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꾸보살

한국무속신앙사전
충청남도 황도 일대의 밀양 박씨(密陽 朴氏) 가족사에서 비극적 생애와 죽음을 겪은 것으로 알려진 한 비구니(比丘尼)의 혼신(魂神). 후손들은 이승에서 떠도는 비운(悲運)의 혼신을 집안에 [봉안](/topic/봉안)하고 지극정성으로 위함으로써, 그녀를 조상으로 승격․유지시키는 한편 그녀의 원혼으로 인하여 야기될지 모르는 집안의 불행을 막아서 가내평안(家內平安)을 이루고자 한다.
definition
충청남도 황도 일대의 밀양 박씨(密陽 朴氏) 가족사에서 비극적 생애와 죽음을 겪은 것으로 알려진 한 비구니(比丘尼)의 혼신(魂神). 후손들은 이승에서 떠도는 비운(悲運)의 혼신을 집안에 [봉안](/topic/봉안)하고 지극정성으로 위함으로써, 그녀를 조상으로 승격․유지시키는 한편 그녀의 원혼으로 인하여 야기될지 모르는 집안의 불행을 막아서 가내평안(家內平安)을 이루고자 한다.
mp3Cnt
0
wkorname
이필영
정의충청남도 황도 일대의 밀양 박씨(密陽 朴氏) 가족사에서 비극적 생애와 죽음을 겪은 것으로 알려진 한 비구니(比丘尼)의 혼신(魂神). 후손들은 이승에서 떠도는 비운(悲運)의 혼신을 집안에 [봉안](/topic/봉안)하고 지극정성으로 위함으로써, 그녀를 조상으로 승격․유지시키는 한편 그녀의 원혼으로 인하여 야기될지 모르는 집안의 불행을 막아서 가내평안(家內平安)을 이루고자 한다.
정의충청남도 황도 일대의 밀양 박씨(密陽 朴氏) 가족사에서 비극적 생애와 죽음을 겪은 것으로 알려진 한 비구니(比丘尼)의 혼신(魂神). 후손들은 이승에서 떠도는 비운(悲運)의 혼신을 집안에 [봉안](/topic/봉안)하고 지극정성으로 위함으로써, 그녀를 조상으로 승격․유지시키는 한편 그녀의 원혼으로 인하여 야기될지 모르는 집안의 불행을 막아서 가내평안(家內平安)을 이루고자 한다.
내용충남 태안군 안면읍 황도에 거주하는 일부의 밀양 박씨 집안에서는 특별한 [조상신](/topic/조상신)으로 ‘바꾸보살’을 위한다. 바꾸보살은 보살할머니 또는 쪽박할머니라고도 불린다.바꾸보살의 생몰연대는 정확히 모른다. 그녀는 시집도 [가지](/topic/가지) 않고 비구니가 되었으며 무슨 이유인지 천광사(충남 홍성군 광천읍 소재)에서 종노릇을 하다가 비극적으로 죽었다고 전해 온다. 바꾸보살이란 호칭도 당연히 천광사와 비구니에서 유래한다.

이 지역에 살고 있는 박씨 후손 중에 남자는 누구나 바꾸보살을 모셔야 한다. 안면도의 박씨들도 마찬가지이다. 딸들은 시집갈 때 바꾸보살을 모시고 가기도 한다. 신체(神體)는 대나무나 짚으로 짠 동고리에 여자 [한복](/topic/한복) 한 벌, 쌀 한 되, 돈 약간을 넣은 것이다. 이 동고리는 치성을 드릴 때만 열어보고 평소에는 일절 건드리지 않는다. 함부로 접촉하면 탈이 난다. 바꾸보살을 모신 방은 될 수 있으면 쓰지 않는다. 어쩔 수 없이 그 방을 쓰게 되면 바꾸보살을 [봉안](/topic/봉안)한 방향으로는 머리나 발을 두지 않는다. 심지어 이 방에서는 누워서도 안 된다.

[가을걷이](/topic/가을걷이)를 하면 묵은 쌀을 덜어내고 햅쌀로 갈아 넣는다. 이때 동고리 안의 옷이 더러워져 있으면 꺼내어 태우고 새 옷을 장만하여 넣어준다. 집안의 부녀자는 바꾸보살 신체 아래에 [백지](/topic/백지)(白紙)를 깔고 정성껏 마련한 제물로 상을 차린다. 이 제물은 식구만 먹어야 한다. 동고리의 묵은 쌀로 지은 밥도 마찬가지이다. 이때에는 밥풀 하나 남겨서도 안 된다. 돈을 많이 벌었거나 별식(別食)을 했을 때에도 반드시 먼저 바꾸보살에게 올린다. 음력 정월과 팔월 추석 등 각종 명절에도 그녀에게 제물을 마련하여 정성껏 위한다.
참고문헌島嶼誌-中 (이필영 외, 충청남도․한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1997)
충남지역 가정신앙의 제 유형과 성격 (이필영, 샤머니즘연구 3, 한국샤머니즘학회, 2001)
내용충남 태안군 안면읍 황도에 거주하는 일부의 밀양 박씨 집안에서는 특별한 [조상신](/topic/조상신)으로 ‘바꾸보살’을 위한다. 바꾸보살은 보살할머니 또는 쪽박할머니라고도 불린다.바꾸보살의 생몰연대는 정확히 모른다. 그녀는 시집도 [가지](/topic/가지) 않고 비구니가 되었으며 무슨 이유인지 천광사(충남 홍성군 광천읍 소재)에서 종노릇을 하다가 비극적으로 죽었다고 전해 온다. 바꾸보살이란 호칭도 당연히 천광사와 비구니에서 유래한다.

이 지역에 살고 있는 박씨 후손 중에 남자는 누구나 바꾸보살을 모셔야 한다. 안면도의 박씨들도 마찬가지이다. 딸들은 시집갈 때 바꾸보살을 모시고 가기도 한다. 신체(神體)는 대나무나 짚으로 짠 동고리에 여자 [한복](/topic/한복) 한 벌, 쌀 한 되, 돈 약간을 넣은 것이다. 이 동고리는 치성을 드릴 때만 열어보고 평소에는 일절 건드리지 않는다. 함부로 접촉하면 탈이 난다. 바꾸보살을 모신 방은 될 수 있으면 쓰지 않는다. 어쩔 수 없이 그 방을 쓰게 되면 바꾸보살을 [봉안](/topic/봉안)한 방향으로는 머리나 발을 두지 않는다. 심지어 이 방에서는 누워서도 안 된다.

[가을걷이](/topic/가을걷이)를 하면 묵은 쌀을 덜어내고 햅쌀로 갈아 넣는다. 이때 동고리 안의 옷이 더러워져 있으면 꺼내어 태우고 새 옷을 장만하여 넣어준다. 집안의 부녀자는 바꾸보살 신체 아래에 [백지](/topic/백지)(白紙)를 깔고 정성껏 마련한 제물로 상을 차린다. 이 제물은 식구만 먹어야 한다. 동고리의 묵은 쌀로 지은 밥도 마찬가지이다. 이때에는 밥풀 하나 남겨서도 안 된다. 돈을 많이 벌었거나 별식(別食)을 했을 때에도 반드시 먼저 바꾸보살에게 올린다. 음력 정월과 팔월 추석 등 각종 명절에도 그녀에게 제물을 마련하여 정성껏 위한다.
참고문헌島嶼誌-中 (이필영 외, 충청남도․한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1997)
충남지역 가정신앙의 제 유형과 성격 (이필영, 샤머니즘연구 3, 한국샤머니즘학회, 2001)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