각 무가권 이본의 특징을 바탕으로 무가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고찰하면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천도굿](/topic/천도굿)에 설화 및 신모(神母)신화의 영향을 받아 무가 기본형이 성립되고, 여기에서 다시 제의축과 놀이축이 강조되는 쪽으로 무가가 발달해 나간 것으로 보인다. 제의축이 강조된 무가는 주로 중서부 지역 무가권에 분포되어 있으며, 궁중의 무속 수용과 함께 엄숙성을 유지하며 발달해 갔다. 놀이축이 발달한 동해안 경상도 지역의 무가는 [판소리](/topic/판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장편화 경향을 띠며 전개되어 갔다. 이에 따라 제의성에 충실하면서 망자천도굿의 목적을 명확히 드러내는 중서부본이 기본형이고, 호남본은 축소형, 동해안본은 놀이성에 맞춘 확장형, 북한본은 결말 부분에서 바리공주가 죽는다는 점에서 변이형으로 볼 수 있다.
의의무가는 전국적인 전승 양상을 보이는 서사무가이다. 따라서 각 편의 서사단락 분석을 통해 무가권 구획이 가능하다. 현재 이루어진 무가권 구획이 ‘무당의 유형’, ‘무속음악권’과 일치하는 점에서 무가의 전승이 무당과 음악이라는 무속의 큰 틀과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무가에는 수직적 세계와 수평적 세계가 함께 존재하고 있다. 여느 서사문학과 달리 무가에서는 지옥이 수직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일상세계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면 도달할 수 있는 곳이 지옥이라고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무가의 서사단락이 전개됨에 따라 공간은 궁궐에서부터 산중과 그리고 바리공주를 버리는 장소인 황천강으로 확장되고 마침내 비일상적 공간인 지옥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또 공간 확장과 함께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고 이 문제가 해결되는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 오구대왕이 자식을 얻기 위해 노력하지만 계속 딸을 낳음으로써 문제가 연이어 발생하고, 바리공주를 버림으로써 또다시 문제가 발생하여 마침내 누군가가 약수를 구해와야만 문제가 완전하게 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리공주는 서천서역국으로 떠나가는 제의적인 죽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그러나 서천서역국은 일상의 시간 질서가 소거되고 비일상적인 시간 질서로 대체되어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문제는 바리공주가 비일상적 공간인 서천서역국에서 약수를 구해옴으로써 해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존재의 근원을 비일상적 세계(카오스)에 두고 있는 원[본사](/topic/본사)고에 기반을 둔 것이다.

또한 무가는 사건의 진행과 동시에 바리공주가 사건 진행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혼인으로 맺은 가족관계보다는 태어나면서 맺은 혈연관계를 우선시하는 모습은 특징적이다. 그리고 바리공주의 결말 부분에 재생을 축원하는 [사설](/topic/사설)은 바리공주가 죽음의 제약에서 벗어나려는 욕구를 드러낸다. 무가에는 남성중심적 사고 방식과 죽음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욕망 및 한계가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욕망과 한계는 여성이 지니고 있는 모성적 가치로 표현되어 [신모신화](/topic/신모신화)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으며, 남성중심의 세계에서 여성이 겪는 고난을 표현한 여성수난담의 전통을 문학사에 나타나게 했다.
참고문헌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1, 2, 3, 4 (홍태한 외, 민속원, 1997~2001)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홍태한, 민속원, 1998)
亡者迁度[巫祭](/topic/巫祭)之首尔[镇恶鬼巫祭](/topic/镇恶鬼巫祭)的“末微”,从湖南地区洗灵巫祭的“恶鬼解”和东海岸地区恶鬼巫祭“发愿巫祭”中口述而来的长篇叙事巫歌。

钵里公主(音)是钵里公主巫歌中的主人公。钵里公主为首尔地区的称呼,在湖南或东海岸地区称其为“钵里姑娘”。迄今为止,全国范围内共采录及报告的钵里公主巫歌为九十余篇,可见其流传的趋势。在不同地区,虽然其各个版本之间略有差异,但共同的叙事段落却相同。1)钵里公主的父母结婚。2)钵里公主的父母连生了数名女儿。3)第七个孩子也是个公主。4)钵里公主被遗弃。5)钵里公主的父母得病。6)知道了能治好钵里公主父母病的药是一种神水。7)钵里公主见到父母。8)父母向六个女儿求助,女儿们却全部以各种借口拒绝。9)钵里公主踏上寻找神水之路。10)钵里公主见到神水守护者。11)钵里公主为了得到神水,付出了一定的代价。12)钵里公主救活了父母。13)钵里公主救活父母的功劳得到认可。这就是钵里公主巫歌的基本内容。

钵里公主巫歌中反映了韩国人的来世观,灵魂观,阴间观。特别值得注意的是,阴间与现实并不是垂直而是水平排列的这一空间观念。此外,被遗弃的女儿为救父母作出牺牲,这也凸显了韩国人对[孝](/topic/孝)的观念。钵里公主巫歌中体现了女性所具有的母性价值,继承了神母神话的趋势,并在以男性为中心的世界中,将表达女性历经苦难的“女性受难谈”之传统展现在文学史中具有深刻的意义。
Barigongju es un canto épico, efectuado como parte de varios rituales chamánicos incluyendo el segmento de Malmi del ritual para acompañ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en su viaje al otro mundo, llamado jinogigut en las áreas de Seúl; el segmento de Ogupuri del ritual para eliminar impurezas, conocido como ssitgimgut en la provincia de Jeollanam-do; y el segmento de Balwongut del ritual para guiar al alma de los fallecidos al inframundo que se denomina ogugut en las regiones de la costa este.

Barigong ju es el término utilizado en las áreas de Seúl para referirse al protagonista del canto épico, la princesa Bari, y se llama también Baridegi en la provincia de Jeolla-do y en las regiones del costa este. Hasta la fecha han sido generadas y transcritas más de noventa versiones de este canto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por lo que se puede estudiar el proceso de su transmisión a lo largo de la historia. Los detalles de la historia que se narra en la canción varían según las regiones, pero la trama común es la siguiente: 1) Los padres de Bari se casan uno a otra; 2) Los padres tienen solamente hijas, no han podido conseguir ningún hijo varón; 3) La pareja da a luz a su séptima hija; 4) la séptima hija, princesa Bari es abandonada; 5) Los padres de Bari se enferman; 6) Bari se da cuenta de que se necesita el agua de manantial mágico que se considera como elixir de la vida para curar a sus padres; 7) Bari se encuentra con sus padres; 8) Las demás hijas se niegan a ir en busca del elixir para sus padres; 9) Bari va a buscarlo; 10) la princesa Bari encuentra el guardián del manantial; 11) Bari paga un precio a cambio del agua de manantial; 12) la princesa salva a sus padres; 13) Bari recibe el reconocimiento por su contribución a salvar vidas. En los cantos y poemas épicos, se refleja el punto de vista de los coreanos en cuanto a la vida del más allá, el ámbito espiritual de la vida y el mundo de los muertos.

El aspecto más destacable de dichos cantos es el concepto especial de la vida del más allá y la realidad, que el mundo de los vivos y el de los muertos no existen de manera vertical, sino horizontal. Además, los cantos hacen énfasis en la máxima virtud dentro de la sociedad coreana, amor filial a través de la princesa Bari que sacrifica su vida en aras de la piedad filial. La importancia literaria de Barigong ju radica en el hecho de que la historia de la princesa Bari hace hincapié en el rol materno de las mujeres reflejando el mito de la madre sagrada, y representa la vida de las mujeres que tienen que sufrir en sus propias carnes la discriminación de género en la sociedad patriarcal.
“Barigongju, ” or “Song of Abandoned Princess Bari, ” is an epic song performed as part of various shamanic rituals including the Malmi (Prayer) Segment of jinogigut, the underworld entry ritual from the Seoul area; the Ogupuri (Song of Ogu) Segment of the grievance cleansing ritual ssitgimgut from South Jeolla Province; and the Balwongut (Prayer Ritual) Segment of the underworld entry ritual ogugut from the eastern coast regions.

Barigongju, or Princess Bari, is the name used in the Seoul area for the heroine of the epic, and is called Baridegi in Jeolla and on the eastern coast. Over ninety versions of the song from around the country have been recorded and archived, offering a comprehensive pool of materials for studying the process of their transmission through history. Details vary by region, but the common plot goes as follows: 1) Princess Bari’s parents wed; 2) The parents give birth to a string of daughters; 3) Their seventh child again turns out to be a daughter; 4) The seventh daughter, Princess Bari, is abandoned; 5) The parents fall ill; 6) Princess Bari learns that the cure for her parents’ illness is a special spring water; 7) Princess Bari meets her parents; 8) The six other daughters all refuse to go find the spring water; 9) Princess Bari sets out to find the spring; 10) Princess Bari encounters the keeper of the spring; 11) Princess Bari pays a price in exchange for the spring water; 12) Princess Bari saves her parents; 13) Princess Bari’s contributions are honored.

The epic reflects traditional Korean views of the afterworld and the spiritual realm, the most notable aspect being the horizontal, rather than vertical, spatial concept of the afterworld and reality. Central to the theme is the traditional virtue of filial piety, as conveyed in the story of the abandoned daughter making sacrifices for her parents.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Barigongju” lies in the motive of the sacred mother myth, emphasizing the maternal qualities in women, and also in the tradition of narratives depicting women overcoming ordeals in a male-centered world.
바리공주 무복
3394
바리공주 무복
국사당 지노기굿 바리공주말미
64832
국사당 지노기굿 바리공주말미
국사당 지노기굿 바리공주말미
64831
국사당 지노기굿 바리공주말미
양주지노귀굿 바리공주
64827
양주지노귀굿 바리공주
바리공주 무신도
64826
바리공주 무신도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56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55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54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53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52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51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50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49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48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말미거리 바리공주 무가 4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