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호지

한국무속신앙사전
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빛깔이 조금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있는 [한지](/topic/한지). 소지 명부를 작성하거나 [금줄](/topic/금줄), 서발심지, [신장대](/topic/신장대), [고깔](/topic/고깔), 깃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definition
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빛깔이 조금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있는 [한지](/topic/한지). 소지 명부를 작성하거나 [금줄](/topic/금줄), 서발심지, [신장대](/topic/신장대), [고깔](/topic/고깔), 깃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mp3Cnt
0
wkorname
이인화
정의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빛깔이 조금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있는 [한지](/topic/한지). 소지 명부를 작성하거나 [금줄](/topic/금줄), 서발심지, [신장대](/topic/신장대), [고깔](/topic/고깔), 깃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정의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빛깔이 조금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있는 [한지](/topic/한지). 소지 명부를 작성하거나 [금줄](/topic/금줄), 서발심지, [신장대](/topic/신장대), [고깔](/topic/고깔), 깃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내용문종이, 문창, 문창지, 문창호지로도 불리는 창호지는 [길지](/topic/길지)보다 두껍다. 미륵의 목에 감아 주고, 산신당에 서너발 길이로 [천신](/topic/천신)기를 만들며, 입춘날 입춘대길(立春大吉)이란 글을 써 붙이는 데 사용했다. [서낭당](/topic/서낭당) 수목에 포편(베 조각), 지편(창호지 조각), 오색백편(오색비단 조각), 의편([저고리](/topic/저고리) 동정), 모발, 전화(돈과 재물), 짚세기 등을 걸어둔다. 이 가운데 창호지는 행운과 초복을 기원하는 것이다. 창호지에는 대개 기원 당사자의 생년월시, 성명, 주소, 소망을 기재한다. 또한 잡귀가 들지 못하도록 왼손새끼에 창호지를 잘라 끼워 [금줄](/topic/금줄)을 만든다. 송석하의 [화간](/topic/화간)(禾竿)조에 보면 볏가릿대 위에 “[백지](/topic/백지)(白紙)를 길게 좁게 비여서 그것을 한쪽만 잔칼질을 하여서 찬찬히 감둔다”고 하였다.
참고문헌충청남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남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1)
조선땅 [마을](/topic/마을)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부여지역의 민속신앙 (이필영, 역사민속학 6, 1997)
금산의 탑신앙 (강성복, 금산문화원, 1999)
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0)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이필영, 웅진닷컴, 2000)
안섬풍어제 (이인화, 도서출판신화, 2003)
정선지역 동제의 특징 (권혁준, 강원민속학회 19, 2005)
태백시의 동제와 성신앙 (김기설, 강원민속학 19, 2005)
춘천의 동제연구 (김의숙, 강원민속학회 19, 2005)
내포지역 마을제당의 민속지리 (이인화, 민속원, 2006)
내용문종이, 문창, 문창지, 문창호지로도 불리는 창호지는 [길지](/topic/길지)보다 두껍다. 미륵의 목에 감아 주고, 산신당에 서너발 길이로 [천신](/topic/천신)기를 만들며, 입춘날 입춘대길(立春大吉)이란 글을 써 붙이는 데 사용했다. [서낭당](/topic/서낭당) 수목에 포편(베 조각), 지편(창호지 조각), 오색백편(오색비단 조각), 의편([저고리](/topic/저고리) 동정), 모발, 전화(돈과 재물), 짚세기 등을 걸어둔다. 이 가운데 창호지는 행운과 초복을 기원하는 것이다. 창호지에는 대개 기원 당사자의 생년월시, 성명, 주소, 소망을 기재한다. 또한 잡귀가 들지 못하도록 왼손새끼에 창호지를 잘라 끼워 [금줄](/topic/금줄)을 만든다. 송석하의 [화간](/topic/화간)(禾竿)조에 보면 볏가릿대 위에 “[백지](/topic/백지)(白紙)를 길게 좁게 비여서 그것을 한쪽만 잔칼질을 하여서 찬찬히 감둔다”고 하였다.
참고문헌충청남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남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1)
조선땅 [마을](/topic/마을)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부여지역의 민속신앙 (이필영, 역사민속학 6, 1997)
금산의 탑신앙 (강성복, 금산문화원, 1999)
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0)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이필영, 웅진닷컴, 2000)
안섬풍어제 (이인화, 도서출판신화, 2003)
정선지역 동제의 특징 (권혁준, 강원민속학회 19, 2005)
태백시의 동제와 성신앙 (김기설, 강원민속학 19, 2005)
춘천의 동제연구 (김의숙, 강원민속학회 19, 2005)
내포지역 마을제당의 민속지리 (이인화, 민속원, 2006)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제주전통문화연구소제주도 큰굿자료문무병 외2001
민속원한국의 굿문무병 외2002
민속원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문무병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