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문기

한국무속신앙사전
군문기
신체 형상으로 오린 [백지](/topic/백지)를 대나무 [가지](/topic/가지)에 달아 [대문](/topic/대문)의 양쪽에 세우는 기. ‘군문’은 대문을 의미하고 ‘기’는 깃발을 의미한다. 올레에 두는 것이기에 ‘올렛기’라고도 한다.
definition
신체 형상으로 오린 [백지](/topic/백지)를 대나무 [가지](/topic/가지)에 달아 [대문](/topic/대문)의 양쪽에 세우는 기. ‘군문’은 대문을 의미하고 ‘기’는 깃발을 의미한다. 올레에 두는 것이기에 ‘올렛기’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강정식
정의신체 형상으로 오린 [백지](/topic/백지)를 대나무 [가지](/topic/가지)에 달아 [대문](/topic/대문)의 양쪽에 세우는 기. ‘군문’은 대문을 의미하고 ‘기’는 깃발을 의미한다. 올레에 두는 것이기에 ‘올렛기’라고도 한다.
내용군문기는 일종의 호위병으로서 보초를 서는 것이라고 한다. 제청 안으로 청해 들인 신이 굿이 끝날 때까지 바깥으로 나[가지](/topic/가지) 못하도록 지키는 것이면서 청하지 아니한 잡신이 범접하지 못하도록 지키는 셈이다. 달리 굿하는 장소임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고도 한다. 찾아오는 신에게 굿하는 장소임을 알리는 구실을 한다는 뜻이다. 아울러 사람들에게도 굿하는 집임을 알려 부정한 자의 출입을 막는 효과를 얻는다.

군문기는 [대문](/topic/대문)을 지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어서 이것을 내걸고 걷어내는 제차가 정해져 있다. 큰굿에서는 초상계 끝에 달았다가 굿이 끝나갈 쯤에 [구연](/topic/구연)하는 끝에 걷어낸다. 이는 집안의 문마다 붙이는 오방각기의 경우와 일치한다. 신을 다 청해 들이고 나서 달고 신을 보내면서 걷어내는 셈이다. 군문기를 내걸 때는 “오방각기, 시군문도 잡으레 가자.”라고 하고, 걷어낼 때는 “오방각기, 시군문도 히여 맞자.”라고 한다. ‘시군문’은 대문을 말하며, ‘잡으레 가자’고 하는 것은 ‘닫으러 가자’는 뜻이다. ‘히여 맞자’고 하는 것은 ‘거두어들이자’는 뜻이다. 심방이 이러한 말명을 하면 [소미](/topic/소미)가 나서서 오방각기와 함께 군문기를 걸거나 걷어낸다. 걷어낸 군문기는 태워 없앤다. 참고로 초감제의 군문열림과 군문기는 무관하다.

한편 군문기가 내걸린 대문 바깥은 청하여 들인 신들을 따라온 군졸, 임신 등이 대기하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굿의 주요 제차를 진행하고 나면 항상 ‘주잔넘김’을 하여 남은 술잔을 이들에게 바치는 의례를 하여 달랜다.

군문기는 울타리 안을 제의적인 공간으로 구획해준다. 이는 오방각기, [살장](/topic/살장) 등이 하는 기능과 같다. 굿은 울타리 안, [마당](/topic/마당), 집안이라는 조금씩 달리 구획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요즘에는 제차에 구애됨이 없이 군문기를 내걸고 걷어내는 경향이 있다. 군문기가 본래의 기능을 잃고 장식적인 기능을 하는 데 그치고 있는 셈이다. 심방집에서 굿을 할 때는 군문기를 걸지 않는다고 하는 이도 있다. 당주에 항상 신을 모시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의 기메고-무속의 신체 형성의 일면 (현용준, 문화인류학 2, 한국문화인류학회, 1969)
제주도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형태[백지](/topic/백지)나 흰 천을 신체 형상으로 오려 잎이 달린 대나무[가지](/topic/가지)에 묶어 굿하는 집의 [대문](/topic/대문) 양쪽에 세우거나 매단다. 천을 쓰는 것은 굿을 하는 동안 비가 오더라도 훼손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군문기
64688
군문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