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고사

한국무속신앙사전
[담배](/topic/담배)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담배를 찔 때와 출하하는 날에 지내는 [고사](/topic/고사).
definition
[담배](/topic/담배)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담배를 찔 때와 출하하는 날에 지내는 [고사](/topic/고사).
mp3Cnt
0
wkorname
임승범
정의[담배](/topic/담배)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담배를 찔 때와 출하하는 날에 지내는 [고사](/topic/고사).
정의[담배](/topic/담배)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담배를 찔 때와 출하하는 날에 지내는 [고사](/topic/고사).
내용[담배](/topic/담배)는 17세기 무렵에 중국 또는 일본에서 전래되었다고 하지만 그 시기가 명확하지는 않다. 담배고사는 [생업](/topic/생업)과 관련된 일종의 [수확](/topic/수확)제이다.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산간 지역의 담배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담배 고사를 지냈다.

담배는 여름에 수확하고 쪄 두었다가 9월 이전에 출하한다. 담배 농가에서는 담배를 찔 때와 출하할 때 고사를 지낸다. 제물은 집안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팥 [시루떡](/topic/시루떡), 술, 청수 등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장만한다. 담배를 수확하는 7월이 되면 주부는 고사를 지낼 날을 잡는다. 그리고 [목욕](/topic/목욕)[재계](/topic/재계)를 하고 제물을 장만한다. 고사를 지내기 위해 집안의 가장도 목욕재계를 하고 제를 준비한다.

담배를 찔 때 담배 색이 잘 나오기를 빌며 고사를 지낸다. 이 때 제물을 가마 앞에 진설하고 그 앞에서 가장이 두 번 절한다. 그러고 나서 사방에 술을 조금씩 뿌린 다음 가마에 불을 땐다. 담배를 출하하는 날 새벽에도 고사를 지낸다. 제물을 담 벽 앞에 차린 뒤 출하한 담배가 좋은 값을 받도록 기원한다. 이때도 제물 앞에 절을 두 번 하고 나서 주위에 술을 뿌린 뒤에 담배를 출하한다.

충북 보은군 내북면 서지리에서는 과거에 담배 농사를 많이 지었다. 과거에는 7월에 담배를 찔 때와 9월에 출하할 때 각각 고사를 지내는 가정이 많았다. 지금은 담배 농사를 짓는 가정이 거의 없어서 고사도 지내지 않는다. 경북 청송군 파천면 신기1리에서도 담배를 찔 때 가마 터에 술 한 잔을 붓고 나서 담배가 잘 쪄[지게](/topic/지게) 해 달라고 고사를 지냈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내용[담배](/topic/담배)는 17세기 무렵에 중국 또는 일본에서 전래되었다고 하지만 그 시기가 명확하지는 않다. 담배고사는 [생업](/topic/생업)과 관련된 일종의 [수확](/topic/수확)제이다.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산간 지역의 담배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담배 고사를 지냈다.

담배는 여름에 수확하고 쪄 두었다가 9월 이전에 출하한다. 담배 농가에서는 담배를 찔 때와 출하할 때 고사를 지낸다. 제물은 집안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팥 [시루떡](/topic/시루떡), 술, 청수 등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장만한다. 담배를 수확하는 7월이 되면 주부는 고사를 지낼 날을 잡는다. 그리고 [목욕](/topic/목욕)[재계](/topic/재계)를 하고 제물을 장만한다. 고사를 지내기 위해 집안의 가장도 목욕재계를 하고 제를 준비한다.

담배를 찔 때 담배 색이 잘 나오기를 빌며 고사를 지낸다. 이 때 제물을 가마 앞에 진설하고 그 앞에서 가장이 두 번 절한다. 그러고 나서 사방에 술을 조금씩 뿌린 다음 가마에 불을 땐다. 담배를 출하하는 날 새벽에도 고사를 지낸다. 제물을 담 벽 앞에 차린 뒤 출하한 담배가 좋은 값을 받도록 기원한다. 이때도 제물 앞에 절을 두 번 하고 나서 주위에 술을 뿌린 뒤에 담배를 출하한다.

충북 보은군 내북면 서지리에서는 과거에 담배 농사를 많이 지었다. 과거에는 7월에 담배를 찔 때와 9월에 출하할 때 각각 고사를 지내는 가정이 많았다. 지금은 담배 농사를 짓는 가정이 거의 없어서 고사도 지내지 않는다. 경북 청송군 파천면 신기1리에서도 담배를 찔 때 가마 터에 술 한 잔을 붓고 나서 담배가 잘 쪄[지게](/topic/지게) 해 달라고 고사를 지냈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