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충남 무속음악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라북도와 충청남도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전라북도 전 지역이 이 [무악](/topic/무악)권에 드는지 분명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북 고창, 부안, 정읍, 군산, 익산, 전주 등지의 무속음악이 줄포 무당 박소녀의 무가 자료와 같은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이 동일한 무속음악권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라북도 동부 지역, 즉 무주ㆍ진안ㆍ장수ㆍ남원 등지의 무속음악 특성에 관하여서는 밝혀진 자료가 없다. 충청남도 남부 지역이 전북-충남 무속음악권임은 충남 서천 출신이자 부여군 은산면에 사는 은산별신제 보[유자](/topic/유자) [이어인년](/topic/이어인년)의 무속음악 특성에서 드러난 것이다. 충남 서천, 한산, 논산, 부여, 공주 등지가 전북-충남 무속음악권으로 보이지만 부여 지역 이외에는 음악 자료가 남은 것이 없다.
definition
전라북도와 충청남도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전라북도 전 지역이 이 [무악](/topic/무악)권에 드는지 분명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북 고창, 부안, 정읍, 군산, 익산, 전주 등지의 무속음악이 줄포 무당 박소녀의 무가 자료와 같은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이 동일한 무속음악권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라북도 동부 지역, 즉 무주ㆍ진안ㆍ장수ㆍ남원 등지의 무속음악 특성에 관하여서는 밝혀진 자료가 없다. 충청남도 남부 지역이 전북-충남 무속음악권임은 충남 서천 출신이자 부여군 은산면에 사는 은산별신제 보[유자](/topic/유자) [이어인년](/topic/이어인년)의 무속음악 특성에서 드러난 것이다. 충남 서천, 한산, 논산, 부여, 공주 등지가 전북-충남 무속음악권으로 보이지만 부여 지역 이외에는 음악 자료가 남은 것이 없다.
mp3Cnt
0
wkorname
이보형
정의전라북도와 충청남도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전라북도 전 지역이 이 [무악](/topic/무악)권에 드는지 분명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북 고창, 부안, 정읍, 군산, 익산, 전주 등지의 무속음악이 줄포 무당 박소녀의 무가 자료와 같은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이 동일한 무속음악권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라북도 동부 지역, 즉 무주ㆍ진안ㆍ장수ㆍ남원 등지의 무속음악 특성에 관하여서는 밝혀진 자료가 없다. 충청남도 남부 지역이 전북-충남 무속음악권임은 충남 서천 출신이자 부여군 은산면에 사는 은산별신제 보[유자](/topic/유자) [이어인년](/topic/이어인년)의 무속음악 특성에서 드러난 것이다. 충남 서천, 한산, 논산, 부여, 공주 등지가 전북-충남 무속음악권으로 보이지만 부여 지역 이외에는 음악 자료가 남은 것이 없다.
내용전북-충남 무악권의 음악적 특성은 [무악장단](/topic/무악장단)이 안진반, 살풀이, 덩덕궁이, 외장구 장단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무가의 선율이 [육자배기](/topic/육자배기)토리, 악기 편성이 징ㆍ장구ㆍ[피리](/topic/피리)ㆍ젓대([대금](/topic/대금))ㆍ[해금](/topic/해금)으로 각각 되어 있는 점은 한국의 서남부 [시나위](/topic/시나위)권과 공통적인 특성이다.

다른 시나위권의 무가와 같이 전북-충남 남부 지역의 무가는 [육자배기토리](/topic/육자배기토리)로 이루어져 있다. 육자배기토리는 일명 ‘남도제’라 이르고 [판소리](/topic/판소리)에서 ‘[계면조](/topic/계면조)’라 이른다. 육자배기토리 선율은 Mi, Sol, La, do, re로 구성되었으며, Sol 음은 자주 나타나지 않고 다른 토리 음인 re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 토리의 주요 음은 Mi, La, Si의 3음으로 4도+장2도 구조로 되어 있다. 종지음은 La이며, 이것을 판소리 명창들은 ‘청’이라 이른다. [시김새](/topic/시김새)는 대체로 Mi에서 떠는 목(용성)을 쓰고, do에서 Si로 흘러내리는 목(퇴성)을 쓰거나 꺾는 목을 쓴다.

전북-충남 지역의 무가 선율에는 드물게 성주푸리토리가 쓰이기도 한다. 성주푸리토리는 선율틀이 Sol, La, do, re, mi로 구성되었다. 주요 음은 Sol, do, re이고 4도+장2도 구조로 되어 있다. 종지음은 do이며, 이것을 판소리 명창들은 ‘청’이라 이른다. 시금새는 대체로 Sol에서 떠는 목(용성)을 쓰고, re에서 do로 흘러내리는 목(퇴성)을 쓰거나 꺾는 목을 쓴다. 전북-충남 남부 지역의 무속음악에 쓰이는 장단은 안진반, 살풀이, 덩덕궁이, 시님, 외장구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종류가 적은 편이다. 이 지역의 장단에도 덩덕궁이, 살풀이와 같이 3소박으로 된 장단이 많지만 시님과 같이 소박이 혼합ㆍ집합되는 장단이 쓰이는 것은 다른 지역과 같다. 그리고 안진반과 같이 보통 빠른 2소박으로 된 장단이 있는 것은 시나위권과 공통적인 특징으로 보인다.

1.[살풀이장단](/topic/살풀이장단)
전북-충남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장단의 하나이다. 무속음악에서 살풀이라는 이름으로 전승되는 장단은 전북-충남 남부 지역 이외에 전남 무악의 살풀이, 경남 서남부 통영 무악의 살풀이 등이 있다. 하지만 전북-충남 지역에 전승되는 장단이 가장 전형적인 살풀이장단이다. 살풀이장단의 음악적 특성을 보면 [원형](/topic/원형)은 3소박 4박이지만 실제 나타나는 리듬은 소박이 3ㆍ3ㆍ3ㆍ3으로 집합되는 3소박 4박으로 되는 경우도 있고 3ㆍ3ㆍ2ㆍ2ㆍ2나 2ㆍ2ㆍ2ㆍ3ㆍ3 또는 2ㆍ2ㆍ2ㆍ2ㆍ2ㆍ2 등으로 집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 연주자들은 여러 [가지](/topic/가지)로 다르게 장구장단을 치며, 이를 [고수](/topic/고수)들은 “살풀이장단은 기본이 되는 장단 뽄[本]이 없다”고 한다. 김제 무속음악의 장고수 신관룡이 구음(口音)으로 댄 것은 “정 거러 정/정 거러 정/정 거러 정/정 거러 정”이다.

2.덩덕궁이장단
전북-충남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장단. 조금 빠른 3소박 4박이며, 판소리의 [자진모리장단](/topic/자진모리장단)에 해당한다. 일명 굿거리라 이르기도 하지만 이것은 별칭이며, 경기도 굿거리보다 빠르다. ‘덩덕궁이장단’이라는 명칭은 다른 여러 지역에도 쓰인다. 전남 무악의 ‘떵떵이’, 경남 동부의 ‘무정정자궁 쇠정작궁’, 함경도의 ‘정정기’ 등 비슷한 이름으로 여러 곳에서 전승되고 있다. 이것은 모두 덩덕궁이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공통점은 어느 것이나 조금 빠른 3소박 4박이라는 데 있다. 장구는 ‘덩 - 딱/궁 딱 -//궁 - 딱/궁 따 -/ ’ 하고 친다.

3.안진반장단
전북-충남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장단. 조금 빠른 2소박 4박이지만 때로는 주기가 불규칙하다. ‘안진반’은 ‘앉아서 연주하는 거리’라는 뜻이다. 실제로 무당이 앉아서 장구를 손수 치면서 무가를 부른다. 주로 거리의 첫머리인 청신 절차에서 불리기 때문에 청배 기능을 한다. 장구는 때로 불규칙하지만 기본 장단은 ‘덩 -/딱 다//구 닥/궁 -/ ’ 하고 2소박 4박(4/4박자)으로 친다.

4.시님장단 전북-충남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장단. 조금 빠른 2소박과 3소박이 섞인 4박이다. ‘시님장단’이라는 말은 제석거리 [중타령](/topic/중타령)에서 이 장단이 불린다 하여 ‘스님 장단’이라 이르던 것이 ‘시님장단’으로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흔히 각 거리의 끝에 불리므로 일종의 오신(娛神)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장구는 ‘덩 - 궁/딱 -//궁 - 딱/궁 -/ ’ 하고 친다. 판소리의 [엇모리장단](/topic/엇모리장단)과 같다.

5.외장구장단
전북-충남 남부 지역에 전승되는 무속음악 장단. 조금 빠른 2소박이 주(主)가 되고 가끔 3소박이 섞이면서 주기가 불규칙한 장단이다. ‘외장구장단’은 장구 한 면의 복판만 ‘당당당당…’치는 장단이라고 해서 사용된다. , 같은 중요한 거리의 맨 처음 서사무가에서 이 장단으로 된 무가를 부른다.
민속원동해안의 굿음악, 그 전승과 단절의 역사장휘주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