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나무

한국무속신앙사전
엄나무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민속신앙에서 잡귀나 병마를 물리치는 데 쓰이는 도구. 학명은 칼로파낙스 픽투스(Kalopanax pictus)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란다. 음나무, 엄목(嚴木), 자동(刺桐), 총목(楤木), 해동(海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definition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민속신앙에서 잡귀나 병마를 물리치는 데 쓰이는 도구. 학명은 칼로파낙스 픽투스(Kalopanax pictus)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란다. 음나무, 엄목(嚴木), 자동(刺桐), 총목(楤木), 해동(海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이건욱
정의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민속신앙에서 잡귀나 병마를 물리치는 데 쓰이는 도구. 학명은 칼로파낙스 픽투스(Kalopanax pictus)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란다. 음나무, 엄목(嚴木), 자동(刺桐), 총목(楤木), 해동(海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의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민속신앙에서 잡귀나 병마를 물리치는 데 쓰이는 도구. 학명은 칼로파낙스 픽투스(Kalopanax pictus)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란다. 음나무, 엄목(嚴木), 자동(刺桐), 총목(楤木), 해동(海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Eomnamu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l árbol espinoso de aceite de ricino cuyas ramas se utilizan prácticamente para ahuyentar los malos espíritus y enfermedades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El kalopanax septemlobus que se conoce más por el nombre del árbol espinoso de aceite ricino es un árbol caducifolio de la familia de las Araliaceae, que crece alrededor Corea, Japón y China.

Este árbol tiene espinas en todas sus ramas, por lo tanto se cree que posee el poder de mantener alejados los espíritus malignos y enfermedades con sus espinas. Así, la gente con esta creencia cuelga las ramas de eomnamu en las entradas y puertas del hogar el año nuevo lunar llamado [[Seol](/topic/primerdíadelAñoNuevoLunar)](/topic/Seol). Otra costumbre relevante es llevar a los pacientes con malaria al bosque denso con muchos árboles de aceite ricino para rezar por la recuperación de ellos.

Dicho árbol se utiliza también para ahuyentar el fantasma de la luz nocturna llamado yagwanggwi, ya que se cree que el yagwanggwi suele invadir a los hogares alrededor d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15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Entonces, el 16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que se considera como el día de los fantasmas, se queman los pelos recolectados desde todos los rincones del hogar y las ramas del eomnamu se cuelgan en la pared o se colocan en un cedazo.

En algunas regiones, las citadas ramas se cuelgan de manera horizontal en la pared de la sala de espera si una enfermedad infecciosa transmisible se ha producido. El uso de árboles espinosos incluyendo acacia para echar los malos espíritus fuera de la casa se practica también por las minorías étnicas de China y por los altáis, tuvanos y buriatos de Siberia.
내용엄나무 [가지](/topic/가지)에는 굵은 가시가 돋아나 있어 잡귀나 병마가 이 나무를 보면 무서워한다고 믿는다. 정초에 엄나무 가지나 굵은 줄기 또는 묶음을 [대문](/topic/대문)간 문설주 위에 걸어 놓거나 큰방 문설주 위에 가로로 걸어두면 잡귀와 병마가 범접하지 못한다고 한다. 엄나무가 많은 숲으로 말라리아 환자를 데려가 병이 낫게 해 달라고 기도하는 풍습도 있다. 엄나무는 가정을 지키는 역할도 하며, 지역에 따라 [마을](/topic/마을)신앙의 대상물이 되기도 한다. 전북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에는 350년이 넘는 엄나무 당산이 마을을 지켜주고 있다.
내용엄나무 [가지](/topic/가지)에는 굵은 가시가 돋아나 있어 잡귀나 병마가 이 나무를 보면 무서워한다고 믿는다. 정초에 엄나무 가지나 굵은 줄기 또는 묶음을 [대문](/topic/대문)간 문설주 위에 걸어 놓거나 큰방 문설주 위에 가로로 걸어두면 잡귀와 병마가 범접하지 못한다고 한다. 엄나무가 많은 숲으로 말라리아 환자를 데려가 병이 낫게 해 달라고 기도하는 풍습도 있다. 엄나무는 가정을 지키는 역할도 하며, 지역에 따라 [마을](/topic/마을)신앙의 대상물이 되기도 한다. 전북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에는 350년이 넘는 엄나무 당산이 마을을 지켜주고 있다.
지역사례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서는 음력 정월 초순에 방에다 엄나무를 가로로 걸어 놓는다. 고양시지역에서는 엄나무 [가지](/topic/가지)를 묶음으로 만들어 [대문](/topic/대문)에 걸어 둔다. 용인과 충북지역에서는 야광귀를 쫓기 위해 엄나무를 사용한다. 이때 체와 함께 밖에 걸어둔다. 충남 아산지역에서는 정월 초순에 엄나무 몸통을 대문 위에 걸기도 한다. 강원도 고성지역에서는 정월 열엿새 [귀신날](/topic/귀신날)에 귀신이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머리카락을 태우고, 엄나무 가지를 체에 꽂아 매달아 놓는다. 경남지역에서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엄나무 가지를 [거실](/topic/거실)에 가로로 걸어둔다.

가시가 있는 나무를 이용해 잡귀를 쫓는 풍습이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의 소수민족들도 잡귀, 역병, 귀신을 쫓아내고 막기 위해 가시나무를 걸어둔다. 시베리아의 알타이, 투바, 부랴트 민족들도 아까시나무나 여타 가시가 돋친 나무를 집 입구 위에 걸어둠으로써 나쁜 악령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자 한다.
지역사례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서는 음력 정월 초순에 방에다 엄나무를 가로로 걸어 놓는다. 고양시지역에서는 엄나무 [가지](/topic/가지)를 묶음으로 만들어 [대문](/topic/대문)에 걸어 둔다. 용인과 충북지역에서는 야광귀를 쫓기 위해 엄나무를 사용한다. 이때 체와 함께 밖에 걸어둔다. 충남 아산지역에서는 정월 초순에 엄나무 몸통을 대문 위에 걸기도 한다. 강원도 고성지역에서는 정월 열엿새 [귀신날](/topic/귀신날)에 귀신이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머리카락을 태우고, 엄나무 가지를 체에 꽂아 매달아 놓는다. 경남지역에서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엄나무 가지를 [거실](/topic/거실)에 가로로 걸어둔다.

가시가 있는 나무를 이용해 잡귀를 쫓는 풍습이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의 소수민족들도 잡귀, 역병, 귀신을 쫓아내고 막기 위해 가시나무를 걸어둔다. 시베리아의 알타이, 투바, 부랴트 민족들도 아까시나무나 여타 가시가 돋친 나무를 집 입구 위에 걸어둠으로써 나쁜 악령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자 한다.
의의옛날에는 질병이나 흉사 등이 나쁜 귀신의 짓이라고 생각했다. 날카로운 가시에 찔리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사람이나 귀신이나 마찬[가지](/topic/가지)라고 여기고 가시가 많이 달린 엄나무 등을 집 또는 [마을](/topic/마을) 어귀에 걸어 두어서 흉사 등을 예방하거나 쫓고자 했다.
참고문헌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김형주, 민속원, 2002)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알타이 샤머니즘 (국립민속박물관, 2006)
부랴트 샤머니즘 (국립민속박물관, 2007)
문과 상징 (정연학, 시월, 2009)
因树枝刺多,民俗信仰中多用作驱鬼除病的工具。

刺楸属五加科,生长于韩国,日本,中国等地。

刺楸枝上长有粗大棘刺,因此人们相信杂鬼和病魔惧怕刺楸。据传,岁首时将刺楸枝横挂在大门或大厅门梁上,就可以防范杂鬼和病魔靠近。另外还有将疟疾患者带到刺楸林祈求除病的习俗。

驱[逐夜光鬼](/topic/逐夜光鬼)时也会用到刺楸。阴历一月十六日,即在正月十六的鬼日,人们烧头发,挂出插有刺楸枝的筛子,以防鬼进屋。在一些地区,有传染病传播时将刺楸枝横挂在客厅。

用带刺的树枝驱鬼的习俗并不局限在韩国,中国的少数民族也挂出荆棘枝驱鬼逐疫,西伯利亚的阿尔泰人,图瓦人,布里亚特人也将刺槐或其他带刺的树枝悬挂在入口处驱走恶灵。
Eomnamu, or prickly castor-oil tree, particularly its thorny branches, are used in Korean folk religion to chase away evil spirits and illnesses.

Kalopanax septemlobus, common name prickly castor-oil tree, is a deciduous tree in the family Araliaceae, which grows around Korea, Japan and China. Its branches are prickly with thorns, believed to scare away evil spirits and diseases, and are hung over gates or room doors in homes at [[Seol](/topic/LunarNewYear)](/topic/Seol) (Lunar New Year). Another related custom is to take malaria patients to forests dense with castor oil trees to pray for healing.

This tree is also used to chase away yagwanggwi, or night light ghost, which is believed to invade homes around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in the first lunar month. On the sixteenth day, observed as ghost day, hair collected around the house is burned and prickly castor-oil tree branches are attached to a strainer and hung on the wall. In some regions, these branches are hung horizontally on the living room wall when there is a contagious disease going around.

The use of thorny branches including acacia to chase away bad spirits from homes is also practiced by China’s ethnic minorities and by the Altai, Tuvan and Buryat peoples of Siberia.
Eomnamu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l árbol espinoso de aceite de ricino cuyas ramas se utilizan prácticamente para ahuyentar los malos espíritus y enfermedades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El kalopanax septemlobus que se conoce más por el nombre del árbol espinoso de aceite ricino es un árbol caducifolio de la familia de las Araliaceae, que crece alrededor Corea, Japón y China.

Este árbol tiene espinas en todas sus ramas, por lo tanto se cree que posee el poder de mantener alejados los espíritus malignos y enfermedades con sus espinas. Así, la gente con esta creencia cuelga las ramas de eomnamu en las entradas y puertas del hogar el año nuevo lunar llamado [[Seol](/topic/primerdíadelAñoNuevoLunar)](/topic/Seol). Otra costumbre relevante es llevar a los pacientes con malaria al bosque denso con muchos árboles de aceite ricino para rezar por la recuperación de ellos.

Dicho árbol se utiliza también para ahuyentar el fantasma de la luz nocturna llamado yagwanggwi, ya que se cree que el yagwanggwi suele invadir a los hogares alrededor d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15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Entonces, el 16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que se considera como el día de los fantasmas, se queman los pelos recolectados desde todos los rincones del hogar y las ramas del eomnamu se cuelgan en la pared o se colocan en un cedazo.

En algunas regiones, las citadas ramas se cuelgan de manera horizontal en la pared de la sala de espera si una enfermedad infecciosa transmisible se ha producido. El uso de árboles espinosos incluyendo acacia para echar los malos espíritus fuera de la casa se practica también por las minorías étnicas de China y por los altáis, tuvanos y buriatos de Siberia.
의의옛날에는 질병이나 흉사 등이 나쁜 귀신의 짓이라고 생각했다. 날카로운 가시에 찔리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사람이나 귀신이나 마찬[가지](/topic/가지)라고 여기고 가시가 많이 달린 엄나무 등을 집 또는 [마을](/topic/마을) 어귀에 걸어 두어서 흉사 등을 예방하거나 쫓고자 했다.
참고문헌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김형주, 민속원, 2002)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알타이 샤머니즘 (국립민속박물관, 2006)
부랴트 샤머니즘 (국립민속박물관, 2007)
문과 상징 (정연학, 시월, 2009)
因树枝刺多,民俗信仰中多用作驱鬼除病的工具。

刺楸属五加科,生长于韩国,日本,中国等地。

刺楸枝上长有粗大棘刺,因此人们相信杂鬼和病魔惧怕刺楸。据传,岁首时将刺楸枝横挂在大门或大厅门梁上,就可以防范杂鬼和病魔靠近。另外还有将疟疾患者带到刺楸林祈求除病的习俗。

驱[逐夜光鬼](/topic/逐夜光鬼)时也会用到刺楸。阴历一月十六日,即在正月十六的鬼日,人们烧头发,挂出插有刺楸枝的筛子,以防鬼进屋。在一些地区,有传染病传播时将刺楸枝横挂在客厅。

用带刺的树枝驱鬼的习俗并不局限在韩国,中国的少数民族也挂出荆棘枝驱鬼逐疫,西伯利亚的阿尔泰人,图瓦人,布里亚特人也将刺槐或其他带刺的树枝悬挂在入口处驱走恶灵。
Eomnamu, or prickly castor-oil tree, particularly its thorny branches, are used in Korean folk religion to chase away evil spirits and illnesses.

Kalopanax septemlobus, common name prickly castor-oil tree, is a deciduous tree in the family Araliaceae, which grows around Korea, Japan and China. Its branches are prickly with thorns, believed to scare away evil spirits and diseases, and are hung over gates or room doors in homes at [[Seol](/topic/LunarNewYear)](/topic/Seol) (Lunar New Year). Another related custom is to take malaria patients to forests dense with castor oil trees to pray for healing.

This tree is also used to chase away yagwanggwi, or night light ghost, which is believed to invade homes around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in the first lunar month. On the sixteenth day, observed as ghost day, hair collected around the house is burned and prickly castor-oil tree branches are attached to a strainer and hung on the wall. In some regions, these branches are hung horizontally on the living room wall when there is a contagious disease going around.

The use of thorny branches including acacia to chase away bad spirits from homes is also practiced by China’s ethnic minorities and by the Altai, Tuvan and Buryat peoples of Siberia.
문덕사마포 부군당도당굿 연구한국샤머니즘학회1999
임성기씨 가옥 벽사용 엄나무
13671
임성기씨 가옥 벽사용 엄나무
임성기씨 가옥 엄나무
13670
임성기씨 가옥 엄나무
엄나무와 입춘첩
13669
엄나무와 입춘첩
엄나무
13668
엄나무
엄나무
13667
엄나무
엄나무
13666
엄나무
엄나무
13665
엄나무
엄나무
13664
엄나무
엄나무
13663
엄나무
엄나무
13662
엄나무
임성기씨 가옥 벽사용 엄나무
13671
임성기씨 가옥 벽사용 엄나무
임성기씨 가옥 엄나무
13670
임성기씨 가옥 엄나무
엄나무와 입춘첩
13669
엄나무와 입춘첩
엄나무
13668
엄나무
엄나무
13667
엄나무
엄나무
13666
엄나무
엄나무
13665
엄나무
엄나무
13664
엄나무
엄나무
13663
엄나무
엄나무
13662
엄나무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