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무장단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 굿에서 쓰이는 [거무춤](/topic/거무춤)의 반주 장단. 오늘날 거무장단은 대개 거무춤의 반주로 쓰이지만 예전에는 굿하는 기간 매일 아침 굿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양중들의 기량을 보여주기 위해 [드렁갱이](/topic/드렁갱이)와 함께 연주되기도 했다.
definition
동해안 굿에서 쓰이는 [거무춤](/topic/거무춤)의 반주 장단. 오늘날 거무장단은 대개 거무춤의 반주로 쓰이지만 예전에는 굿하는 기간 매일 아침 굿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양중들의 기량을 보여주기 위해 [드렁갱이](/topic/드렁갱이)와 함께 연주되기도 했다.
mp3Cnt
0
wkorname
장휘주
정의동해안 굿에서 쓰이는 [거무춤](/topic/거무춤)의 반주 장단. 오늘날 거무장단은 대개 거무춤의 반주로 쓰이지만 예전에는 굿하는 기간 매일 아침 굿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양중들의 기량을 보여주기 위해 [드렁갱이](/topic/드렁갱이)와 함께 연주되기도 했다.
내용[별신굿](/topic/별신굿)이나 오구굿의 의식절차 가운데 청보무가를 부르는 거리는 대개 [푸너리춤](/topic/푸너리춤)으로 시작하여 청보무가를 길게 부르고, 이어 [거무춤](/topic/거무춤)을 추고 수부무가를 부르는 것으로 한 거리를 마친다. 따라서 부정굿, 도가집굿, 뒷전 등 특수한 몇몇 거리와 함께 [제마수](/topic/제마수) 무가를 부르는 심청굿, 세존굿, 손님굿, 제면굿을 제외한 청보무가를 부르는 모든 거리에서는 어김없이 거무춤을 추고 이의 반주로 거무장단이 쓰인다.

거무장단의 ‘거무’는 ‘[검무](/topic/검무)(劍舞)’가 와전된 것으로, 원래는 [놋동이](/topic/놋동이)굿에서 무당 2명이 검(劍)을 들고 검무(劍舞)를 추던 것이 변하여 오늘날과 같은 거무춤이 되었다고 하지만 근거는 확실치 않다. 무당이 청보무가를 끝낸 다음 각 거리에 모신 신에 따라 “우여차 산신님네 놀고 씨고 가자” 혹은 “우여차 용왕님네 놀고 씨고 가자” 등의 [사설](/topic/사설)을 하면 거무춤과 함께 거무장단이 시작된다. 거무장단은 전체 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템포에 따라 상대적으로 느린 것은 느진거무, 빠른 것은 당거무라고 한다.

거무장단 1장은 ♩.≑70의 템포에 3소박 4박(♩.×4)으로 된 굿거리형 장단으로, 징은 두 장단마다 한 번 친다. 거무 2장은 박자가 1장과 같지만 징이 한 장단에 한 번 첫 박에 들어가고, 템포가 ♩.≑115로 빨라지는 자진모리형인 점이 다르다. 거무 3장은 2장의 템포를 더 빨리 몰아서 ♩≑125에 2소박(♩)×4박의 단모리형으로 연주되는 장단이다. 징은 한 장단의 제1, 3박에 두 번 들어간다.
참고문헌동해안의 굿음악, 그 전승과 단절의 역사 (장휘주, 민속원,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