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

한국무속신앙사전
무격(巫覡)을 제주도에서 통칭하여 부르는 말. 제주도에서는 무속적 사제를 통칭하는 무당이라는 말 대신에 심방이라고 부른다. 심방을 좀 더 좁혀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제주도의 어떤 굿이라도 제법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를 일컫는다.
definition
무격(巫覡)을 제주도에서 통칭하여 부르는 말. 제주도에서는 무속적 사제를 통칭하는 무당이라는 말 대신에 심방이라고 부른다. 심방을 좀 더 좁혀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제주도의 어떤 굿이라도 제법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를 일컫는다.
mp3Cnt
0
wkorname
허용호
정의무격(巫覡)을 제주도에서 통칭하여 부르는 말. 제주도에서는 무속적 사제를 통칭하는 무당이라는 말 대신에 심방이라고 부른다. 심방을 좀 더 좁혀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제주도의 어떤 굿이라도 제법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를 일컫는다.
내용심방이란 말의 어원은 확실치 않지만 한자어에서 온 것으로 추론하고 있다. 제주도에서 심방이 부르는 무가에 심방을 ‘신의 성방’ 또는 ‘신의 아이’라 일컫는 대목이 있다. 여기서 신의 성방은 ‘신(神)의 형방(刑房)’이 구개음화한 것이고, 신의 아이란 신의 심부름을 하는 아이라는 뜻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현용준은 심방이 신의 형방이 축약된 말인 신방(神房)이 자음역행동화하여 된 말로 추론한다.

진성기는 심방의 어원을 제주도 고유어에서 찾는다. 심방에서 ‘심’은 ‘잡다’라는 의미인 제주도 사투리 ‘심다’에서 온 것이며, ‘방’은 제주도 고유의 존칭대명사라는 것이다. 심방은 ‘신령을 붙잡은 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또 심방을 한자어로 ‘尋房’이라 쓰는데, 이는 본래의 의미에 ‘신령을 만나는 이’ 또는 ‘신령을 찾는 이’라는 의미가 복합된 것임을 말하는 것이라 고 주장한다.

제주도의 무속 사제를 일컫는 심방에는 남녀가 따로 없다. 이들을 통칭하여 보통 심방이라 부르지만, 굳이 구분하여 남자는 소나이심방, 여자는 예폔심방이라고 부른다.

제주도에서는 무속적 사제의 소질이나 경력, 굿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른 이를 심방이라 부르기도 한다. 심방의 의미를 좀 더 좁혀서 사용하는 경우 아직 심방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일부 쉬운 굿이나 간단한 축원 제의인 비념 정도만을 할 수 있는 무속 사제를 [소미](/topic/소미)라 구별해서 부른다. 아직 그 기능이 일천한 무당이 곧 소미이다. 소미는 굿을 할 때 보통 징, 설쒜, 북 등의 악기를 친다.

심방 중에서 굿의 집행을 의뢰받아 다른 심방들을 거느리고 가서 굿을 이끄는 역할을 하는 심방을 수심방이라고 한다. 그리고 굿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심방 중에서도 특히 뛰어난 심방을 큰심방이라 부른다. 큰심방은 제주도의 어떤 굿이라도 능히 해낼 수 있는 뛰어난 기능을 하는 심방이다. 큰심방에 조응하여 보통의 기능을 보유한 심방은 족은심방이라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

심방과 관련된 명칭으로 [당맨심방](/topic/당맨심방)도 있다. 말 그대로 당에 매인 혹은 매달린 심방을 말한다. 제주도 [마을](/topic/마을)신앙의 핵심인 본향당의 책임을 맡은 심방이 당맨심방이다. 당맨심방은 자신이 맡은 마을당의 모든 책임과 의무를 지며, 특히 [단골](/topic/단골)들의 신앙생활을 돌보는 역할을 한다.

제주도에서는 무속적 사제를 통칭하여 심방이라 한다. 제주도 이외의 지역에서 심방이라 고 부르는 경우는 없다. 제주도만의 특수한 명칭이다. 심방은 명칭뿐 아니라 입무 과정, 신관, 제의 형식, 개인적 신당의 유무 등에서도 육지 무와는 다른 독특함을 보인다. 육지 무의 ‘신 내린 무당’(강신무)과 ‘대 이은 무당’(세습무)의 분류체계로는 설명되지 않는 독특함이 있다. 흔히 제주도의 심방을 ‘대 이은 무당형(세습무형)’에 포함하지만, 영력을 중시하고 신에 대한 인식이 확고하여 구체적인 신관이 정립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별나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제주무속학사전 (진성기, 제주민속연구소, 2004)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서사무가연구서대석1968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국어국문학회제주도 무속신화의 몇 가지 특징박경신1986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농경기원신화에 나타난 여성인식과 의의이수자1990
백중의 기원과 성격이수자1993
구비문학연구 2설화에 나타난 버들잎 화소의 설화적 기능과 의의이수자1995
집문당제주도 무속을 통해서 본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이수자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