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애비

한국무속신앙사전
귀신의 업[鬼業]. 귀업이 또는 구업이라고도 한다.
definition
귀신의 업[鬼業]. 귀업이 또는 구업이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양종승
정의귀신의 업[鬼業]. 귀업이 또는 구업이라고도 한다.
내용구애비는 죽은 사람이 살아생전 무업을 통해 사용되었던 신구로 현실화되는데, 무당이 될 어떤 사람이 [신병](/topic/신병)을 앓다가 이를 떠오는 것을 “구애비 떳다”라고 한다. 구애비는 무당이 무업을 청산할 때, 만들어지는 무업의 종결로 생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애비의 창출은 무업의 끝맺음이자 시작인 셈이다. 신구들은 무업을 중단하고자 할 때, 나이가 들어 무업을 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죽음을 당했을 때 본인 또는 가족이 비밀리에 깊은 산속이나 땅 속에 파묻어 둔다. 무신도의 경우에는 집안의 방 벽에 붙인 후 겉에다 [도배](/topic/도배)종이를 발라서 감춰둔다. 이것을 신이 내릴 어떤 사람이 선몽이나 예언으로 찾아서 모셔가는 것이다.

구애비의 신구에는 방울, 엽전, 부채, 무신도, 신복 등이 있다. 천이나 종이로 된 것들은 쉽게 부식되어 없어지지만 쇠붙이는 녹은 슬더라도 오랫동안 형체가 보전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구애비를 뜨면 으레 무당이 되는 것이고, 또한 무당이 되기 위해선 구애비를 떠야 되었다.

한편, 신구를 파묻는 관습이 생겨난 특별한 이유가 있다. 무당 문서에 따르면 무당은 무당 부리(뿌리)에서 나온다. 즉, 무당은 집안의 혈족에 의해 내림받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사회가 천대시하는 무당이 후대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본인이 사용하던 신구들을 땅에 묻거나 불태우는 관습이 생겨난 것이다.
참고문헌무당의 [신병](/topic/신병)과 신들림 (양종승, 한국무속학 3, 2001)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