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모시기

한국무속신앙사전
삼신모시기
자식을 점지해 주고 아이의 출산과 육아를 담당하는 삼신에게 지내는 제의. 아이의 출산과 연관하여 주로 행해지지만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definition
자식을 점지해 주고 아이의 출산과 육아를 담당하는 삼신에게 지내는 제의. 아이의 출산과 연관하여 주로 행해지지만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백민영
정의자식을 점지해 주고 아이의 출산과 육아를 담당하는 삼신에게 지내는 제의. 아이의 출산과 연관하여 주로 행해지지만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정의자식을 점지해 주고 아이의 출산과 육아를 담당하는 삼신에게 지내는 제의. 아이의 출산과 연관하여 주로 행해지지만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내용자손이 없는 집에서는 아이 갖기를 원하여 딸만 있는 경우 아들을 원하여 삼신을 모시게 된다. 그리고 집안에 우환이 생겨 마음이 편치 않을 때 무당이나 점쟁이의 점괘에 의해 삼신을 모시기도 한다.

삼신은 주부, 산모, 아이의 할머니 등 집안의 여성에 의해 모셔진다. 경우에 따라 동네에서 잘 비는 할머니나 점쟁이, 무당 등을 모셔다 빌기도 한다.

삼신은 자녀의 출생․육아․성장을 관장하는 신이기 때문에 자손을 바라는 마음에 삼신을 모시는 것은 삼신신앙의 근본적인 성격에 가장 가까운 행위이다. 의학혜택을 거의 받을 수 없었던 과거에는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돌보아 주는 삼신이 생명의 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과거에는 집에서 아이의 출산이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시어머니, 시할머니는 직접 손자의 탄생을 맞이하며 삼신모시기를 통해 자녀들의 건강을 기원하였다. 그리고 아이가 아파도 쉽게 병원에 가거나 약을 지을 수가 없어서 삼신에게 아이가 아프지 않게 도와 달라고 [비손](/topic/비손)하는 일이 우선이었다.

삼신에 대한 제의는 지역과 가정에 따라 크고 작은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 비슷한 제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특히 아이의 출산과 관련하여 행해진다. 설, 추석,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동지 등 명절에 제의를 올리거나 신체 안의 햇곡식을 갈아 줄 때 간단히 삼신에게 치성을 드린다. 또한 특정한 날과 상관없이 아이가 아플 때 집안에 우환이 생겨 마음이 편치 않을 때, 제의 주재자가 삼신의 힘을 빌릴 일이 생길 때면 수시로 삼신을 위한다.

출산과 관련하여서는 아이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삼신상](/topic/삼신상)을 차려서 순산을 빈다. 출산을 하면 [삼신밥](/topic/삼신밥)이라고 하여 첫 국밥을 삼신에게 바친다. 삼신상은 아이의 출산 전날부터 산 날과 삼일, 초이레, 두이레, [삼칠일](/topic/삼칠일), 길게는 일곱이레까지 차린다. 일반적으로는 두이레까지 상을 차린다. 산 날과 초이레까지는 대개 미역 또는 미역국, 밥, [정화수](/topic/정화수) 등을 올린다. 그 후에는 정화수 정도만 떠다 놓는다. 삼신상에 올린 제물은 산모가 먹어야 아이가 건강하고 산모의 젖이 잘 나온다고 한다. 돌과 백일에도 미역국, 밥, 백설기, [실타래](/topic/실타래) 등을 준비하여 삼신에게 아이의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이날 음식은 이웃들과 나누어 먹는다. 삼신을 위할 때 미역은 제물 가운데 가장 중요하다. 충청도 지역에서는 이 미역을 ‘산각’이라고 한다. 산모의 출산 전에 집안의 남자어른은 산각을 준비하여 산모의 방에 걸어 둔다. 산각의 길이를 보고 태어날 아이의 성별을 예측하기도 한다.

명절에 삼신을 위할 때는 설에는 떡국, 정월대보름에는 [오곡](/topic/오곡)밥, 동짓날에는 팥죽을 올린다. 명절에는 성주나 조상에게 먼저 상을 차려 위한 다음 삼신에게 치성을 드린다.

삼신의 신체는 지역에 따라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바[가지](/topic/가지)](/topic/삼신바가지), 삼신주머니, 지앙동우, 삼신편고리 등 형태가 다양하다. 신체 없이 특정 자리를 삼신이 있다고 인지하고 모시는 경우에는 ‘[건궁](/topic/건궁)삼신’, ‘[허궁](/topic/허궁)삼신’, ‘공중삼신’ 등으로 불린다. 삼신의 신체 안에는 그 해 [수확](/topic/수확)한 햇곡식을 [봉안](/topic/봉안)해 두면서 일 년에 한 번 갈아 준다. 대개 시월상달에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을 택해 묵은 곡식을 덜어내고 햇곡식을 넣어 준다. 햇곡식을 갈아 주는 날에는 간단하게 정화수만 떠 놓기도 하며, 팥 [시루떡](/topic/시루떡)이나 백설기를 쪄서 삼신에게 빈다. 신체 안의 묵은 곡식은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가족끼리 먹어야 복이 나가지 않는다고 한다.

삼신의 자리는 주로 [안방](/topic/안방) [아랫목](/topic/아랫목)이나 [윗목](/topic/윗목) 등 집안의 여성이 상주하는 공간이다. 삼신을 새로 모실 때 자신이 직접 삼신을 앉히거나 무당의 도움으로 삼신을 앉힌다. 이 때 ‘삼신이 드는 자리’에 모셔야 한다. 삼신이 드는 자리는 대부분 안방이다. 가정신앙은 주부의 생활권과 연관되어 신의 자리가 상정된다. 이것은 생활공간과 신앙공간이 분리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삼신은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는 신인 만큼 여성과 관계가 깊은 신으로서 안방에 좌정하고 있는 것이다.

삼신을 모시게 된 배경은 윗대에서부터 자연스럽게 물림을 받아 제의를 행하는 경우,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 삼신을 모시는 경우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물림에 의한 전통문화의 전승은 전통사회에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삼신모시기도 예외는 아니다. 윗대에서부터 대물림을 받아 다음 세대에 물려주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삼신을 여자 조상으로 생각하여 시어머니를 삼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시어머니가 모시던 삼신은 곧 시할머니로서,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면서 삼신도 함께 나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삼신의 신체를 없애고 새로 모신다. 그러나 그 뒤로 별 탈이 없다면 새로 모시지 않기도 한다.

가정에 따라서는 윗대에서 삼신을 모셨다고 해서 그대로 물려받아 삼신을 모시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신이 나가면서 신이 몸담고 있던 신체도 함께 내보내야 한다고 생각하여 삼신의 신체를 없앤다. 당연히 삼신도 그대로 물려받지 않는다.

삼신을 새로 모시는 경우에는 이전 세대의 삼신은 내보내고 필요에 의해 삼신을 다시 받아 모신다. 자손이 없는 집에서는 아이 갖기를 원해서 딸만 있는 집에서는 아들을 원해서 삼신을 모시게 된다. 삼신을 모시지 않는 가정에서 가족이 이유도 없이 몸이 아프거나 우환이 생기거나, 꿈에 돌아가신 조상이 나오거나 하는 등 여러 가지 조짐이 생기면 주부는 점쟁이를 찾아가서 점괘를 보게 된다. 점괘에 삼신을 모시라고 나오면 무당이나 점쟁이 등을 불러 삼신을 좌정시키거나 당사자가 손 없는 깨끗한 날을 받아 바가지, 쌀 등을 준비하여 삼신을 앉힌다. 삼신을 모셔야 하다는 점괘에는 주로 집 안의 조상이 삼신으로 집안에 들어오고 싶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신비체험에 의한 삼신모시기는 삼신신앙의 지속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삼신이 화가 나면 집을 나간다고 한다. 이를 ‘삼신 탈났다’고 한다. 삼신을 잘못 모시거나 신체를 함부로 했을 때 일어난다. 삼신이 화가 나면 아이에게 해코지를 해서 표시를 한다. 이 때문에 집안의 주부는 삼신을 다시 불러서 위해야 한다. 주부는 삼신의 신체가 있는 곳이나 [장롱](/topic/장롱) 앞에 삼신상을 차리고 비손한다. 경우에 따라서 무당을 불러 삼신을 다시 앉히기도 한다.

삼신모시기를 더 이상 지속하지 않을 경우 모시던 신체를 없애야 한다. 이때 신체를 함부로 버리면 안 된다고 한다. 원래 상정하고 있는 자리에서 내려 신체에 봉안된 것을 꺼낸 뒤 손이 없고 깨끗한 장소에 묻거나 개울이나 강에 띄워 보낸다. 신체를 버리지 않고 신체 안의 내용물을 비워 집 안 한 쪽에 두거나 실생활에서 [곡물](/topic/곡물)을 담아 두는 용기(用器)로 사용하기도 한다. 삼신의 신체는 대부분 자신이 길일을 택해 직접 없애기도 한다. 신이 깃들어 있던 물건이기 때문에 함부로 사람이 손을 대면 안 된다고 생각하여 무당이나 [마을](/topic/마을)에 잘 비는 사람을 불러 길일을 택하여 미역국, 밥, 떡 등을 차려 제사를 지낸 뒤 신체를 없애기도 한다.
내용자손이 없는 집에서는 아이 갖기를 원하여 딸만 있는 경우 아들을 원하여 삼신을 모시게 된다. 그리고 집안에 우환이 생겨 마음이 편치 않을 때 무당이나 점쟁이의 점괘에 의해 삼신을 모시기도 한다.

삼신은 주부, 산모, 아이의 할머니 등 집안의 여성에 의해 모셔진다. 경우에 따라 동네에서 잘 비는 할머니나 점쟁이, 무당 등을 모셔다 빌기도 한다.

삼신은 자녀의 출생․육아․성장을 관장하는 신이기 때문에 자손을 바라는 마음에 삼신을 모시는 것은 삼신신앙의 근본적인 성격에 가장 가까운 행위이다. 의학혜택을 거의 받을 수 없었던 과거에는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돌보아 주는 삼신이 생명의 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과거에는 집에서 아이의 출산이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시어머니, 시할머니는 직접 손자의 탄생을 맞이하며 삼신모시기를 통해 자녀들의 건강을 기원하였다. 그리고 아이가 아파도 쉽게 병원에 가거나 약을 지을 수가 없어서 삼신에게 아이가 아프지 않게 도와 달라고 [비손](/topic/비손)하는 일이 우선이었다.

삼신에 대한 제의는 지역과 가정에 따라 크고 작은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 비슷한 제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특히 아이의 출산과 관련하여 행해진다. 설, 추석,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동지 등 명절에 제의를 올리거나 신체 안의 햇곡식을 갈아 줄 때 간단히 삼신에게 치성을 드린다. 또한 특정한 날과 상관없이 아이가 아플 때 집안에 우환이 생겨 마음이 편치 않을 때, 제의 주재자가 삼신의 힘을 빌릴 일이 생길 때면 수시로 삼신을 위한다.

출산과 관련하여서는 아이를 낳기 전에 짚을 깔고 [삼신상](/topic/삼신상)을 차려서 순산을 빈다. 출산을 하면 [삼신밥](/topic/삼신밥)이라고 하여 첫 국밥을 삼신에게 바친다. 삼신상은 아이의 출산 전날부터 산 날과 삼일, 초이레, 두이레, [삼칠일](/topic/삼칠일), 길게는 일곱이레까지 차린다. 일반적으로는 두이레까지 상을 차린다. 산 날과 초이레까지는 대개 미역 또는 미역국, 밥, [정화수](/topic/정화수) 등을 올린다. 그 후에는 정화수 정도만 떠다 놓는다. 삼신상에 올린 제물은 산모가 먹어야 아이가 건강하고 산모의 젖이 잘 나온다고 한다. 돌과 백일에도 미역국, 밥, 백설기, [실타래](/topic/실타래) 등을 준비하여 삼신에게 아이의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이날 음식은 이웃들과 나누어 먹는다. 삼신을 위할 때 미역은 제물 가운데 가장 중요하다. 충청도 지역에서는 이 미역을 ‘산각’이라고 한다. 산모의 출산 전에 집안의 남자어른은 산각을 준비하여 산모의 방에 걸어 둔다. 산각의 길이를 보고 태어날 아이의 성별을 예측하기도 한다.

명절에 삼신을 위할 때는 설에는 떡국, 정월대보름에는 [오곡](/topic/오곡)밥, 동짓날에는 팥죽을 올린다. 명절에는 성주나 조상에게 먼저 상을 차려 위한 다음 삼신에게 치성을 드린다.

삼신의 신체는 지역에 따라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바[가지](/topic/가지)](/topic/삼신바가지), 삼신주머니, 지앙동우, 삼신편고리 등 형태가 다양하다. 신체 없이 특정 자리를 삼신이 있다고 인지하고 모시는 경우에는 ‘[건궁](/topic/건궁)삼신’, ‘[허궁](/topic/허궁)삼신’, ‘공중삼신’ 등으로 불린다. 삼신의 신체 안에는 그 해 [수확](/topic/수확)한 햇곡식을 [봉안](/topic/봉안)해 두면서 일 년에 한 번 갈아 준다. 대개 시월상달에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을 택해 묵은 곡식을 덜어내고 햇곡식을 넣어 준다. 햇곡식을 갈아 주는 날에는 간단하게 정화수만 떠 놓기도 하며, 팥 [시루떡](/topic/시루떡)이나 백설기를 쪄서 삼신에게 빈다. 신체 안의 묵은 곡식은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가족끼리 먹어야 복이 나가지 않는다고 한다.

삼신의 자리는 주로 [안방](/topic/안방) [아랫목](/topic/아랫목)이나 [윗목](/topic/윗목) 등 집안의 여성이 상주하는 공간이다. 삼신을 새로 모실 때 자신이 직접 삼신을 앉히거나 무당의 도움으로 삼신을 앉힌다. 이 때 ‘삼신이 드는 자리’에 모셔야 한다. 삼신이 드는 자리는 대부분 안방이다. 가정신앙은 주부의 생활권과 연관되어 신의 자리가 상정된다. 이것은 생활공간과 신앙공간이 분리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삼신은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는 신인 만큼 여성과 관계가 깊은 신으로서 안방에 좌정하고 있는 것이다.

삼신을 모시게 된 배경은 윗대에서부터 자연스럽게 물림을 받아 제의를 행하는 경우,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 삼신을 모시는 경우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물림에 의한 전통문화의 전승은 전통사회에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삼신모시기도 예외는 아니다. 윗대에서부터 대물림을 받아 다음 세대에 물려주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삼신을 여자 조상으로 생각하여 시어머니를 삼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시어머니가 모시던 삼신은 곧 시할머니로서,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면서 삼신도 함께 나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삼신의 신체를 없애고 새로 모신다. 그러나 그 뒤로 별 탈이 없다면 새로 모시지 않기도 한다.

가정에 따라서는 윗대에서 삼신을 모셨다고 해서 그대로 물려받아 삼신을 모시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신이 나가면서 신이 몸담고 있던 신체도 함께 내보내야 한다고 생각하여 삼신의 신체를 없앤다. 당연히 삼신도 그대로 물려받지 않는다.

삼신을 새로 모시는 경우에는 이전 세대의 삼신은 내보내고 필요에 의해 삼신을 다시 받아 모신다. 자손이 없는 집에서는 아이 갖기를 원해서 딸만 있는 집에서는 아들을 원해서 삼신을 모시게 된다. 삼신을 모시지 않는 가정에서 가족이 이유도 없이 몸이 아프거나 우환이 생기거나, 꿈에 돌아가신 조상이 나오거나 하는 등 여러 가지 조짐이 생기면 주부는 점쟁이를 찾아가서 점괘를 보게 된다. 점괘에 삼신을 모시라고 나오면 무당이나 점쟁이 등을 불러 삼신을 좌정시키거나 당사자가 손 없는 깨끗한 날을 받아 바가지, 쌀 등을 준비하여 삼신을 앉힌다. 삼신을 모셔야 하다는 점괘에는 주로 집 안의 조상이 삼신으로 집안에 들어오고 싶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신비체험에 의한 삼신모시기는 삼신신앙의 지속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삼신이 화가 나면 집을 나간다고 한다. 이를 ‘삼신 탈났다’고 한다. 삼신을 잘못 모시거나 신체를 함부로 했을 때 일어난다. 삼신이 화가 나면 아이에게 해코지를 해서 표시를 한다. 이 때문에 집안의 주부는 삼신을 다시 불러서 위해야 한다. 주부는 삼신의 신체가 있는 곳이나 [장롱](/topic/장롱) 앞에 삼신상을 차리고 비손한다. 경우에 따라서 무당을 불러 삼신을 다시 앉히기도 한다.

삼신모시기를 더 이상 지속하지 않을 경우 모시던 신체를 없애야 한다. 이때 신체를 함부로 버리면 안 된다고 한다. 원래 상정하고 있는 자리에서 내려 신체에 봉안된 것을 꺼낸 뒤 손이 없고 깨끗한 장소에 묻거나 개울이나 강에 띄워 보낸다. 신체를 버리지 않고 신체 안의 내용물을 비워 집 안 한 쪽에 두거나 실생활에서 [곡물](/topic/곡물)을 담아 두는 용기(用器)로 사용하기도 한다. 삼신의 신체는 대부분 자신이 길일을 택해 직접 없애기도 한다. 신이 깃들어 있던 물건이기 때문에 함부로 사람이 손을 대면 안 된다고 생각하여 무당이나 [마을](/topic/마을)에 잘 비는 사람을 불러 길일을 택하여 미역국, 밥, 떡 등을 차려 제사를 지낸 뒤 신체를 없애기도 한다.
역사삼신은 삼신(三神)으로 표기하여 삼신의 삼을 숫자 삼(三)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삼신을 세 분이라고도 한다. 환인․환웅․단군의 삼신(三神)과 동일하다는 설도 있고, 산신(山神)이 삼신으로 음운변화하였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삼신(三神)’과 ‘산신(山神)’의 표기는 한자의 영향을 받아 그릇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말에 태(胎)를 가리켜 ‘삼’이라 하고, 탯줄을 자르는 것을 ‘삼 가르다’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삼신은 태신(胎神)으로, 우리말에서 파생되었다는 설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삼신모시기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역사적 근원을 찾기는 어렵다. 가정신앙의 역사적인 연원을 밝힐 만한 기록물이나 유물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무속의 굿거리에 삼신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가정신앙인 삼신신앙을 무속신앙과 연원이 같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무속에서의 [가신](/topic/가신)(家神)과 가신에서의 삼신이 혼합되어 그 연원이 같다고 본다면 삼신모시기는 무속의 시원(始原)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특히 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건강을 보살펴 주는 신으로서 한 생명의 탄생을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시대를 막론하고 생명의 탄생은 삶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삼신의 역사적 연원은 선사시대부터라고 생각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의학의 혜택을 거의 받을 수 없어서 과거에는 아이와 산모의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삼신은 여성들에게 중요한 신앙 가운데 하나였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부계중심 사회에서 여성이 자식을 낳지 못하면 칠거지악에 해당되어 자식을 낳기 위해 기자의 대상인 삼신에게 치성을 드렸다.
역사삼신은 삼신(三神)으로 표기하여 삼신의 삼을 숫자 삼(三)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삼신을 세 분이라고도 한다. 환인․환웅․단군의 삼신(三神)과 동일하다는 설도 있고, 산신(山神)이 삼신으로 음운변화하였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삼신(三神)’과 ‘산신(山神)’의 표기는 한자의 영향을 받아 그릇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말에 태(胎)를 가리켜 ‘삼’이라 하고, 탯줄을 자르는 것을 ‘삼 가르다’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삼신은 태신(胎神)으로, 우리말에서 파생되었다는 설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삼신모시기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역사적 근원을 찾기는 어렵다. 가정신앙의 역사적인 연원을 밝힐 만한 기록물이나 유물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무속의 굿거리에 삼신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가정신앙인 삼신신앙을 무속신앙과 연원이 같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무속에서의 [가신](/topic/가신)(家神)과 가신에서의 삼신이 혼합되어 그 연원이 같다고 본다면 삼신모시기는 무속의 시원(始原)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특히 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건강을 보살펴 주는 신으로서 한 생명의 탄생을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시대를 막론하고 생명의 탄생은 삶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삼신의 역사적 연원은 선사시대부터라고 생각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의학의 혜택을 거의 받을 수 없어서 과거에는 아이와 산모의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삼신은 여성들에게 중요한 신앙 가운데 하나였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부계중심 사회에서 여성이 자식을 낳지 못하면 칠거지악에 해당되어 자식을 낳기 위해 기자의 대상인 삼신에게 치성을 드렸다.
지역사례경상도지역에서는 삼신을 주로 ‘삼신’, ‘삼신할매’라고 부른다. 안동시 풍산읍 서미[마을](/topic/마을)에서는 [안방](/topic/안방) 한 쪽 벽면이나 [시렁](/topic/시렁)․[장롱](/topic/장롱) 위에 올려져 있는 쌀이 담긴 단지 또는 바[가지](/topic/가지)를 신체로 삼거나 신체 없이 공중([건궁](/topic/건궁))으로 삼신을 위하기도 한다. 대물림이나 자식 기원의 목적으로 삼신을 위하기도 하지만 마을과 [단골](/topic/단골)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무당의 점괘로 삼신모시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 주민은 몸이 좋지 않아 병원에 가도 별 증상이 없고 차도가 없자 무당을 찾아가 [안택](/topic/안택)고사를 하고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를 안방에 앉혔다. 그 뒤로 건강이 좋아졌다고 한다. 특별히 날을 잡아서 제의를 드리지는 않지만 설, 추석,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같은 명절에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다 놓고 간단히 [비손](/topic/비손)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에서는 아이를 낳으면 삼신판을 차려 놓고 삼신할머니에게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빈다. 삼신판에 차려 놓은 쌀은 동네에 초상이나 좋지 않은 일이 없는 깨끗한 때에 먹어야 한다. 대개 삼신판을 차리고 일주일째 되는 날 밥과 미역국을 해서 식구들이 먹는다. [삼신상](/topic/삼신상)은 이레마다 방 [윗목](/topic/윗목)의 손 없는 방향에 차린다.

강원도 강릉시 난곡동 서지마을에서는 태기가 있으면 베로 삼신주머니를 만든다. 주머니 안에 쌀을 넣어서 시렁에 걸어 둔다. 쌀은 매해 칠월칠석 때 갈아주며, 묵은 쌀로 백설기를 만들어 집안 식구끼리 나누어 먹는다. 인제군 기린면 북리 토현마을에서는 아이를 출산하고 키우는 것을 관장하는 신령으로 삼신할머니를 위한다. 자식이 귀하거나 아들이 없는 사람들은 [광목](/topic/광목)을 끊어서 만든 삼신주머니를 걸어 두고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기원한다. 삼신주머니는 한 발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양쪽에다 쌀을 한 되씩 넣어서 방 구석의 못에 걸어 둔다. 삼신할머니는 아이가 열 살 때까지 도와준다고 하기 때문에 아이가 열 살 맞을 때까지 [수수](/topic/수수)팥떡을 생일마다 해 준다. 태백시 구문소동 동점마을에서는 자식이 귀하거나 아들이 없는 집에서 삼신을 받아 모신다. 주부가 직접 받기도 하며 무당이나 점쟁이를 불러다가 삼신을 받기도 한다. 삼신은 산신령의 제자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쌀, [실타래](/topic/실타래), [무명](/topic/무명)천, 미역 등을 준비하여 산에 가서 삼신을 받는다. 제물로 고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상예곡마을에서도 자식이 귀한 집에서는 삼신주머니를 만들어 위하였다. 무명베로 길쭉하게 주머니를 만들어서 그 안에 쌀을 넣고 안방에 걸어 놓는다. 가을이 되면 추수를 해서 삼신주머니에 쌀을 갈아 넣는다. 이때 주머니 앞에 짚을 깔고 메, 미역국, 청수를 한 그릇씩 올린다. 삼신 앞에 짚을 깔면 자손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속신이 있다.

전라도지역에서는 주로 삼신을 ‘지앙’, ‘삼시랑’이라고 칭한다.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산마을에서는 산모가 아이를 낳은 뒤 일곱이레 동안 [산실](/topic/산실) 윗목에 ‘지앙상’을 차려 놓고 위한다. 이레마다 미역국과 밥을 지어 지앙상에 올려놓았다가 산모가 먹는다. 이때 떡을 올리기도 한다. 이를 ‘이레떡’이라고 한다. 곡성군 [오곡](/topic/오곡)면 압록마을에서는 삼신을 삼시랑이라 하면서 산실(産室) 윗목 방바닥에 짚을 깔고 미역국, 쌀, 정화수를 준비하여 ‘삼시랑상’을 차린다. 출산 날 외에도 명절마다 미역국, 밥, 정화수를 차려서 삼시랑을 위한다.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내창마을에서는 집안 식구들 생일 때 지앙을 성주와 함께 모신다. 지앙상이라고 하여 [성주상](/topic/성주상) 밑바닥에 차려 놓는다. 완주군 구이면 대덕마을에서는 신체 없이 ‘[허궁](/topic/허궁)’으로 삼신을 위한다. 아이의 백일이나 돌, 이 밖에 명절이나 [[올벼](/topic/올벼)심리](/topic/올벼심리)를 할 적에도 삼신을 위한다.

제주도지역에서는 아이의 탄생과 성장을 주관하는 신으로 ‘삼승할망’, ‘삼승할망님’이라고도 부른다. 자식이 귀하거나 아들이 없는 집에서는 산모방에 [할망상](/topic/할망상)을 차려놓고 삼승할망을 위하였다. 아이가 놀라거나 아프면 치병의례로 [넋들임](/topic/넋들임)을 한다. 이때에도 삼승할망을 모셔 위하기도 한다.
지역사례경상도지역에서는 삼신을 주로 ‘삼신’, ‘삼신할매’라고 부른다. 안동시 풍산읍 서미[마을](/topic/마을)에서는 [안방](/topic/안방) 한 쪽 벽면이나 [시렁](/topic/시렁)․[장롱](/topic/장롱) 위에 올려져 있는 쌀이 담긴 단지 또는 바[가지](/topic/가지)를 신체로 삼거나 신체 없이 공중([건궁](/topic/건궁))으로 삼신을 위하기도 한다. 대물림이나 자식 기원의 목적으로 삼신을 위하기도 하지만 마을과 [단골](/topic/단골)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무당의 점괘로 삼신모시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 주민은 몸이 좋지 않아 병원에 가도 별 증상이 없고 차도가 없자 무당을 찾아가 [안택](/topic/안택)고사를 하고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를 안방에 앉혔다. 그 뒤로 건강이 좋아졌다고 한다. 특별히 날을 잡아서 제의를 드리지는 않지만 설, 추석,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같은 명절에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다 놓고 간단히 [비손](/topic/비손)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에서는 아이를 낳으면 삼신판을 차려 놓고 삼신할머니에게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빈다. 삼신판에 차려 놓은 쌀은 동네에 초상이나 좋지 않은 일이 없는 깨끗한 때에 먹어야 한다. 대개 삼신판을 차리고 일주일째 되는 날 밥과 미역국을 해서 식구들이 먹는다. [삼신상](/topic/삼신상)은 이레마다 방 [윗목](/topic/윗목)의 손 없는 방향에 차린다.

강원도 강릉시 난곡동 서지마을에서는 태기가 있으면 베로 삼신주머니를 만든다. 주머니 안에 쌀을 넣어서 시렁에 걸어 둔다. 쌀은 매해 칠월칠석 때 갈아주며, 묵은 쌀로 백설기를 만들어 집안 식구끼리 나누어 먹는다. 인제군 기린면 북리 토현마을에서는 아이를 출산하고 키우는 것을 관장하는 신령으로 삼신할머니를 위한다. 자식이 귀하거나 아들이 없는 사람들은 [광목](/topic/광목)을 끊어서 만든 삼신주머니를 걸어 두고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기원한다. 삼신주머니는 한 발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양쪽에다 쌀을 한 되씩 넣어서 방 구석의 못에 걸어 둔다. 삼신할머니는 아이가 열 살 때까지 도와준다고 하기 때문에 아이가 열 살 맞을 때까지 [수수](/topic/수수)팥떡을 생일마다 해 준다. 태백시 구문소동 동점마을에서는 자식이 귀하거나 아들이 없는 집에서 삼신을 받아 모신다. 주부가 직접 받기도 하며 무당이나 점쟁이를 불러다가 삼신을 받기도 한다. 삼신은 산신령의 제자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쌀, [실타래](/topic/실타래), [무명](/topic/무명)천, 미역 등을 준비하여 산에 가서 삼신을 받는다. 제물로 고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상예곡마을에서도 자식이 귀한 집에서는 삼신주머니를 만들어 위하였다. 무명베로 길쭉하게 주머니를 만들어서 그 안에 쌀을 넣고 안방에 걸어 놓는다. 가을이 되면 추수를 해서 삼신주머니에 쌀을 갈아 넣는다. 이때 주머니 앞에 짚을 깔고 메, 미역국, 청수를 한 그릇씩 올린다. 삼신 앞에 짚을 깔면 자손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속신이 있다.

전라도지역에서는 주로 삼신을 ‘지앙’, ‘삼시랑’이라고 칭한다.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산마을에서는 산모가 아이를 낳은 뒤 일곱이레 동안 [산실](/topic/산실) 윗목에 ‘지앙상’을 차려 놓고 위한다. 이레마다 미역국과 밥을 지어 지앙상에 올려놓았다가 산모가 먹는다. 이때 떡을 올리기도 한다. 이를 ‘이레떡’이라고 한다. 곡성군 [오곡](/topic/오곡)면 압록마을에서는 삼신을 삼시랑이라 하면서 산실(産室) 윗목 방바닥에 짚을 깔고 미역국, 쌀, 정화수를 준비하여 ‘삼시랑상’을 차린다. 출산 날 외에도 명절마다 미역국, 밥, 정화수를 차려서 삼시랑을 위한다.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내창마을에서는 집안 식구들 생일 때 지앙을 성주와 함께 모신다. 지앙상이라고 하여 [성주상](/topic/성주상) 밑바닥에 차려 놓는다. 완주군 구이면 대덕마을에서는 신체 없이 ‘[허궁](/topic/허궁)’으로 삼신을 위한다. 아이의 백일이나 돌, 이 밖에 명절이나 [[올벼](/topic/올벼)심리](/topic/올벼심리)를 할 적에도 삼신을 위한다.

제주도지역에서는 아이의 탄생과 성장을 주관하는 신으로 ‘삼승할망’, ‘삼승할망님’이라고도 부른다. 자식이 귀하거나 아들이 없는 집에서는 산모방에 [할망상](/topic/할망상)을 차려놓고 삼승할망을 위하였다. 아이가 놀라거나 아프면 치병의례로 [넋들임](/topic/넋들임)을 한다. 이때에도 삼승할망을 모셔 위하기도 한다.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mosigi es un ritual para adorar a la diosa del parto, Samsin, que se encarga de la fecundidad y actúe como la nodriza para cuidad a los recién nacidos.

Quienes desean tener un hijo realizan este ritual, especialmente aquellos que tienen solamente hijas. En caso de que le ocurra algo malo a la familia, se recomienda llevar a cabo el samsinmosigi por un chamán o un adivino.

El ritual de Samsin se oficia, en general, por la mujer de la casa incluso la esposa, la madre tras el parto o la abuela del bebé. A veces, la persona que desea tener un hijo recurre a la mujer mayor de la aldea para que ofrezca oraciones, pero, en otras ocasiones, se convoca a un chamán o un adivino para tal fin.

El ritual para pedir por el embarazo se relaciona estrechamente con los fundamentales de la adoración de Samsin, ya que la diosa se encarga del parto, crianza y el desarrollo de bebés. Ataño la carencia de servicios médicos le permitía a Samsin jugar un rol crucial como la deidad de la vida protegiendo la salud de las madres y sus hijos recién nacidos. En el ritual, el oficiante o chamán “sienta” a la diosa o la entidad sagrada de ella. Cuando Samsin está enfadada, ella abandona la casa, esto se dice “Samsin se ha marchado”. Samsin abandona la casa cuando las expresiones de la alabanza a ella no son apropiadas o la entidad sagrada que encarna a ella ha sido tratada sin cuidado correspondiente.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expresa su enojo dañando al niño de la familia, lo que es la razón por la cual la mujer de la casa muestra su devoción frotándose las manos en frente de la mesa del ritual, preparada en el área adyacente a la localización de la entidad sagrada de Samsin o en frente del armario.
为掌管送子,产子,育儿的育子神“[三神](/topic/三神)”举行的祭仪。

没有子嗣的家庭为求子举行供三神祭仪。尤以只有闺女的人家为求生男孩而供三神的情形甚多。另外一些人家遭遇不顺,心生不安,听取巫师或算命先生的算卦后也供三神。

供三神由主妇,产妇,孩子奶奶等家中女人主持。根据情况,有时也会请附近擅长祈祷的老婆婆,算命先生或巫师等主持。

由于三神是掌管子女的出生,养育,成长的神,所以为求子而进行的供三神与“三神信仰”本质最接近。过去人们基本无法享受医保,三神作为保佑产妇和孩子健康的神,可谓是生命之神,作用重大。在请新的三神时,主家会亲自请其“入座”,或在巫师的帮助下请其“入座”。三神若生气,会离开主家。这叫做“三神不显灵”,在没有供奉好三神或随意处理神体时会发生。三神生气的话,会降灾给孩子。所以家庭妇女在三神的神体所在地或者衣柜前摆放三神的神案,在案前[摩祷](/topic/摩祷)。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mosigi is the ritual for worshipping Samsin, the Goddess of Childbearing, who blesses families with children and oversees their birth and health.

Households that eagerly await children hold this ritual, especially families with only daughters and no son. Sometimes when a family is experiencing trouble, a shaman or fortuneteller recommends the ritual.

Samsin ritual is officiated by the women of the family, including the wife, post-partum mother, or grandmother of a child. Sometimes an elderly woman from the village is called in to offer prayers, or sometimes a fortuneteller or a shaman is hired.

This ritual of praying for a child is closely related to the fundamentals of Samsin worship since the goddess is in charge of childbirth, child rearing and development. In the old days when medical service was scarce, Samsi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deity of life, overseeing the health of mother and newborn. In the worship ritual, the officiant or a shaman “seats” the goddess, or her sacred entity. When Samsin is angry, she leaves the house, which is referred to as Samsin “going awry, ” and occurs when Samsin is not worshipped properly or when its sacred entity has been handled without care. Samsin expresses her anger by doing harm to the child of the family, which is why the woman of the house expresses her devotion with a hand-rubbing ritual in front of the ritual table set up facing the sacred entity or the wardrobe.
의의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아이의 건강과 산모의 건강까지 보살펴 주는 신이다. 특히 출산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가장 많이 의지하고 믿는 대상이다. 아이의 출산과 건강한 성장은 가족 형성의 근본이며, 자손의 번창은 집안의 번창일 뿐만 아니라 종족을 보존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이기도 하다. 생명의 탄생과 성장을 관장하는 삼신은 시대를 막론하고 중요한 [가신](/topic/가신)으로 인식되었으며, 삼신모시기는 여전히 사람들의 필요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삼신할머니의 기원과 성격 (최광식, 여성문제연구 11, 효성여자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982)
[가신](/topic/가신)신앙의 성격과 여성상 (김명자, 여성문제연구 13, 효성여자대학교 부설 여성문제연구소, 1984)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임재해, 지식산업사, 1996)
한국민속사 입문 (임재해 외, 지식산업사, 1996)
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김형주, 민속원, 2002)
삼신신앙에 나타난 생명 이해에 관한 연구 (박일영, 한국민속학보 10, 한국민속학회, 2004)
한국민속학 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2004)
한국의 가정신앙-상․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집과 가족을 일체화하는 가정신앙 (김명자, 비교민속학 32, 비교민속학회, 2006)
서미[마을](/topic/마을)의 삼신신앙의 위상과 강한 전승력 (백민영,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mosigi es un ritual para adorar a la diosa del parto, Samsin, que se encarga de la fecundidad y actúe como la nodriza para cuidad a los recién nacidos.

Quienes desean tener un hijo realizan este ritual, especialmente aquellos que tienen solamente hijas. En caso de que le ocurra algo malo a la familia, se recomienda llevar a cabo el samsinmosigi por un chamán o un adivino.

El ritual de Samsin se oficia, en general, por la mujer de la casa incluso la esposa, la madre tras el parto o la abuela del bebé. A veces, la persona que desea tener un hijo recurre a la mujer mayor de la aldea para que ofrezca oraciones, pero, en otras ocasiones, se convoca a un chamán o un adivino para tal fin.

El ritual para pedir por el embarazo se relaciona estrechamente con los fundamentales de la adoración de Samsin, ya que la diosa se encarga del parto, crianza y el desarrollo de bebés. Ataño la carencia de servicios médicos le permitía a Samsin jugar un rol crucial como la deidad de la vida protegiendo la salud de las madres y sus hijos recién nacidos. En el ritual, el oficiante o chamán “sienta” a la diosa o la entidad sagrada de ella. Cuando Samsin está enfadada, ella abandona la casa, esto se dice “Samsin se ha marchado”. Samsin abandona la casa cuando las expresiones de la alabanza a ella no son apropiadas o la entidad sagrada que encarna a ella ha sido tratada sin cuidado correspondiente.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expresa su enojo dañando al niño de la familia, lo que es la razón por la cual la mujer de la casa muestra su devoción frotándose las manos en frente de la mesa del ritual, preparada en el área adyacente a la localización de la entidad sagrada de Samsin o en frente del armario.
为掌管送子,产子,育儿的育子神“[三神](/topic/三神)”举行的祭仪。

没有子嗣的家庭为求子举行供三神祭仪。尤以只有闺女的人家为求生男孩而供三神的情形甚多。另外一些人家遭遇不顺,心生不安,听取巫师或算命先生的算卦后也供三神。

供三神由主妇,产妇,孩子奶奶等家中女人主持。根据情况,有时也会请附近擅长祈祷的老婆婆,算命先生或巫师等主持。

由于三神是掌管子女的出生,养育,成长的神,所以为求子而进行的供三神与“三神信仰”本质最接近。过去人们基本无法享受医保,三神作为保佑产妇和孩子健康的神,可谓是生命之神,作用重大。在请新的三神时,主家会亲自请其“入座”,或在巫师的帮助下请其“入座”。三神若生气,会离开主家。这叫做“三神不显灵”,在没有供奉好三神或随意处理神体时会发生。三神生气的话,会降灾给孩子。所以家庭妇女在三神的神体所在地或者衣柜前摆放三神的神案,在案前[摩祷](/topic/摩祷)。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mosigi is the ritual for worshipping Samsin, the Goddess of Childbearing, who blesses families with children and oversees their birth and health.

Households that eagerly await children hold this ritual, especially families with only daughters and no son. Sometimes when a family is experiencing trouble, a shaman or fortuneteller recommends the ritual.

Samsin ritual is officiated by the women of the family, including the wife, post-partum mother, or grandmother of a child. Sometimes an elderly woman from the village is called in to offer prayers, or sometimes a fortuneteller or a shaman is hired.

This ritual of praying for a child is closely related to the fundamentals of Samsin worship since the goddess is in charge of childbirth, child rearing and development. In the old days when medical service was scarce, Samsi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deity of life, overseeing the health of mother and newborn. In the worship ritual, the officiant or a shaman “seats” the goddess, or her sacred entity. When Samsin is angry, she leaves the house, which is referred to as Samsin “going awry, ” and occurs when Samsin is not worshipped properly or when its sacred entity has been handled without care. Samsin expresses her anger by doing harm to the child of the family, which is why the woman of the house expresses her devotion with a hand-rubbing ritual in front of the ritual table set up facing the sacred entity or the wardrobe.
의의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아이의 건강과 산모의 건강까지 보살펴 주는 신이다. 특히 출산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가장 많이 의지하고 믿는 대상이다. 아이의 출산과 건강한 성장은 가족 형성의 근본이며, 자손의 번창은 집안의 번창일 뿐만 아니라 종족을 보존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이기도 하다. 생명의 탄생과 성장을 관장하는 삼신은 시대를 막론하고 중요한 [가신](/topic/가신)으로 인식되었으며, 삼신모시기는 여전히 사람들의 필요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삼신할머니의 기원과 성격 (최광식, 여성문제연구 11, 효성여자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982)
[가신](/topic/가신)신앙의 성격과 여성상 (김명자, 여성문제연구 13, 효성여자대학교 부설 여성문제연구소, 1984)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임재해, 지식산업사, 1996)
한국민속사 입문 (임재해 외, 지식산업사, 1996)
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김형주, 민속원, 2002)
삼신신앙에 나타난 생명 이해에 관한 연구 (박일영, 한국민속학보 10, 한국민속학회, 2004)
한국민속학 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2004)
한국의 가정신앙-상․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집과 가족을 일체화하는 가정신앙 (김명자, 비교민속학 32, 비교민속학회, 2006)
서미[마을](/topic/마을)의 삼신신앙의 위상과 강한 전승력 (백민영,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문화재청 홈페이지
서울시청 홈페이지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국사당건물무신도 및 무구-민속자료조사보고서 제14호맹인재·장주근1972
국립민속박물관1950~2000년대 사진으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2장주근2003
삼신제물
13485
삼신제물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9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8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7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6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삼신상
13484
삼신상
삼신제물
13485
삼신제물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9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8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7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13486
가곡면 김문하댁 삼신비손(소지올리기)
삼신상
13484
삼신상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