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

한국무속신앙사전
종교적 기능과 정치적 효과를 함께 지닌 채 인간의 행동 일부를 지배하는 심리적 요소.
definition
종교적 기능과 정치적 효과를 함께 지닌 채 인간의 행동 일부를 지배하는 심리적 요소.
mp3Cnt
0
wkorname
심상교
정의종교적 기능과 정치적 효과를 함께 지닌 채 인간의 행동 일부를 지배하는 심리적 요소.
정의종교적 기능과 정치적 효과를 함께 지닌 채 인간의 행동 일부를 지배하는 심리적 요소.
내용금기의 종교적 기능은 민간신앙과 관련되고, 정치적 효과는 체제와 질서를 유지하려는 수단과 관련된다. 금기와 종속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단군신화](/topic/단군신화)에서 환웅은 곰과 호랑이에게 자신의 꿈을 이루고자 한다면 동굴에서 100일 동안 나오지 말 것을 요구한다. 금제(禁制)를 정하고 이를 실천한 경우 꿈은 실현된다. 금기를 정하고 금기에 종속되면 복을 받는 것이다.

인간은 자유를 갈망하고 부자유에는 저항한다. 자유는 행복이며 부자유는 불행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속은 자유롭지 못하며, 인간의 불행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종속은 꿈의 실현이라는 상황과 연결된다. 이는 단군신화의 곰에서 확인된다. 곰은 금기에 종속되었다. 그래서 꿈을 실현하였다. 이처럼 금기는 종속을 요구하고, 요구에 응하면 복으로 보답한다. 이러한 금기는 인간의 삶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인간은 스스로를 완전한 존재로 생각하지 않는다. 불완전한 존재인 인간에게는 완전한 존재가 되도록 협력하는 것이 많다. 그 가운데 하나가 종교이다. 종교는 체계, 경전, 교단을 갖춘 채 다양하고 광범위한 인간의 목적과 관계를 맺는다. 금기는 이러한 종교의 하위개념으로 인간의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목적과 관계를 맺는다. 금기에는 두려움을 치유하려는 인간의 경험이 반영됨으로써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삶의 지혜, 과학적 고민, 인간의 상상력이 개입된다. 그럴듯하지만 확실하지 않고 과학적인 듯하지만 과학이라 할 수 없는 것이 금기이다. 그래서 금기는 자기만족적 소극성과 목적성취적 적극성이 동시에 내재된다.

종교적 기능으로서의 금기는 신성한 것을 위하여 부정(不淨)한 것을 기휘(忌諱)하는 행동과 관련된다. 임신, 출산, 상례, [이사](/topic/이사), 결혼, 해원, 기원 등 우리 삶의 전반에 장애 없이순항하는 삶을 기원하는 행동들이 반영되어 금기를 형성하였다.

가려야 할 것, 해서는 안 될 것, 해야 될 것 등이 금기적 행동들이다. 예를 들면, 임신 중이거나 출산한 임산부에게는 지켜야 할 금기가 여럿이다. [대문](/topic/대문)에 [금줄](/topic/금줄)을 늘어뜨려 놓거나 붉은 흙을 대문 앞에 뿌린다. 대문 위에 가시나무(엄나무)를 달아 놓기도 한다. 아이의 건강과 무병장수를 위해 아명을 지어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들은 불행을 차단하려는 기휘적 행동으로 금기가 된다.

[탈춤](/topic/탈춤)에서 [말뚝이](/topic/말뚝이)는 [복숭아](/topic/복숭아) 나뭇[가지](/topic/가지)를 손에 들고 무릎에 방울을 단다. 탈춤의 등장인물 생김새는 기괴하면서 요철형(凹凸形)이고, 탈의 색깔은 붉은색이다. [마을](/topic/마을) 제사나 마을굿을 지낼 때는 [제관](/topic/제관)의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따져 날을 받는다. 여자는 제관이 되지 않았으며 굿당 주변에 오지도 못하게 하였다. 제사나 굿을 할 때 사자(使者)밥을 밖에 내놓는다. [거리굿](/topic/거리굿)이나 시석굿에서는 굿당 안에 정좌하지 못한 잡귀들을 풀어먹인다. 작은 장애라도 예방하려는 벽사와 제액초복의 여러 행동이 금기를 형성한다.

이사할 땐 손없는 날을 택하고, 결혼식 날짜를 정할 때도 신랑신부의 사주팔자를 고려한다.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는 가리는 일, 해서는 안 될 일, 해야 될 일 등이 구분된다. 상가에 출입하는 일은 가려서 하고, 상가에 다녀온 다음에는 소금을 뿌리는 등의 일을 해야 하고, 상중에는 사자(死者)의 소지품을 소각해야 한다.

‘사(四)’ 자가 ‘사(死)’ 자와 발음이 같아 사(四)를‘죽음’과 연계지어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병원, 숙박업소, 선실, 빌딩 등에서는 ‘4’나 ‘四’를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입학시험 합격을 위해서는 시험 전에 엿을 먹는다. 최근에는 시험 결과가 좋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답안을 잘 찍으라고 도끼를 선물하기도 한다. 유명 대학인 S대학에 합격하고 싶은 바람으로 자동차에 붙어 있는 영문자 S자를 떼어내어 선물하는 경우도 있다. 시험에 합격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하지 않는 일 에는‘미역국 먹지 않기’가 있다. 미역의 특성이 시험에도 반영된다는 금기인 셈이다. 시험을 치르기 전이나 시합 전에 이발이나 목욕을 꺼리는 경우도 있다.

사랑하는 연인 사이에도 금기는 존재한다. 덕수궁 [돌담](/topic/돌담)길을 연인과 함께 걸으면 이별한다. 손수건이나 [신발](/topic/신발)을 선물하면 이별한다. 첫사랑은 헤어진다 등의 금기가 있다. 인간의 간절한 마음이 헛되어서는 안 된다는 마음이 금기라는 종교적 기능을 통해 구체화되고 일상화되었다.

이러한 행동들은 정진결재(精進潔齋), 근신(勤愼), 목욕재계(沐浴齋戒)하는 마음이나 태도와 상통한다. 이런 행동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이다. 최선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상·최고의 모습이다. 최상·최고의 모습을 남에게 보일 때 인간은 인내 하고 노력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그러면 복과 풍요가 내린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 삶에 선적인행동과 정성을 다한 행동이 넘쳐나도록 목적한다. 문란과 악의적 행동이 넘쳐나서 삶을 고통스럽게 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금기인 셈이다.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도 있다. 금기를 제시하고 이에 종속되면 복을 주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인간에게는 종속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는 본능이 있다. 피학적(被虐的) 상황에만족감을 느끼는 본능이 있는 것이다. 성적 행동과 관련되어 사디즘(Sadism)이 종속이나 고통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것인데 인간에게는 성적 이상 행동뿐만 아니라 제도나 문화, 일상생활에서 종속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본능이 있다. 종속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본능이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를 가능하게 한다.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는 법과 제도, 억압 등을 통해 나타난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일, 해서는 안 되는 일, 해야 할 일 등이 법이나 제도를 통해 금기된다. 봉건제적 시대의제도, 현대의 법률 등 어느 시대에나 변함없이 인간 삶에 내재한 윤리 및 도덕의 가르침과 지배적 가치관이 그 예이다. 법과 제도의 억압은 인간의 행동을 종속하는 금기이다.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는 인간사회의 질서와 안녕을 유지하는 근간이다. 인간의 행복을 담보하는 중추이기도 하다. 인간의 삶을 유지하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되는 요소이다. 삶의 필수적 요소인 금기가 때론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이용되기도 한다. 금기가 지배자의 권위를 부당하게 유지하려는 억압에 이용되기 때문이다. 신앙적 금기에 익숙한 인간 삶, 종속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는 인간의 본능을 이용한 정치적 장치가 금기인 것이다. 종교적 기능의 금기도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와 결합될 때 그 의미가 살아난다. 금기가인간의 삶 전반과 연관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한국민속학개설 (이두현·장주근·이광규 공저, 일조각, 1974)
한국민속학사 (인권환, 열화당, 1978)
무속신앙 (민속학회 편, 교문사, 1989)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론 (임동권·정병호·김선풍 공저, 민속원, 1997)
한국전통연희론 (심상교, 집문당, 2007)
내용금기의 종교적 기능은 민간신앙과 관련되고, 정치적 효과는 체제와 질서를 유지하려는 수단과 관련된다. 금기와 종속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단군신화](/topic/단군신화)에서 환웅은 곰과 호랑이에게 자신의 꿈을 이루고자 한다면 동굴에서 100일 동안 나오지 말 것을 요구한다. 금제(禁制)를 정하고 이를 실천한 경우 꿈은 실현된다. 금기를 정하고 금기에 종속되면 복을 받는 것이다.

인간은 자유를 갈망하고 부자유에는 저항한다. 자유는 행복이며 부자유는 불행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속은 자유롭지 못하며, 인간의 불행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종속은 꿈의 실현이라는 상황과 연결된다. 이는 단군신화의 곰에서 확인된다. 곰은 금기에 종속되었다. 그래서 꿈을 실현하였다. 이처럼 금기는 종속을 요구하고, 요구에 응하면 복으로 보답한다. 이러한 금기는 인간의 삶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인간은 스스로를 완전한 존재로 생각하지 않는다. 불완전한 존재인 인간에게는 완전한 존재가 되도록 협력하는 것이 많다. 그 가운데 하나가 종교이다. 종교는 체계, 경전, 교단을 갖춘 채 다양하고 광범위한 인간의 목적과 관계를 맺는다. 금기는 이러한 종교의 하위개념으로 인간의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목적과 관계를 맺는다. 금기에는 두려움을 치유하려는 인간의 경험이 반영됨으로써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삶의 지혜, 과학적 고민, 인간의 상상력이 개입된다. 그럴듯하지만 확실하지 않고 과학적인 듯하지만 과학이라 할 수 없는 것이 금기이다. 그래서 금기는 자기만족적 소극성과 목적성취적 적극성이 동시에 내재된다.

종교적 기능으로서의 금기는 신성한 것을 위하여 부정(不淨)한 것을 기휘(忌諱)하는 행동과 관련된다. 임신, 출산, 상례, [이사](/topic/이사), 결혼, 해원, 기원 등 우리 삶의 전반에 장애 없이순항하는 삶을 기원하는 행동들이 반영되어 금기를 형성하였다.

가려야 할 것, 해서는 안 될 것, 해야 될 것 등이 금기적 행동들이다. 예를 들면, 임신 중이거나 출산한 임산부에게는 지켜야 할 금기가 여럿이다. [대문](/topic/대문)에 [금줄](/topic/금줄)을 늘어뜨려 놓거나 붉은 흙을 대문 앞에 뿌린다. 대문 위에 가시나무(엄나무)를 달아 놓기도 한다. 아이의 건강과 무병장수를 위해 아명을 지어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행동들은 불행을 차단하려는 기휘적 행동으로 금기가 된다.

[탈춤](/topic/탈춤)에서 [말뚝이](/topic/말뚝이)는 [복숭아](/topic/복숭아) 나뭇[가지](/topic/가지)를 손에 들고 무릎에 방울을 단다. 탈춤의 등장인물 생김새는 기괴하면서 요철형(凹凸形)이고, 탈의 색깔은 붉은색이다. [마을](/topic/마을) 제사나 마을굿을 지낼 때는 [제관](/topic/제관)의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따져 날을 받는다. 여자는 제관이 되지 않았으며 굿당 주변에 오지도 못하게 하였다. 제사나 굿을 할 때 사자(使者)밥을 밖에 내놓는다. [거리굿](/topic/거리굿)이나 시석굿에서는 굿당 안에 정좌하지 못한 잡귀들을 풀어먹인다. 작은 장애라도 예방하려는 벽사와 제액초복의 여러 행동이 금기를 형성한다.

이사할 땐 손없는 날을 택하고, 결혼식 날짜를 정할 때도 신랑신부의 사주팔자를 고려한다.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는 가리는 일, 해서는 안 될 일, 해야 될 일 등이 구분된다. 상가에 출입하는 일은 가려서 하고, 상가에 다녀온 다음에는 소금을 뿌리는 등의 일을 해야 하고, 상중에는 사자(死者)의 소지품을 소각해야 한다.

‘사(四)’ 자가 ‘사(死)’ 자와 발음이 같아 사(四)를‘죽음’과 연계지어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병원, 숙박업소, 선실, 빌딩 등에서는 ‘4’나 ‘四’를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입학시험 합격을 위해서는 시험 전에 엿을 먹는다. 최근에는 시험 결과가 좋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답안을 잘 찍으라고 도끼를 선물하기도 한다. 유명 대학인 S대학에 합격하고 싶은 바람으로 자동차에 붙어 있는 영문자 S자를 떼어내어 선물하는 경우도 있다. 시험에 합격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하지 않는 일 에는‘미역국 먹지 않기’가 있다. 미역의 특성이 시험에도 반영된다는 금기인 셈이다. 시험을 치르기 전이나 시합 전에 이발이나 목욕을 꺼리는 경우도 있다.

사랑하는 연인 사이에도 금기는 존재한다. 덕수궁 [돌담](/topic/돌담)길을 연인과 함께 걸으면 이별한다. 손수건이나 [신발](/topic/신발)을 선물하면 이별한다. 첫사랑은 헤어진다 등의 금기가 있다. 인간의 간절한 마음이 헛되어서는 안 된다는 마음이 금기라는 종교적 기능을 통해 구체화되고 일상화되었다.

이러한 행동들은 정진결재(精進潔齋), 근신(勤愼), 목욕재계(沐浴齋戒)하는 마음이나 태도와 상통한다. 이런 행동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이다. 최선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상·최고의 모습이다. 최상·최고의 모습을 남에게 보일 때 인간은 인내 하고 노력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그러면 복과 풍요가 내린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 삶에 선적인행동과 정성을 다한 행동이 넘쳐나도록 목적한다. 문란과 악의적 행동이 넘쳐나서 삶을 고통스럽게 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금기인 셈이다.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도 있다. 금기를 제시하고 이에 종속되면 복을 주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인간에게는 종속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는 본능이 있다. 피학적(被虐的) 상황에만족감을 느끼는 본능이 있는 것이다. 성적 행동과 관련되어 사디즘(Sadism)이 종속이나 고통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것인데 인간에게는 성적 이상 행동뿐만 아니라 제도나 문화, 일상생활에서 종속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본능이 있다. 종속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본능이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를 가능하게 한다.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는 법과 제도, 억압 등을 통해 나타난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일, 해서는 안 되는 일, 해야 할 일 등이 법이나 제도를 통해 금기된다. 봉건제적 시대의제도, 현대의 법률 등 어느 시대에나 변함없이 인간 삶에 내재한 윤리 및 도덕의 가르침과 지배적 가치관이 그 예이다. 법과 제도의 억압은 인간의 행동을 종속하는 금기이다.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는 인간사회의 질서와 안녕을 유지하는 근간이다. 인간의 행복을 담보하는 중추이기도 하다. 인간의 삶을 유지하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되는 요소이다. 삶의 필수적 요소인 금기가 때론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이용되기도 한다. 금기가 지배자의 권위를 부당하게 유지하려는 억압에 이용되기 때문이다. 신앙적 금기에 익숙한 인간 삶, 종속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는 인간의 본능을 이용한 정치적 장치가 금기인 것이다. 종교적 기능의 금기도 정치적 효과를 의도한 금기와 결합될 때 그 의미가 살아난다. 금기가인간의 삶 전반과 연관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한국민속학개설 (이두현·장주근·이광규 공저, 일조각, 1974)
한국민속학사 (인권환, 열화당, 1978)
무속신앙 (민속학회 편, 교문사, 1989)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론 (임동권·정병호·김선풍 공저, 민속원, 1997)
한국전통연희론 (심상교, 집문당, 2007)
Geumgi, or taboo, is an act or attitude that must be avoided in the course of a ritual and its preparations.

In Korean folk religion, a ritual is an act of praying to the gods for an individual’s hopes and wishes and requires great devotion, which is expressed and manifested through various taboos.

As a religious function, taboos are about avoiding unclean elements (bujeong) in pursuit of sanctity. The practices related to geumgi reflect people’s wishes to sail smoothly without obstacles through life’s many turning points including pregnancy, birth, funeral rites, moving, marriage and bereavement.

Ritual officials (jegwan) must observe strict taboos by avoiding sexual intercourse and visits to unclean venues like a household in mourning. To keep out unclean people, the homes of ritual officials are marked with a taboo rope (geumjul) hung over the gate, and a layer of red clay (hwangto) sprinkled outside.

Homes with a newborn baby also hang taboo ropes over the gate and sprinkle red clay outside. Branches of prickly castor-oil tree (eomnamu) are also hung over the gate and the baby is addressed by an alternate infant name to prevent diseases and to ensure good health and longevity.

When a family sets a date for a ritual for household gods (gosa), the house is cleaned and the husband and wife take cautions in daily routines. Strict taboos are observed in preparing the sacrificial foods, especially in steaming the rice cake in earthenware. Taboos also accompany the replacing of a sacred entity (sinche) with a new one: the old one must be burned or scattered on flowing water; and grains that had been contained inside sacred jars that represent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Land Tutelary God), or Eop (God of Property) must not leave the house.
举行祭仪时禁止,避讳的行为或心态。

仪礼是向自己信奉的神祈求实现自己愿望的行为,需要献上虔诚之心,因此,有许多对神的“禁忌”。

从宗教功能角度,禁忌与回避[不净](/topic/不净),保持神圣有关,为了企盼我们生活中诸如妊娠,生产,丧礼,迁居,结婚,解怨,祈愿等一帆风顺,由此形成了禁忌。

举行村庄祭祀时,[祭官](/topic/祭官)需要遵守相关禁忌,比如,禁止夫妻同房,禁止出入丧家等不净的地方。此外,在祭官的家和祭堂周边要拉[禁绳](/topic/禁绳)或撒[黄土](/topic/黄土),以防止不净的人出入。

在有孩子出生的人家大门口也拉禁绳或撒红土,还在大门上方挂上[刺楸](/topic/刺楸),给孩子起乳名,以祈求孩子健康成长。

此外,家里一经确定了祭拜日期就要打扫屋子,夫妻之间也要相互小心谨慎。准备祭品,尤其是蒸甑糕时,有很严格的禁忌。更换神体时,要把旧的烧掉或丢到河中冲走;盛在[宅基神](/topic/宅基神)或[业神](/topic/业神)瓮罐中的[谷物](/topic/谷物)不能从家里拿出去等。总之,在民俗信仰中,禁忌与为保持神圣而回避不净的行为有关,这都是源于人们相信遵守这些禁忌就会实现自己的愿望。
Geumgi se refiere a una serie de actos o actitudes que deben ser evitadas durante la realización de un ritual.

En la creencia popular de Corea, el ritual es un acto de orar por peticiones a los dioses por parte de las personas que oran a los dioses, entonces se requiere una gran devoción que es expresada o mostrada a través de varios tabúes.

Como una función religiosa, el tabú está relacionado con la prevención de las impurezas llamadas bujeong en la búsqueda de la santidad. Las prácticas vinculadas al geumgi reflejan el deseo de la gente de pasar por la vida sin obstáculos cuando se le ocurren algunos hechos que suceden a lo largo de la vida de los humanos, tales como el embarazo, el parto, el servicio funeral, la mudanza, el matrimonio y la muerte.

Los oficiantes del ritual deben mantenerse alejados de una serie de tabúes evitando tener relaciones sexuales o ir a lugares impuros como una casa de luto. Además, un geumjul se extiende o se salpica, el hwangto fuera de la casa o del santuario donde se efectúa un ritual para que no entren las personas impuras en la casa.

Cada hogar con un bebé recién nacido también extiende un geumjul o salpica la arena roja fuera de la entrada de la casa. Asimismo, tiene las ramas del árbol espinoso de aceite de ricino colgadas a la puerta de entrada o, en algunos casos, le pone al bebé un nombre de infancia para pedir la salud y la longevidad del bebé. El tabú se hace más estricto en la preparación de la comida sacrificial, sobre todo, el pastel de arroz, sirutteok.

Cuando la familia está preparada para llevar a cabo un ritual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ellos limpian y ordenan toda la casa, en este momento, el marido y la mujer tienen mucho cuidado con todo en la rutina diaria. Existen también unos tabúes para reemplazar una entidad sagrada llamada sinche, es decir, la vieja entidad debe quemarse o tirarse al agua que corre después de ser sustituida o no está permitido llevar los cereales que están guardados en la jarra de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o la de Eop fuera del hogar. Como se indica en las frases anteriores, el geumgi está relacionado con el acto para alejar lo impuro de los humanos para encontrar lo sagrado, por lo cual se puede suponer que el geumgi ha sido creado por la creencia de la gente de que eliminar las impurezas podrá ayudarle a cumplir sus deseos.
Geumgi, or taboo, is an act or attitude that must be avoided in the course of a ritual and its preparations.

In Korean folk religion, a ritual is an act of praying to the gods for an individual’s hopes and wishes and requires great devotion, which is expressed and manifested through various taboos.

As a religious function, taboos are about avoiding unclean elements (bujeong) in pursuit of sanctity. The practices related to geumgi reflect people’s wishes to sail smoothly without obstacles through life’s many turning points including pregnancy, birth, funeral rites, moving, marriage and bereavement.

Ritual officials (jegwan) must observe strict taboos by avoiding sexual intercourse and visits to unclean venues like a household in mourning. To keep out unclean people, the homes of ritual officials are marked with a taboo rope (geumjul) hung over the gate, and a layer of red clay (hwangto) sprinkled outside.

Homes with a newborn baby also hang taboo ropes over the gate and sprinkle red clay outside. Branches of prickly castor-oil tree (eomnamu) are also hung over the gate and the baby is addressed by an alternate infant name to prevent diseases and to ensure good health and longevity.

When a family sets a date for a ritual for household gods (gosa), the house is cleaned and the husband and wife take cautions in daily routines. Strict taboos are observed in preparing the sacrificial foods, especially in steaming the rice cake in earthenware. Taboos also accompany the replacing of a sacred entity (sinche) with a new one: the old one must be burned or scattered on flowing water; and grains that had been contained inside sacred jars that represent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Land Tutelary God), or Eop (God of Property) must not leave the house.
举行祭仪时禁止,避讳的行为或心态。

仪礼是向自己信奉的神祈求实现自己愿望的行为,需要献上虔诚之心,因此,有许多对神的“禁忌”。

从宗教功能角度,禁忌与回避[不净](/topic/不净),保持神圣有关,为了企盼我们生活中诸如妊娠,生产,丧礼,迁居,结婚,解怨,祈愿等一帆风顺,由此形成了禁忌。

举行村庄祭祀时,[祭官](/topic/祭官)需要遵守相关禁忌,比如,禁止夫妻同房,禁止出入丧家等不净的地方。此外,在祭官的家和祭堂周边要拉[禁绳](/topic/禁绳)或撒[黄土](/topic/黄土),以防止不净的人出入。

在有孩子出生的人家大门口也拉禁绳或撒红土,还在大门上方挂上[刺楸](/topic/刺楸),给孩子起乳名,以祈求孩子健康成长。

此外,家里一经确定了祭拜日期就要打扫屋子,夫妻之间也要相互小心谨慎。准备祭品,尤其是蒸甑糕时,有很严格的禁忌。更换神体时,要把旧的烧掉或丢到河中冲走;盛在[宅基神](/topic/宅基神)或[业神](/topic/业神)瓮罐中的[谷物](/topic/谷物)不能从家里拿出去等。总之,在民俗信仰中,禁忌与为保持神圣而回避不净的行为有关,这都是源于人们相信遵守这些禁忌就会实现自己的愿望。
Geumgi se refiere a una serie de actos o actitudes que deben ser evitadas durante la realización de un ritual.

En la creencia popular de Corea, el ritual es un acto de orar por peticiones a los dioses por parte de las personas que oran a los dioses, entonces se requiere una gran devoción que es expresada o mostrada a través de varios tabúes.

Como una función religiosa, el tabú está relacionado con la prevención de las impurezas llamadas bujeong en la búsqueda de la santidad. Las prácticas vinculadas al geumgi reflejan el deseo de la gente de pasar por la vida sin obstáculos cuando se le ocurren algunos hechos que suceden a lo largo de la vida de los humanos, tales como el embarazo, el parto, el servicio funeral, la mudanza, el matrimonio y la muerte.

Los oficiantes del ritual deben mantenerse alejados de una serie de tabúes evitando tener relaciones sexuales o ir a lugares impuros como una casa de luto. Además, un geumjul se extiende o se salpica, el hwangto fuera de la casa o del santuario donde se efectúa un ritual para que no entren las personas impuras en la casa.

Cada hogar con un bebé recién nacido también extiende un geumjul o salpica la arena roja fuera de la entrada de la casa. Asimismo, tiene las ramas del árbol espinoso de aceite de ricino colgadas a la puerta de entrada o, en algunos casos, le pone al bebé un nombre de infancia para pedir la salud y la longevidad del bebé. El tabú se hace más estricto en la preparación de la comida sacrificial, sobre todo, el pastel de arroz, sirutteok.

Cuando la familia está preparada para llevar a cabo un ritual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ellos limpian y ordenan toda la casa, en este momento, el marido y la mujer tienen mucho cuidado con todo en la rutina diaria. Existen también unos tabúes para reemplazar una entidad sagrada llamada sinche, es decir, la vieja entidad debe quemarse o tirarse al agua que corre después de ser sustituida o no está permitido llevar los cereales que están guardados en la jarra de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o la de Eop fuera del hogar. Como se indica en las frases anteriores, el geumgi está relacionado con el acto para alejar lo impuro de los humanos para encontrar lo sagrado, por lo cual se puede suponer que el geumgi ha sido creado por la creencia de la gente de que eliminar las impurezas podrá ayudarle a cumplir sus deseos.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