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맞이굿

한국무속신앙사전
5월 단오를 맞이하여 집안의 재수를 위해 행하는 무속제의.
definition
5월 단오를 맞이하여 집안의 재수를 위해 행하는 무속제의.
mp3Cnt
0
wkorname
허용호
정의5월 단오를 맞이하여 집안의 재수를 위해 행하는 무속제의.
내용단오맞이굿은 5월 단오 즈음에 벌어진다. 단오맞이굿은 세시절기인 단오를 배경삼아 치르는 굿이다. [재가집](/topic/재가집)의 요청에 의해 재수굿의 하나로 행해지는 경우와 만신과 [단골](/topic/단골)의 지속적 관계를 맺는 열두 달 치성제의의 하나로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두 경우 모두 집안의 평안함에 감사하고 무사태평, 무병장수, 부귀공명을 비는 것이 주가 된다.

단오맞이굿은 철따라 행해지는 신(신령)맞이굿의 한 형태로서 일종의 철맞이굿임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것은 열두 달 베풀어지는 굿을 보면 알 수 있다. 정월의 세배살이와 [횡수막이](/topic/횡수막이), 2월의 개춘(開春)맞이, 3월의 꽃맞이, 4월의 철쭉맞이, 5월의 단오맞이, 6월의 햇밀천신(薦新)과 유두맞이, 7월의 칠석맞이, 8월의 추석 [한가위](/topic/한가위), 9월의 구일맞이, 10월의 햇곡맞이, 동짓달의 동지맞이, 섣달의 설경(雪景)맞이 등이 그것이다.
지역사례단오맞이굿과 관련해서는 인천 지역과 서울 지역이 간략하게 조사되었다. 인천 지역의 경우 계절에 따라 그 명칭이 정해지는 재수굿의 하나로 단오맞이굿을 꼽고 있다. 서울 지역의 경우 만신과 [단골](/topic/단골)이 지속적 관계를 맺는 열두달 치성제의의 하나로 단오맞이굿이 보고되었다. [이상순](/topic/이상순) 만신의 경우 ‘단요맞이’라 부르는 데, 5월 단오라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과 무속적 제의가 맞물려 진행되는 치성이다. 진퍼리 살군당 애기씨당의 [김옥렴](/topic/김옥렴) 당주의 경우 5월에 하는 치성제의의 하나로 단오맞이가 조사되었다.
참고문헌인천지역무속 3 : 재수굿ㆍ진굿 (이선주 편저, 미문출판사, 1989)
서울굿 열두달 치성의례와 경제적 상관성 연구 (김헌선, 비교민속학 27, 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