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바가지

한국무속신앙사전
삼신바가지
자녀의 출산, 육아, 건강을 관장하는 삼신의 신체.
definition
자녀의 출산, 육아, 건강을 관장하는 삼신의 신체.
mp3Cnt
0
wkorname
이영식
정의자녀의 출산, 육아, 건강을 관장하는 삼신의 신체.
정의자녀의 출산, 육아, 건강을 관장하는 삼신의 신체.
내용삼신을 모시기 위해서는 우선 삼신 받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전에는 아이를 많이 낳았기 때문에 삼신을 앉히는 것이 상당히 까다로웠다고 한다. 삼신은 흔히 시할머니라고 한다. 아이들이 까닭 없이 아플 때 물으면 “시할머니가 앉으려고 아프다”라고 대답한다. 그래서 삼신을 앉혀놓으면 아프던 아이가 금방 나았다고 한다. 그러나 무속인의 도움을 받아 삼신의 신체를 받는 경우도 많다. 이때 무속인은 신체를 삼신바[가지](/topic/가지), 삼신자루,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고리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준다. 이렇게 해서 받은 삼신바가지는 보통 [안방](/topic/안방) [시렁](/topic/시렁) 위에 모신다. 가정에 따라서는 안방의 한쪽 구석에 나무 선반을 만들어 모시거나 남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안방 [벽장](/topic/벽장), 광, 도장방 등에 모시기도 한다.

삼신의 신격이 흔히 ‘삼신할머니’로 지칭되는 것처럼 삼신바가지 또한 여신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까닭에 조모가 돌아가시면 삼신할머니를 윗대 어른과 바꾸어 놓는다. 그러다가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시어머니를 삼신으로 앉힌다. 그런데 경북 영덕군 창수면 창수2리의 조봉순 씨는 여신이 아닌 남신을 모시고 있다. 사연은 이러하다. 시어머니의 꿈에 돌아가신 시아버지가 자꾸 나타나 “아이들을 더 낳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점쟁이에게 물어보니 시아버지를 삼신으로 앉히라고 했다. 이런 사연으로 현재 삼신으로 [사랑채](/topic/사랑채)어른[시아버지]을 모시고 있다.

삼신에 대한 의례는 정월초하루와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삼월삼짇날, 동지, [안택](/topic/안택)이나 명절을 비롯하여 자식의 점지를 바라면서, 출산한 후 이레(7일)마다 [세이레](/topic/세이레), 백일, 돌, 아기가 아플 때 등에 삼신을 모신다. 삼신을 모실 때는 삼신바가지 앞에 상을 차려놓고 축원을 한다. 이때 삼신이 비린내를 싫어하기 때문에 상에는 생선을 올리지 않는다.

삼신바가지 내용물의 교체는 주로 쌀로 이루어진다. 매년 가을에 햅쌀을 [수확](/topic/수확)하면 삼신바가지의 쌀도 갈아준다. 이때는 손이 없는 좋은 날을 택해 물 한 그릇을 떠 놓고 [비손](/topic/비손)하면서 바꾼다. 햅쌀을 갈아 넣고 그 안에 있던 쌀은 밥이나 떡을 해서 식구들끼리 먹는다. 그리고 삼신바가지에 씌운 [고깔](/topic/고깔)이 더러워지면 빨지 않고 새로 갈아주며, 헌것은 안[마당](/topic/마당)에서 태운다.

인간의 말을 잘 들어주는 신은 삼신할머니고, 잘 삐치는 신도 삼신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밖에서 음식이나 옷감이 들어오면 조금씩이라도 잘라 삼신바가지 앞에 놓고 먼저 보인 뒤 먹거나 옷을 해 입어야 탈이 없다고 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아이가 열 살이 될 때까지 삼신이 보호해 준다고 믿는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아이가 열다섯 살이 되기 전까지 삼신할망에게 빈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막내가 태어나 열 살이 되면 더 이상 삼신바가지를 모시지 않는다. 이때는 신체를 불에 태워 없앤다. 그리고 삼신바가지를 모시던 분이 돌아가시면 상여가 나갈 때 삼신바가지도 함께 버린다.
참고문헌경상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한국민속신앙[사전](/topic/사전)-[마을](/topic/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내용삼신을 모시기 위해서는 우선 삼신 받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전에는 아이를 많이 낳았기 때문에 삼신을 앉히는 것이 상당히 까다로웠다고 한다. 삼신은 흔히 시할머니라고 한다. 아이들이 까닭 없이 아플 때 물으면 “시할머니가 앉으려고 아프다”라고 대답한다. 그래서 삼신을 앉혀놓으면 아프던 아이가 금방 나았다고 한다. 그러나 무속인의 도움을 받아 삼신의 신체를 받는 경우도 많다. 이때 무속인은 신체를 삼신바[가지](/topic/가지), 삼신자루,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고리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준다. 이렇게 해서 받은 삼신바가지는 보통 [안방](/topic/안방) [시렁](/topic/시렁) 위에 모신다. 가정에 따라서는 안방의 한쪽 구석에 나무 선반을 만들어 모시거나 남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안방 [벽장](/topic/벽장), 광, 도장방 등에 모시기도 한다.

삼신의 신격이 흔히 ‘삼신할머니’로 지칭되는 것처럼 삼신바가지 또한 여신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까닭에 조모가 돌아가시면 삼신할머니를 윗대 어른과 바꾸어 놓는다. 그러다가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시어머니를 삼신으로 앉힌다. 그런데 경북 영덕군 창수면 창수2리의 조봉순 씨는 여신이 아닌 남신을 모시고 있다. 사연은 이러하다. 시어머니의 꿈에 돌아가신 시아버지가 자꾸 나타나 “아이들을 더 낳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점쟁이에게 물어보니 시아버지를 삼신으로 앉히라고 했다. 이런 사연으로 현재 삼신으로 [사랑채](/topic/사랑채)어른[시아버지]을 모시고 있다.

삼신에 대한 의례는 정월초하루와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삼월삼짇날, 동지, [안택](/topic/안택)이나 명절을 비롯하여 자식의 점지를 바라면서, 출산한 후 이레(7일)마다 [세이레](/topic/세이레), 백일, 돌, 아기가 아플 때 등에 삼신을 모신다. 삼신을 모실 때는 삼신바가지 앞에 상을 차려놓고 축원을 한다. 이때 삼신이 비린내를 싫어하기 때문에 상에는 생선을 올리지 않는다.

삼신바가지 내용물의 교체는 주로 쌀로 이루어진다. 매년 가을에 햅쌀을 [수확](/topic/수확)하면 삼신바가지의 쌀도 갈아준다. 이때는 손이 없는 좋은 날을 택해 물 한 그릇을 떠 놓고 [비손](/topic/비손)하면서 바꾼다. 햅쌀을 갈아 넣고 그 안에 있던 쌀은 밥이나 떡을 해서 식구들끼리 먹는다. 그리고 삼신바가지에 씌운 [고깔](/topic/고깔)이 더러워지면 빨지 않고 새로 갈아주며, 헌것은 안[마당](/topic/마당)에서 태운다.

인간의 말을 잘 들어주는 신은 삼신할머니고, 잘 삐치는 신도 삼신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밖에서 음식이나 옷감이 들어오면 조금씩이라도 잘라 삼신바가지 앞에 놓고 먼저 보인 뒤 먹거나 옷을 해 입어야 탈이 없다고 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아이가 열 살이 될 때까지 삼신이 보호해 준다고 믿는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아이가 열다섯 살이 되기 전까지 삼신할망에게 빈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막내가 태어나 열 살이 되면 더 이상 삼신바가지를 모시지 않는다. 이때는 신체를 불에 태워 없앤다. 그리고 삼신바가지를 모시던 분이 돌아가시면 상여가 나갈 때 삼신바가지도 함께 버린다.
참고문헌경상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한국민속신앙[사전](/topic/사전)-[마을](/topic/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형태삼신의 신체는 상징물의 형태에 따라 삼신바[가지](/topic/가지), 삼신자루,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고리, 삼신토방구리 등으로 불린다. 경기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제석과 삼신을 동일하게 취급하여 제석바가지를 삼신바가지라고도 한다. 반면에 신체가 없는 삼신을 지칭할 때는 [건궁](/topic/건궁)삼신, 허공삼신, 뜬삼신이라고 한다.

삼신바가지는 일반적으로 박 바가지로 만들며, 크기는 정해져 있지 않다. 삼신바가지 안의 구체적인 내용물은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바가지에 쌀만 넣고 [한지](/topic/한지)나 [고깔](/topic/고깔)로 그 위를 덮은 형태, 바가지에 쌀을 넣고 그 위에 한지로 덮은 다음 실로 묶은 형태, 바가지에 쌀을 넣고 그 위에 [실타래](/topic/실타래)를 걸친 형태, 바가지에 쌀을 넣고 그 위에 미역으로 걸친 형태, 바가지 안에 실타래만 넣은 형태, 바가지에 실타래와 한지를 넣은 형태, 바가지에 한지만 접어서 넣은 형태, 바가지에 천 조각만 넣은 형태, 바가지에 천 조각과 실타래를 넣은 형태 등 다양하다. 아울러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에서는 아이들이 잘 자라길 바라는 마음에 첫아이를 낳고 아기에게 입힌 [배냇저고리](/topic/배냇저고리)를 깨끗하게 빨아서 삼신바가지에 넣어 막내를 낳을 때까지 둔다고 한다.
형태삼신의 신체는 상징물의 형태에 따라 삼신바[가지](/topic/가지), 삼신자루,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고리, 삼신토방구리 등으로 불린다. 경기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제석과 삼신을 동일하게 취급하여 제석바가지를 삼신바가지라고도 한다. 반면에 신체가 없는 삼신을 지칭할 때는 [건궁](/topic/건궁)삼신, 허공삼신, 뜬삼신이라고 한다.

삼신바가지는 일반적으로 박 바가지로 만들며, 크기는 정해져 있지 않다. 삼신바가지 안의 구체적인 내용물은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바가지에 쌀만 넣고 [한지](/topic/한지)나 [고깔](/topic/고깔)로 그 위를 덮은 형태, 바가지에 쌀을 넣고 그 위에 한지로 덮은 다음 실로 묶은 형태, 바가지에 쌀을 넣고 그 위에 [실타래](/topic/실타래)를 걸친 형태, 바가지에 쌀을 넣고 그 위에 미역으로 걸친 형태, 바가지 안에 실타래만 넣은 형태, 바가지에 실타래와 한지를 넣은 형태, 바가지에 한지만 접어서 넣은 형태, 바가지에 천 조각만 넣은 형태, 바가지에 천 조각과 실타래를 넣은 형태 등 다양하다. 아울러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에서는 아이들이 잘 자라길 바라는 마음에 첫아이를 낳고 아기에게 입힌 [배냇저고리](/topic/배냇저고리)를 깨끗하게 빨아서 삼신바가지에 넣어 막내를 낳을 때까지 둔다고 한다.
한국문화인류학회제주도무속의 기메고-무속의 신체 형성의 일면현용준1969
집문당제주도무속연구현용준1986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13496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13495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원덕읍 김재은댁 삼신바가지
13494
원덕읍 김재은댁 삼신바가지
탕곡리 양지모전 삼신바가지
13493
탕곡리 양지모전 삼신바가지
삼신바가지
13492
삼신바가지
삼신
13491
삼신
삼신바가지(삼신종고래기)
13490
삼신바가지(삼신종고래기)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13496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13495
김광진씨 가옥 삼신바가지
원덕읍 김재은댁 삼신바가지
13494
원덕읍 김재은댁 삼신바가지
탕곡리 양지모전 삼신바가지
13493
탕곡리 양지모전 삼신바가지
삼신바가지
13492
삼신바가지
삼신
13491
삼신
삼신바가지(삼신종고래기)
13490
삼신바가지(삼신종고래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