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위

한국무속신앙사전
한국 [무악](/topic/무악)이 [기악](/topic/기악)합주 형태로 전승된 것.
definition
한국 [무악](/topic/무악)이 [기악](/topic/기악)합주 형태로 전승된 것.
mp3Cnt
0
wkorname
권오성
정의한국 [무악](/topic/무악)이 [기악](/topic/기악)합주 형태로 전승된 것.
내용시나위는 도살풀이, 살풀이 등에서 왔다. ‘시나위’란 말은 ‘신악(神樂)’에서 비롯되었다. 신아위, 신노이, 신놀이, 신방곡, [심방곡](/topic/심방곡)(心方曲)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경기도 수원 지방을 시작으로 하는 경기 남부 지역의 무의식(巫儀式)에서는 악기와 더불어 그 음악의 양식(樣式)이 충남 일부와 전라도 전 지역의 [무악](/topic/무악)에서 보이는 남도민요 어법(語法)으로 연주된다.

무악의 선율과 [장단](/topic/장단)이 남도민요의 대표적인 노래인 육자백이와 같은 식으로 연주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남부 지역, 충청도 서부, 전라도, 경상도 서남부이다. 통영 지역의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 가운데 무가의 반주에 쓰이는 음악을 ‘시나오’라고도 부른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시나위는 [기악](/topic/기악)합주 형태로 [거문고](/topic/거문고), [가야금](/topic/가야금), 젓대, [피리](/topic/피리), [해금](/topic/해금), 장구, 징, [제금](/topic/제금) 등으로 연주되고 있다. 이는 1960년까지 전승되던 즉흥성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현재는 연주자들이 먼저 어떤 식으로 연주할 것인가를 의논한 뒤에 연주하기 때문에 무악과는 또 다른 독립된 기악합주곡의 일종으로 변질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시나위의 음악적 정의를 내리면 무악에 뿌리를 둔 음악으로서 각 악기가 이음성(異音性)을 보이며 조화를 이루는 기악합주곡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한민족음악론 (권오성, 학문사, 1999)
巫黨來歷
아세아문화사증보한국복식사연구김동욱1979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한국종교복식에 관한 연구임영자1989
교문사한말의 궁중무속최길성1989
경춘사한국의 복식백영자1993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한국의 무속복식 연구유효순1994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한국무복의 변화에 관한 연구김은정2002
大阪屋號書店朝鮮巫俗の硏究赤松智城·秋葉隆東京 昭和13年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