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

한국무속신앙사전
출산 전 기자(祈子)의 대상으로 아이를 점지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 산모 및 태어난 아이의 출산과 건강을 관장하는 신. 삼신의 고유한 기능은 아이를 점지해주는 일이지만 아이의 건강과 수명을 관장하며, 출산 후 산모의 건강도 지켜준다. 그리고 각 가정의 제액초복(除厄招福)도 관장한다.
definition
출산 전 기자(祈子)의 대상으로 아이를 점지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 산모 및 태어난 아이의 출산과 건강을 관장하는 신. 삼신의 고유한 기능은 아이를 점지해주는 일이지만 아이의 건강과 수명을 관장하며, 출산 후 산모의 건강도 지켜준다. 그리고 각 가정의 제액초복(除厄招福)도 관장한다.
mp3Cnt
2
wkorname
백민영
정의출산 전 기자(祈子)의 대상으로 아이를 점지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 산모 및 태어난 아이의 출산과 건강을 관장하는 신. 삼신의 고유한 기능은 아이를 점지해주는 일이지만 아이의 건강과 수명을 관장하며, 출산 후 산모의 건강도 지켜준다. 그리고 각 가정의 제액초복(除厄招福)도 관장한다.
정의출산 전 기자(祈子)의 대상으로 아이를 점지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 산모 및 태어난 아이의 출산과 건강을 관장하는 신. 삼신의 고유한 기능은 아이를 점지해주는 일이지만 아이의 건강과 수명을 관장하며, 출산 후 산모의 건강도 지켜준다. 그리고 각 가정의 제액초복(除厄招福)도 관장한다.
내용삼신은 출산 전 기자의 대상이 되며, 출산을 하고 난 뒤부터 아이가 성장하기까지 아이와 산모의 건강을 관장하는 신이다. 현재는 가족의 건강과 가정의 평안을 보살펴주는 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처럼 삼신은 생명의 탄생과 아이의 수명, 가족의 건강까지 보살펴주는 신으로서 한 가정 내에서 다양한 성격을 지닌다. 삼신은 주로 여신으로 상징되어 가정에 따라 집안의 돌아가신 여자 조상을 삼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일부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서는 ‘삼신할머니’, ‘삼신할아버지’ 두 분으로 관념하기도 한다.

삼신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삼신할머니, 삼신할매, 지앙할미,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바[가지](/topic/가지)](/topic/삼신바가지), 삼신주머니, 삼신동우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삼신할머니․삼신할매처럼 인격성을 부여하여 삼신을 부르기도 하며, 삼신의 신격에 신체의 형태를 붙여서 명명하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 제석과 세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것은 고려 왕실의 제석신앙이 불교적 신앙으로 출발하여 민속신앙으로 수용되고, 이 과정에서 가정신앙과도 접맥했다고 볼 수 있다. 가정신앙에서 제석은 후손을 보살펴주는 [조상신](/topic/조상신)이나 아이를 갖게 하는 삼신으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불교의 제석과 가신의 삼신 간 만남으로 외래 종교와의 융합을 통해 삼신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신에 관한 제의는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주로 아이의 출산과 관련하여 행한다. 이 밖에 설, 추석,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동짓날 등 명절에 제의를 올리거나 신체 안의 햇곡식을 갈아 줄 때 간단히 치성을 드린다. 이러한 특정한 날과 상관없이 아이가 아프거나 집안에 우환이 생겨서 마음이 편치 않을 때 등 삼신의 힘을 빌릴 일이 있으면 주재자가 수시로 삼신을 위한다.

아이가 태어난 날에는 [삼신상](/topic/삼신상)에 미역, 미역국, 밥, [정화수](/topic/정화수)를 올린다. 백일이나 돌과 같이 아이의 기념일에는 [실타래](/topic/실타래), [고추](/topic/고추) 등도 함께 올린다. 수시로 삼신을 위할 때는 주로 정화수만 올린다. 설에는 떡국, 정월대보름에는 [오곡](/topic/오곡)밥, 동짓날에는 팥죽을 올리기도 한다.

삼신의 신체는 지역에 따라 삼신단지, 삼신바가지, 삼신편고리, 지앙동우 등 형태가 다양하다. 경우에 따라 신체 없이 [건궁](/topic/건궁) 삼신, 공중 삼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신체를 상정하는 경우 대개 신체 안에 햇곡식, [한지](/topic/한지), 실타래 등을 [봉안](/topic/봉안)한 뒤 [안방](/topic/안방) 한쪽에 [시렁](/topic/시렁)을 만들어 모시거나 안방 [장롱](/topic/장롱) 위에 모신다.

삼신이 주로 ‘삼신할머니’, ‘삼신할매’라고 불리는 것으로 보아 다른 가정신에 비해 신격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대부분 삼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 “삼신할머님요”라고 고하고 나서 자녀들의 건강과 집안의 평안을 기원한다. 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육아와 건강을 담당하는 신으로 알려져 있다. 출산을 담당하는 여성을 삼신으로 좌정시킨다는 것은 아이의 탄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특히 아이의 탄생을 기다리거나 어린아이를 키우는 집안에서 삼신의 힘에 많이 의존한다.

삼신의 여성적인 성격은 삼신이 좌정하고 있는 자리와도 연관이 있다. 삼신의 자리는 주로 안방으로 관념화되어 나타난다. 전국적으로 삼신은 안방 [윗목](/topic/윗목)이나 [아랫목](/topic/아랫목)에 좌정한다. 이것은 여성의 생활공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성의 출산과 육아는 대부분 안방에서 이루어진다. 삼신은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는 신이기 때문에 여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안방에 좌정해 있는 것이다.

삼신은 여성신이며 깨끗한 신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삼신상에는 다양한 제물보다 간단하면서도 정갈한 음식을 올린다. 어떤 가정에서는 삼신이 비린 음식을 싫어한다고 여겨 육류, 생선 등을 올리지 않는다.

삼신은 돌아가신 여자 조상으로 여기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시어머니가 모시던 시할머니를 내보내고 시어머니를 삼신으로 새로 앉힌다. 그리고 유교제사에서 모셔지는 조상 외에 집안의 조상을 삼신으로 앉히기도 한다. 유교제사의 조상이 되는 대상은 정확하게 서열이 있지만 삼신으로 좌정되는 조상은 서열 없이 조상신의 자리에 앉는다. 유교제사에서 모시는 조상이 구체적인 존재라고 하다면 삼신으로 좌정해 있는 조상은 추상적인 존재일 수도 있다. 죽은 조상 가운데 가족으로서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했거나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한 경우에 모셔진다. 가족의 현몽이나 점쟁이의 점괘에 의해 삼신이 모셔지는 경우에는 집안의 돌아가신 큰형님(큰며느리), 시숙모, 그 집안에서 제사를 받지 못하는 재취부인 등으로 조상의 범위가 제한적이지 않다.

삼신상을 차리는 장소에 대한 금기를 통해서도 삼신이 조상신임을 알 수 있다. 대개 삼신은 가정마다 한 분이 있다고 관념한다. 부계혈족(父系血族)을 중심으로 같은 성씨(姓氏)는 동일한 삼신이 돌본다고 여긴다. 이 때문에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한 [지붕](/topic/지붕) 아래에서 출산해도 상관없지만 며느리와 딸은 함께 아이를 낳아서는 안 된다고 한다. 며느리와 딸은 다른 집안의 씨를 받았기 때문에 다른 삼신이 보호해야 한다고 믿는다. 친정에서 딸이 아이를 낳아도 친정어머니는 삼신상을 따로 차리지 않는다. 친정에서 삼신상을 차릴 경우 ‘삼신다툼’이라고 하여 친정댁 삼신과 시댁의 삼신이 서로 다툰다고 한다. 이것은 그 집안의 자손은 그 집안의 삼신이 돌본다는 의미이다.

삼신의 신체에 봉안되어 있는 [곡물](/topic/곡물)은 삼신의 재물을 관장하는 농경신적 성격을 반영한다. 이는 물론 삼신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해마다 시월상달이 되면 묵은 곡식을 꺼내고 햇곡식으로 갈아준다. 이때 간단하게 치성을 드린다. 신체에 봉안되어 있는 곡물을 집 밖으로 내보내지 않으며, 떡이나 밥을 해서 집안 식구끼리만 나누어 먹어야 한다. 곡물의 씨를 밖으로 내보내거나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준다는 것은 집안의 재복이 나가는 것과 같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Samsin is the goddess of childbearing, a shamanic deity and household god that oversees the birth and growth of children.

It is believed that humans are born with the blessing of Samsin, and their lifespan is determined by Chilseong (Seven Stars). Samsin is also called Grandmother Samsin, Grandfather Samsin, Grandmother Sejun or Grandmother Jiang, Jiang and Sejun referring to Jewang and Sejon, respectively, both deities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related to the god of childbirth Jeseok. The origin of Samsin is narrated in the shamanic myth “Danggeumaegimuga (Song of Maiden Danggeum), ” also called, “Jeseokbonpuri (Song of the Origin of Jeseok)” or “Song of Sijun (Sejon) Ritual, ” in east coast regions including Gangneung and Uljin.

As a household god, Samsin oversees childbirth, the lifespan of a child and also the health of the entire family, taking on varying roles in the home. Samsin is generally perceived as a goddess and some homes worship one of their deceased female ancestors as Samsin. Worship rituals are held on seasonal holidays including Seol (Lunar New Year), harvest holiday Chuseok,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and Dongji (Winter Solstice), or when replacing the grains contained in sacred entities. Rituals are also held on occasions related to childbirth, child illness, or other troubles in the family.

On the day a child is born, a ritual table is prepared for Samsin, comprising sea mustard (miyeok), sea mustard soup, steamed rice and fresh water from the well (jeonghwasu). A Samsin table for a child’s 100th day or first birthday includes skeins of thread (siltarae) and red peppers (gochu). For everyday worship, only a bowl of fresh well water is offered. Additional dishes are offered for seasonal rituals: rice cake soup on Lunar New Year; five-grain rice on Great Full Moon; red bean porridge (patjuk) on Winter Solstice.

Samsin is worshipped in varying forms of sacred entities, including samsindanji (earthenware jar), samsinbagaji (gourd bowl), samsingori (wicker basket), or sometimes not in the form of a specific entity. Sacred entities contain newly harvested grains, mulberry paper or skeins of thread and are sealed before being placed in the inner chamber (anbang) for the woman of the house, on top of the wardrobe or on a separate shelf.
掌管孩子的出生和成长等的神,既是巫俗神,也是家神。

据传,人类是由三神的恩赐而出生的,寿命则由七星神掌管。“三神”又称三神婆婆,三神爷爷,Sejun婆婆,Jiang 婆婆等。此处,Jiang 和Sejun 分别指帝王和世尊。这意味着受到佛教影响的帝释神。与三神起源相关的巫俗神话通常被称为“棠锦千金(音)巫歌”,江陵地区和蔚珍地区等东海岸地区也将其叫做“世尊巫祭巫歌”。

作为家神,三神是保佑生命诞生,孩子寿命和家人健康的神,在家庭中具有多样的性质。三神主要为女神形象,根据不同家庭,也将家中已去世的女性祖先作为三神供奉。与三神相关的祭仪以定期,不定期举行,主要与孩子出生相关而举行。此外,还在春节,中秋,元宵节,冬至等节日举行祭仪,或在给神体更换新粮时进行简单的祈祷。若孩子生病或家中遭罹心里不安等情况出现需借助三神的力量时,则不受上述这些特定日子的影响,主祭者可随时向三神祈祷。

孩子出生的那天在三神供桌上敬献海带,海带汤,米饭,井华水。在百天或周岁等孩子的纪念日,则一同献上线团,辣椒等。随时向三神祈祷时主要摆放井华水。春节,元宵节和冬至时还摆放年糕汤,五谷饭和红豆粥。

三神的神体根据不同地区有三神坛,三神瓢,三神环等多种形态。根据情况,也会无神体而供奉。供奉神体时,通常在神体中供奉新谷物,韩纸,线团等后,在里屋一侧制作搁板供奉或放在里屋衣柜上供奉。
Samsin hace referencia a la diosa del parto o una deidad tutelar del hogar que se encarga del nacimiento y crecimiento de los niños.

Se cree que los seres humanos nacen bajo la bendición de Samsin, y la cantidad de años que podrán vivir ellos se determinan por la divinidad de las siete estrellas llamada Chilseong. Samsin se llama también como Abuela Samsin, Abuelo Samsin, Abuela Sejun o Abuela Jiang. Jiang y Sejun son los términos que se refieren a Jewang y Sejon respectivamente, que son las deidades originadas del budismo y relacionadas con el dios del parto, Jeseok. El origen de Samsin se narra en el mito chamánico “Danggeumaegimuga”. Este mito es conocido como “Canto del ritual Sijun (Sejon)”, que se recita en las regiones de la costa este incluyendo la ciudad de Gangneung y la de Uljin.

Como una diosa del hogar, Samsin supervisa el nacimiento y la cantidad de años que podrá vivir el niño, así como la salud de todos los miembros de la familia, asumiendo varios roles en el hogar. Samsin se percibe generalmente como una diosa, así que algunas familias adoran a uno de sus ancestros femeninos como Samsin. El ritual de adoración a Samsin se realiza en los días feriados incluyendo el año nuevo lunar llamado Seol, día de Acción de Gracias llamado Chuseok,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que es el 1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y el día del solsticio de invierno llamado Dongji. El ritual se practica también al cambiar los granos que están guardados en la entidad sagrada por unos nuevos. Además el ritual tiene lugar en varias ocasiones relacionadas con el parto, enfermedades infantiles u otros problemas que enfrenta la familia.

El día que nace un niño, se prepara una mesa ritual para Samsin con algas marinas, sopa de algas, arroz cocido al vapor y agua fresca del pozo llamada jeonghwasu. En la mesa preparada para Samsin para celebrar los 100 días o un año a partir de la fecha de nacimiento se incluyen una madeja de hilos llamada siltarae y pimientos rojos. Para efectuar el ritual diariamente, se ofrece solamente un cuenco de agua fresca del pozo. Otros alimentos adicionales se ofrecen al llevar a cabo un ritual regular: sopa de pastel de arroz en el día de Seol; cinco cereales cocidos a vapor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gacha de frijoles rojos llamada patjuk en el día de Dongji.

Samsin es adorada en varias formas de entidades sagradas, incluyendo jarra de barro llamada samsindanji; cuenco de calabaza, conocida como samsinbagaji; cesta aventadora que se llama samsingori; a veces no se venera en forma de entidad específica. No obstante, hay casos en los que se venera a la deidad del parto sin ninguna entidad sagrada. Dichas entidades sagradas contienen principalmente granos recién cultivados, papeles de morera o madejas de hilos y son cerradas antes de colocarse encima del armario o en el anaquel de la habitación interior de la casa.
내용삼신은 출산 전 기자의 대상이 되며, 출산을 하고 난 뒤부터 아이가 성장하기까지 아이와 산모의 건강을 관장하는 신이다. 현재는 가족의 건강과 가정의 평안을 보살펴주는 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처럼 삼신은 생명의 탄생과 아이의 수명, 가족의 건강까지 보살펴주는 신으로서 한 가정 내에서 다양한 성격을 지닌다. 삼신은 주로 여신으로 상징되어 가정에 따라 집안의 돌아가신 여자 조상을 삼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일부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서는 ‘삼신할머니’, ‘삼신할아버지’ 두 분으로 관념하기도 한다.

삼신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삼신할머니, 삼신할매, 지앙할미,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바[가지](/topic/가지)](/topic/삼신바가지), 삼신주머니, 삼신동우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삼신할머니․삼신할매처럼 인격성을 부여하여 삼신을 부르기도 하며, 삼신의 신격에 신체의 형태를 붙여서 명명하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 제석과 세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것은 고려 왕실의 제석신앙이 불교적 신앙으로 출발하여 민속신앙으로 수용되고, 이 과정에서 가정신앙과도 접맥했다고 볼 수 있다. 가정신앙에서 제석은 후손을 보살펴주는 [조상신](/topic/조상신)이나 아이를 갖게 하는 삼신으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불교의 제석과 가신의 삼신 간 만남으로 외래 종교와의 융합을 통해 삼신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신에 관한 제의는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주로 아이의 출산과 관련하여 행한다. 이 밖에 설, 추석,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동짓날 등 명절에 제의를 올리거나 신체 안의 햇곡식을 갈아 줄 때 간단히 치성을 드린다. 이러한 특정한 날과 상관없이 아이가 아프거나 집안에 우환이 생겨서 마음이 편치 않을 때 등 삼신의 힘을 빌릴 일이 있으면 주재자가 수시로 삼신을 위한다.

아이가 태어난 날에는 [삼신상](/topic/삼신상)에 미역, 미역국, 밥, [정화수](/topic/정화수)를 올린다. 백일이나 돌과 같이 아이의 기념일에는 [실타래](/topic/실타래), [고추](/topic/고추) 등도 함께 올린다. 수시로 삼신을 위할 때는 주로 정화수만 올린다. 설에는 떡국, 정월대보름에는 [오곡](/topic/오곡)밥, 동짓날에는 팥죽을 올리기도 한다.

삼신의 신체는 지역에 따라 삼신단지, 삼신바가지, 삼신편고리, 지앙동우 등 형태가 다양하다. 경우에 따라 신체 없이 [건궁](/topic/건궁) 삼신, 공중 삼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신체를 상정하는 경우 대개 신체 안에 햇곡식, [한지](/topic/한지), 실타래 등을 [봉안](/topic/봉안)한 뒤 [안방](/topic/안방) 한쪽에 [시렁](/topic/시렁)을 만들어 모시거나 안방 [장롱](/topic/장롱) 위에 모신다.

삼신이 주로 ‘삼신할머니’, ‘삼신할매’라고 불리는 것으로 보아 다른 가정신에 비해 신격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대부분 삼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 “삼신할머님요”라고 고하고 나서 자녀들의 건강과 집안의 평안을 기원한다. 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육아와 건강을 담당하는 신으로 알려져 있다. 출산을 담당하는 여성을 삼신으로 좌정시킨다는 것은 아이의 탄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특히 아이의 탄생을 기다리거나 어린아이를 키우는 집안에서 삼신의 힘에 많이 의존한다.

삼신의 여성적인 성격은 삼신이 좌정하고 있는 자리와도 연관이 있다. 삼신의 자리는 주로 안방으로 관념화되어 나타난다. 전국적으로 삼신은 안방 [윗목](/topic/윗목)이나 [아랫목](/topic/아랫목)에 좌정한다. 이것은 여성의 생활공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성의 출산과 육아는 대부분 안방에서 이루어진다. 삼신은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는 신이기 때문에 여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안방에 좌정해 있는 것이다.

삼신은 여성신이며 깨끗한 신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삼신상에는 다양한 제물보다 간단하면서도 정갈한 음식을 올린다. 어떤 가정에서는 삼신이 비린 음식을 싫어한다고 여겨 육류, 생선 등을 올리지 않는다.

삼신은 돌아가신 여자 조상으로 여기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시어머니가 모시던 시할머니를 내보내고 시어머니를 삼신으로 새로 앉힌다. 그리고 유교제사에서 모셔지는 조상 외에 집안의 조상을 삼신으로 앉히기도 한다. 유교제사의 조상이 되는 대상은 정확하게 서열이 있지만 삼신으로 좌정되는 조상은 서열 없이 조상신의 자리에 앉는다. 유교제사에서 모시는 조상이 구체적인 존재라고 하다면 삼신으로 좌정해 있는 조상은 추상적인 존재일 수도 있다. 죽은 조상 가운데 가족으로서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했거나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한 경우에 모셔진다. 가족의 현몽이나 점쟁이의 점괘에 의해 삼신이 모셔지는 경우에는 집안의 돌아가신 큰형님(큰며느리), 시숙모, 그 집안에서 제사를 받지 못하는 재취부인 등으로 조상의 범위가 제한적이지 않다.

삼신상을 차리는 장소에 대한 금기를 통해서도 삼신이 조상신임을 알 수 있다. 대개 삼신은 가정마다 한 분이 있다고 관념한다. 부계혈족(父系血族)을 중심으로 같은 성씨(姓氏)는 동일한 삼신이 돌본다고 여긴다. 이 때문에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한 [지붕](/topic/지붕) 아래에서 출산해도 상관없지만 며느리와 딸은 함께 아이를 낳아서는 안 된다고 한다. 며느리와 딸은 다른 집안의 씨를 받았기 때문에 다른 삼신이 보호해야 한다고 믿는다. 친정에서 딸이 아이를 낳아도 친정어머니는 삼신상을 따로 차리지 않는다. 친정에서 삼신상을 차릴 경우 ‘삼신다툼’이라고 하여 친정댁 삼신과 시댁의 삼신이 서로 다툰다고 한다. 이것은 그 집안의 자손은 그 집안의 삼신이 돌본다는 의미이다.

삼신의 신체에 봉안되어 있는 [곡물](/topic/곡물)은 삼신의 재물을 관장하는 농경신적 성격을 반영한다. 이는 물론 삼신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해마다 시월상달이 되면 묵은 곡식을 꺼내고 햇곡식으로 갈아준다. 이때 간단하게 치성을 드린다. 신체에 봉안되어 있는 곡물을 집 밖으로 내보내지 않으며, 떡이나 밥을 해서 집안 식구끼리만 나누어 먹어야 한다. 곡물의 씨를 밖으로 내보내거나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준다는 것은 집안의 재복이 나가는 것과 같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역사삼신의 연원을 밝히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고대 부족국가의 종교행사에 관한 언급은 일찍부터 기록에 나오지만 [가신](/topic/가신)(家神)의 역사적 근거를 밝힐 만한 기록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가정신앙과 무속신앙의 연원을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한다. 무속에서 위하는 무속신과 가정에서 위하는 가신이 혼합되어 가정신앙과 무속신앙이 근원적으로 같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무속의 굿거리에 등장하는 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출산을 장려한다는 점에서 가신인 삼신과 상통한다. 이처럼 무신과 가신이 혼합되어 연원이 같은 것으로 보면 무속의 시원(始原)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가신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삼신은 삼신(三神), 산신(産神)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삼신은 한 분이라고도 하고 삼신할아버지와 함께 둘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삼신의 삼을 숫자 삼(三)으로 해석하여 세 분이라고도 한다. 이런 이유로 밥 세 그릇, 국 세 그릇, [정화수](/topic/정화수) 세 그릇을 제물로 올리기도 한다.

이능화(李能和)는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를 통해 가정신앙을 논의하면서 삼신의 삼을 ‘삼(三)’으로 표기하였지만 숫자 삼의 의미로 보지 않고 태(胎)를 보호해준다는 생명의 탄생과 연관 지어 삼신의 성격을 단편적으로나마 드러내주고 있다. 최남선(崔南善) 또한 인간의 생명을 잉태하는 기관을 ‘삼’이라고 부르면서 이것을 삼신이 관장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삼신은 세 명의 신을 모아 놓았다고 보아 삼신(三神)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출생과 관련한 신의 기능을 부각시켜 산신(産神)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환인, 환웅, 단군의 삼신을 지칭한다는 설과 산신(山神)이 삼신으로 음운변화하였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삼신과 산신의 표기는 삼신을 [무리](/topic/무리)하게 한자화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여러 설 가운데 ‘삼’을 순수한 우리말로 보아 ‘태’를 의미한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그리고 삼신의 ‘삼’이 우리말 동사 ‘삼기다’ 또는 ‘삼다’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한다. 상징적으로 보아 탯줄(삼줄)을 꼬아 생명을 만들어 내는 신이라는 의미로 삼신을 해석할 수 있다. 삼신의 ‘삼’은 ‘태’의 우리말로 이해하는 것이 당연하며, 아이의 출산을 돌보아주는 신으로서 생명의 탄생과 연관시켜 삼신을 이해할 수 있다.
역사삼신의 연원을 밝히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고대 부족국가의 종교행사에 관한 언급은 일찍부터 기록에 나오지만 [가신](/topic/가신)(家神)의 역사적 근거를 밝힐 만한 기록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가정신앙과 무속신앙의 연원을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한다. 무속에서 위하는 무속신과 가정에서 위하는 가신이 혼합되어 가정신앙과 무속신앙이 근원적으로 같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무속의 굿거리에 등장하는 삼신은 아이를 점지해 주고 출산을 장려한다는 점에서 가신인 삼신과 상통한다. 이처럼 무신과 가신이 혼합되어 연원이 같은 것으로 보면 무속의 시원(始原)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가신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삼신은 삼신(三神), 산신(産神)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삼신은 한 분이라고도 하고 삼신할아버지와 함께 둘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삼신의 삼을 숫자 삼(三)으로 해석하여 세 분이라고도 한다. 이런 이유로 밥 세 그릇, 국 세 그릇, [정화수](/topic/정화수) 세 그릇을 제물로 올리기도 한다.

이능화(李能和)는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를 통해 가정신앙을 논의하면서 삼신의 삼을 ‘삼(三)’으로 표기하였지만 숫자 삼의 의미로 보지 않고 태(胎)를 보호해준다는 생명의 탄생과 연관 지어 삼신의 성격을 단편적으로나마 드러내주고 있다. 최남선(崔南善) 또한 인간의 생명을 잉태하는 기관을 ‘삼’이라고 부르면서 이것을 삼신이 관장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삼신은 세 명의 신을 모아 놓았다고 보아 삼신(三神)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출생과 관련한 신의 기능을 부각시켜 산신(産神)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환인, 환웅, 단군의 삼신을 지칭한다는 설과 산신(山神)이 삼신으로 음운변화하였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삼신과 산신의 표기는 삼신을 [무리](/topic/무리)하게 한자화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여러 설 가운데 ‘삼’을 순수한 우리말로 보아 ‘태’를 의미한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그리고 삼신의 ‘삼’이 우리말 동사 ‘삼기다’ 또는 ‘삼다’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한다. 상징적으로 보아 탯줄(삼줄)을 꼬아 생명을 만들어 내는 신이라는 의미로 삼신을 해석할 수 있다. 삼신의 ‘삼’은 ‘태’의 우리말로 이해하는 것이 당연하며, 아이의 출산을 돌보아주는 신으로서 생명의 탄생과 연관시켜 삼신을 이해할 수 있다.
지역사례경남지역에서는 삼신을 주로 지앙, 지앙할미로 부른다. 거제도 일대에서는 자식이 귀한 집에서 아이의 점지를 위해 ‘지앙탄다’고 하여 점쟁이에게 좋은 날을 받아 쌀과 미역을 준비하여 [안방](/topic/안방) [아랫목](/topic/아랫목)에 [삼신상](/topic/삼신상)을 차린다. 점쟁이는 삼신상 앞에서 아이를 점지해 달라는 내용의 [축문](/topic/축문)을 읽는다. 그런 다음 임신을 원하는 당사자와 시어머니가 삼신상 앞에 재배를 한다. 아이가 태어나면 삼신에게 아이의 명과 복을 기원하기 위해 지앙상을 차린다. 상에는 쌀과 물을 떠 놓고 시어머니나 시할머니가 [비손](/topic/비손)한다. 상은 짧게는 이레, 길게는 일곱이레까지 차린다. 평소에는 물만 떠 놓으며, 이레마다 미역국과 밥을 해서 상에 올린다. 삼신상에 올린 미역국과 밥은 산모가 먹어야 산모와 아이가 건강해진다고 한다.

경북지역에서는 주로 삼신할머니, 삼신할매로 지칭한다. 안동시 풍산읍 서미[마을](/topic/마을)에서는 마을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상](/topic/제상)에 올려진 촛불을 꺼트리지 않고 집으로 가져와 삼신 앞에 갖다 놓으면 삼신할매가 아들을 점지해 준다는 속설이 전해져 온다. 영천지역에서는 자식이 없는 사람들이 삼신을 탄다. 시어머니나 점쟁이가 [실타래](/topic/실타래), 백설기, [정화수](/topic/정화수)를 준비하여 깨끗한 냇물이나 계곡에 가서 삼신에게 자식을 점지해 달라고 축원한 뒤 집으로 돌아와 안방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을 모신다.

안동시 풍산읍 서미마을의 한 가정에서는 며느리의 돌아가신 큰형님을 삼신으로 모시고 있다. 돌아가신 큰형님이 꿈에 며칠 동안 나타난 이후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았지만 특별한 병명을 알 수 없었다. 그 뒤로도 회복이 되지 않아 점쟁이를 찾아가 물으니 돌아가신 큰형님이 동서 집에 삼신으로 위해 달라는 점괘가 나온다고 하였다. 큰형님은 시아주버니의 전처로 후사에 아들을 낳지 못하고 돌아갔다고 한다. 그래서 아들이 둘인 동서 집에 삼신으로 좌정하여 조상 대접을 받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충북 보은군 수한면 묘서1리 안말에서는 [건궁](/topic/건궁)으로 삼신을 모신다. 삼신을 아이의 출산과 성장을 관여하는 할머니 신으로 여긴다. 아이가 백일이 될 때까지 성장을 관장한다고 하여 아이가 태어난 지 삼일, 첫이레, 두이레, [세이레](/topic/세이레), 백일 때까지 위한다. 밥과 미역국을 제물로 준비하여 안방의 아랫목에 짚을 추려놓고 그 위에 진설한다. 백일이 지나면 제물을 깔아 놓은 짚을 깨끗한 아궁에 넣어 태워 버린다. 태우지 않고 거름으로 사용하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아이가 부정을 탄다고 믿는다.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지역에서는 자손을 점지해 주는 신이 삼신이라고 믿으며, 여자에게는 각자 자신의 삼신이 있다고 여긴다. 시집올 때 [장롱](/topic/장롱)을 해 오는 풍습이 있으며, 장롱에 삼신을 모신다고 하여 ‘장롱삼신’이라고도 부른다. 한 집안에서 동서 간에 출산을 하게 되면 각자가 자신의 방에서 아기를 낳거나 한 사람을 친정으로 보낸다. 각각 자신의 삼신이 관장하기 때문에 삼신이 서로 다투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원주시 부론면지역에서는 집안을 돕고 재복을 불려 주는 신으로 삼신을 생각하여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를 모신다. [보리](/topic/보리)가 나는 여름철에는 보리를 [봉안](/topic/봉안)하고 쌀을 [수확](/topic/수확)하는 가을철에는 쌀을 넣어 일 년에 두 번 곡식을 갈아준다. 신체에 있던 묵은 곡식은 밥을 하거나 떡을 만들어 가족끼리 먹는다. 이웃이나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이 먹으면 집안의 복이 밖으로 나간다고 여긴다.

제주도지역에서는 삼신을 ‘삼승할망’이라고 한다. 삼승할망은 자식을 원하는 이가 포태할 수 있도록 해주고, 출산 뒤에는 아이가 15세가 될 때까지 잘 자라도록 보살펴주는 신이다. 반면에 ‘구삼승할망’이라는 신도 있다. 이 신은 아이에게 범접하여 해(害)를 주고 사망에 이르게 하는 존재라고 믿는다.
참고문헌삼신할머니의 기원과 성격 (최광식, 여성문제연구 11, 효성여자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982)
한국민속대관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민속신앙, 그 믿음과 섬김의 세계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한국민속사입문 (임재해․한양명, 지식산업사, 1996)
남도민속학 개설 (지춘상, 태학사, 1998)
[가신](/topic/가신)신앙과 외래종교의 만남 (김명자, 실천민속학 4, 실천민속학회, 2003)
삼신 신앙에 나타난 생명 이해에 관한 연구 (박일영, 한국민속학보 10, 한국민속학회, 2004)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10)
서미[마을](/topic/마을) 삼신신앙의 위상과 강한 전승력 (백민영,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한국인의 [일생의례](/topic/일생의례)-경남․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지역사례경남지역에서는 삼신을 주로 지앙, 지앙할미로 부른다. 거제도 일대에서는 자식이 귀한 집에서 아이의 점지를 위해 ‘지앙탄다’고 하여 점쟁이에게 좋은 날을 받아 쌀과 미역을 준비하여 [안방](/topic/안방) [아랫목](/topic/아랫목)에 [삼신상](/topic/삼신상)을 차린다. 점쟁이는 삼신상 앞에서 아이를 점지해 달라는 내용의 [축문](/topic/축문)을 읽는다. 그런 다음 임신을 원하는 당사자와 시어머니가 삼신상 앞에 재배를 한다. 아이가 태어나면 삼신에게 아이의 명과 복을 기원하기 위해 지앙상을 차린다. 상에는 쌀과 물을 떠 놓고 시어머니나 시할머니가 [비손](/topic/비손)한다. 상은 짧게는 이레, 길게는 일곱이레까지 차린다. 평소에는 물만 떠 놓으며, 이레마다 미역국과 밥을 해서 상에 올린다. 삼신상에 올린 미역국과 밥은 산모가 먹어야 산모와 아이가 건강해진다고 한다.

경북지역에서는 주로 삼신할머니, 삼신할매로 지칭한다. 안동시 풍산읍 서미[마을](/topic/마을)에서는 마을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상](/topic/제상)에 올려진 촛불을 꺼트리지 않고 집으로 가져와 삼신 앞에 갖다 놓으면 삼신할매가 아들을 점지해 준다는 속설이 전해져 온다. 영천지역에서는 자식이 없는 사람들이 삼신을 탄다. 시어머니나 점쟁이가 [실타래](/topic/실타래), 백설기, [정화수](/topic/정화수)를 준비하여 깨끗한 냇물이나 계곡에 가서 삼신에게 자식을 점지해 달라고 축원한 뒤 집으로 돌아와 안방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을 모신다.

안동시 풍산읍 서미마을의 한 가정에서는 며느리의 돌아가신 큰형님을 삼신으로 모시고 있다. 돌아가신 큰형님이 꿈에 며칠 동안 나타난 이후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았지만 특별한 병명을 알 수 없었다. 그 뒤로도 회복이 되지 않아 점쟁이를 찾아가 물으니 돌아가신 큰형님이 동서 집에 삼신으로 위해 달라는 점괘가 나온다고 하였다. 큰형님은 시아주버니의 전처로 후사에 아들을 낳지 못하고 돌아갔다고 한다. 그래서 아들이 둘인 동서 집에 삼신으로 좌정하여 조상 대접을 받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충북 보은군 수한면 묘서1리 안말에서는 [건궁](/topic/건궁)으로 삼신을 모신다. 삼신을 아이의 출산과 성장을 관여하는 할머니 신으로 여긴다. 아이가 백일이 될 때까지 성장을 관장한다고 하여 아이가 태어난 지 삼일, 첫이레, 두이레, [세이레](/topic/세이레), 백일 때까지 위한다. 밥과 미역국을 제물로 준비하여 안방의 아랫목에 짚을 추려놓고 그 위에 진설한다. 백일이 지나면 제물을 깔아 놓은 짚을 깨끗한 아궁에 넣어 태워 버린다. 태우지 않고 거름으로 사용하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아이가 부정을 탄다고 믿는다.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지역에서는 자손을 점지해 주는 신이 삼신이라고 믿으며, 여자에게는 각자 자신의 삼신이 있다고 여긴다. 시집올 때 [장롱](/topic/장롱)을 해 오는 풍습이 있으며, 장롱에 삼신을 모신다고 하여 ‘장롱삼신’이라고도 부른다. 한 집안에서 동서 간에 출산을 하게 되면 각자가 자신의 방에서 아기를 낳거나 한 사람을 친정으로 보낸다. 각각 자신의 삼신이 관장하기 때문에 삼신이 서로 다투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원주시 부론면지역에서는 집안을 돕고 재복을 불려 주는 신으로 삼신을 생각하여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를 모신다. [보리](/topic/보리)가 나는 여름철에는 보리를 [봉안](/topic/봉안)하고 쌀을 [수확](/topic/수확)하는 가을철에는 쌀을 넣어 일 년에 두 번 곡식을 갈아준다. 신체에 있던 묵은 곡식은 밥을 하거나 떡을 만들어 가족끼리 먹는다. 이웃이나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이 먹으면 집안의 복이 밖으로 나간다고 여긴다.

제주도지역에서는 삼신을 ‘삼승할망’이라고 한다. 삼승할망은 자식을 원하는 이가 포태할 수 있도록 해주고, 출산 뒤에는 아이가 15세가 될 때까지 잘 자라도록 보살펴주는 신이다. 반면에 ‘구삼승할망’이라는 신도 있다. 이 신은 아이에게 범접하여 해(害)를 주고 사망에 이르게 하는 존재라고 믿는다.
참고문헌삼신할머니의 기원과 성격 (최광식, 여성문제연구 11, 효성여자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982)
한국민속대관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민속신앙, 그 믿음과 섬김의 세계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한국민속사입문 (임재해․한양명, 지식산업사, 1996)
남도민속학 개설 (지춘상, 태학사, 1998)
[가신](/topic/가신)신앙과 외래종교의 만남 (김명자, 실천민속학 4, 실천민속학회, 2003)
삼신 신앙에 나타난 생명 이해에 관한 연구 (박일영, 한국민속학보 10, 한국민속학회, 2004)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10)
서미[마을](/topic/마을) 삼신신앙의 위상과 강한 전승력 (백민영,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한국인의 [일생의례](/topic/일생의례)-경남․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Samsin is the goddess of childbearing, a shamanic deity and household god that oversees the birth and growth of children.

It is believed that humans are born with the blessing of Samsin, and their lifespan is determined by Chilseong (Seven Stars). Samsin is also called Grandmother Samsin, Grandfather Samsin, Grandmother Sejun or Grandmother Jiang, Jiang and Sejun referring to Jewang and Sejon, respectively, both deities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related to the god of childbirth Jeseok. The origin of Samsin is narrated in the shamanic myth “Danggeumaegimuga (Song of Maiden Danggeum), ” also called, “Jeseokbonpuri (Song of the Origin of Jeseok)” or “Song of Sijun (Sejon) Ritual, ” in east coast regions including Gangneung and Uljin.

As a household god, Samsin oversees childbirth, the lifespan of a child and also the health of the entire family, taking on varying roles in the home. Samsin is generally perceived as a goddess and some homes worship one of their deceased female ancestors as Samsin. Worship rituals are held on seasonal holidays including Seol (Lunar New Year), harvest holiday Chuseok,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and Dongji (Winter Solstice), or when replacing the grains contained in sacred entities. Rituals are also held on occasions related to childbirth, child illness, or other troubles in the family.

On the day a child is born, a ritual table is prepared for Samsin, comprising sea mustard (miyeok), sea mustard soup, steamed rice and fresh water from the well (jeonghwasu). A Samsin table for a child’s 100th day or first birthday includes skeins of thread (siltarae) and red peppers (gochu). For everyday worship, only a bowl of fresh well water is offered. Additional dishes are offered for seasonal rituals: rice cake soup on Lunar New Year; five-grain rice on Great Full Moon; red bean porridge (patjuk) on Winter Solstice.

Samsin is worshipped in varying forms of sacred entities, including samsindanji (earthenware jar), samsinbagaji (gourd bowl), samsingori (wicker basket), or sometimes not in the form of a specific entity. Sacred entities contain newly harvested grains, mulberry paper or skeins of thread and are sealed before being placed in the inner chamber (anbang) for the woman of the house, on top of the wardrobe or on a separate shelf.
掌管孩子的出生和成长等的神,既是巫俗神,也是家神。

据传,人类是由三神的恩赐而出生的,寿命则由七星神掌管。“三神”又称三神婆婆,三神爷爷,Sejun婆婆,Jiang 婆婆等。此处,Jiang 和Sejun 分别指帝王和世尊。这意味着受到佛教影响的帝释神。与三神起源相关的巫俗神话通常被称为“棠锦千金(音)巫歌”,江陵地区和蔚珍地区等东海岸地区也将其叫做“世尊巫祭巫歌”。

作为家神,三神是保佑生命诞生,孩子寿命和家人健康的神,在家庭中具有多样的性质。三神主要为女神形象,根据不同家庭,也将家中已去世的女性祖先作为三神供奉。与三神相关的祭仪以定期,不定期举行,主要与孩子出生相关而举行。此外,还在春节,中秋,元宵节,冬至等节日举行祭仪,或在给神体更换新粮时进行简单的祈祷。若孩子生病或家中遭罹心里不安等情况出现需借助三神的力量时,则不受上述这些特定日子的影响,主祭者可随时向三神祈祷。

孩子出生的那天在三神供桌上敬献海带,海带汤,米饭,井华水。在百天或周岁等孩子的纪念日,则一同献上线团,辣椒等。随时向三神祈祷时主要摆放井华水。春节,元宵节和冬至时还摆放年糕汤,五谷饭和红豆粥。

三神的神体根据不同地区有三神坛,三神瓢,三神环等多种形态。根据情况,也会无神体而供奉。供奉神体时,通常在神体中供奉新谷物,韩纸,线团等后,在里屋一侧制作搁板供奉或放在里屋衣柜上供奉。
Samsin hace referencia a la diosa del parto o una deidad tutelar del hogar que se encarga del nacimiento y crecimiento de los niños.

Se cree que los seres humanos nacen bajo la bendición de Samsin, y la cantidad de años que podrán vivir ellos se determinan por la divinidad de las siete estrellas llamada Chilseong. Samsin se llama también como Abuela Samsin, Abuelo Samsin, Abuela Sejun o Abuela Jiang. Jiang y Sejun son los términos que se refieren a Jewang y Sejon respectivamente, que son las deidades originadas del budismo y relacionadas con el dios del parto, Jeseok. El origen de Samsin se narra en el mito chamánico “Danggeumaegimuga”. Este mito es conocido como “Canto del ritual Sijun (Sejon)”, que se recita en las regiones de la costa este incluyendo la ciudad de Gangneung y la de Uljin.

Como una diosa del hogar, Samsin supervisa el nacimiento y la cantidad de años que podrá vivir el niño, así como la salud de todos los miembros de la familia, asumiendo varios roles en el hogar. Samsin se percibe generalmente como una diosa, así que algunas familias adoran a uno de sus ancestros femeninos como Samsin. El ritual de adoración a Samsin se realiza en los días feriados incluyendo el año nuevo lunar llamado Seol, día de Acción de Gracias llamado Chuseok,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que es el 1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y el día del solsticio de invierno llamado Dongji. El ritual se practica también al cambiar los granos que están guardados en la entidad sagrada por unos nuevos. Además el ritual tiene lugar en varias ocasiones relacionadas con el parto, enfermedades infantiles u otros problemas que enfrenta la familia.

El día que nace un niño, se prepara una mesa ritual para Samsin con algas marinas, sopa de algas, arroz cocido al vapor y agua fresca del pozo llamada jeonghwasu. En la mesa preparada para Samsin para celebrar los 100 días o un año a partir de la fecha de nacimiento se incluyen una madeja de hilos llamada siltarae y pimientos rojos. Para efectuar el ritual diariamente, se ofrece solamente un cuenco de agua fresca del pozo. Otros alimentos adicionales se ofrecen al llevar a cabo un ritual regular: sopa de pastel de arroz en el día de Seol; cinco cereales cocidos a vapor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gacha de frijoles rojos llamada patjuk en el día de Dongji.

Samsin es adorada en varias formas de entidades sagradas, incluyendo jarra de barro llamada samsindanji; cuenco de calabaza, conocida como samsinbagaji; cesta aventadora que se llama samsingori; a veces no se venera en forma de entidad específica. No obstante, hay casos en los que se venera a la deidad del parto sin ninguna entidad sagrada. Dichas entidades sagradas contienen principalmente granos recién cultivados, papeles de morera o madejas de hilos y son cerradas antes de colocarse encima del armario o en el anaquel de la habitación interior de la casa.
문음사한국인의 굿과 무당황루시1988
한얼미디어씻김굿이경엽2004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2008
한국민속신앙사전삼신께 비는 소리
한국민속신앙사전삼신 명실 태우는 소리
한국민속신앙사전삼신께 비는 소리
한국민속신앙사전삼신 명실 태우는 소리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