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1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돈전개
    531 2023.02.27
    황해도 만구대탁굿 같은 큰 굿을 할 때 신령님 전에 부귀영화를 염원하기 위해 굿청에 띄우는 장식물.
  • 살잽이꽃
    480 2023.02.27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사용되는 지화. 다부살이꽃,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꽃, 불동화, 오색동화라고도 한다.
  • 영돈
    427 2023.02.27
    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 지앙밥
    345 2023.02.27
    지앙을 모시기 위해 차려놓는 상.
  • 거리제
    720 2023.02.27
    음력 정월 초사흘에서 열나흗날 사이에 집안 식구들의 제액과 무사안일(無事安逸)을 위하여 주부가 단독 혹은 무당을 대동하여 집 근처 큰길이나 삼거리에서 거리신을 위해 지내는 제사.
  • 돈전풀이
    555 2023.02.27
    함경도 함흥에 전승되는 돈전[錢]의 내력에 관한 본풀이.
  • 살전지
    467 2023.02.27
    [백지](/topic/백지)를 신체 형상으로 오리고 여기에 첵지를 덧붙여 댓잎이 있는 댓[가지](/topic/가지)에 달아맨 종이 장식. 흔히 ‘[전지](/topic/전지)’라고 한다. ‘살전지’는 백지를 가늘고 길게 여러 다발로 오려낸 데서 비롯된 명칭으로 보인다.
  • 관운장을 비롯하여 12[장군](/topic/장군)의 [영정](/topic/영정)을 모시고 있는 신당.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당곡리에 위치하며, 1972년 12월 26일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되었다.
  • 지장본풀이
    345 2023.02.27
    제주도 일반신본풀이 가운데 제주큰굿의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와 양궁숙임 제차, 작은굿의 하나인 거무영청대전상에서 구송되는 서사무가. 사령(死靈)위무굿인 시왕맞이에서 는 와 가 구송된 후에 불린다. 거무영청대전상은 백정(白丁)의 도살업(屠殺業)의 풍요를 기원하는 굿으로, 여기서 지장은 백정들의 수호조상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른 본풀이처럼 심방이 혼자 구송하는 것이 아니라 심방이 선창하면 악무(樂巫)가 북과 장구를 치며 구마다 복창하는 방식으로 구송한다. 주요 서사는 지장아기씨의 출생, 성장 과정에서의 시련, 결혼 생활의 실패, 공업담과 [환생담](/topic/환생담)으로 요약할 수 있다.
  • 거무장단
    745 2023.02.27
    동해안 굿에서 쓰이는 [거무춤](/topic/거무춤)의 반주 장단. 오늘날 거무장단은 대개 거무춤의 반주로 쓰이지만 예전에는 굿하는 기간 매일 아침 굿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양중들의 기량을 보여주기 위해 [드렁갱이](/topic/드렁갱이)와 함께 연주되기도 했다.
  • 돈지할망
    521 2023.02.27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해녀들의 일터인 ‘바당밭[海田]’을 관장하는 여신. 바당밭은 물론 그 속에서 나는 어류와 종사하는 해녀들까지 관장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제주도 서귀포시 보목동, 신하효동, 서귀동, 성산읍 신산리, 대정읍 가파리 상동과 하동, 남원읍 위미1리와 2리ㆍ하례리 등지에서 돈지할망이 모셔지고 있다.
  • 살풀이
    445 2023.02.27
    충청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지역의 무속에서 사용되는 [장단](/topic/장단). 3소박 4박(12/8박자)이지만 2소박 단위의 리듬이 자주 사용되는 특성이 있다.
  • 영등
    423 2023.02.27
    가정과 [마을](/topic/마을)에서 모시는 바람신[風神]. 영등은 지역에 따라 명칭이 매우 다양하다. 이것은 크게 세 유형으로 구별된다. 먼저 ‘영등’ 또는 ‘영동’이라는 말에 ‘할머니’에 해당하는 지역적 방언이 결합하는 형태이다. 영등, 영등할머니, 영등할만네, 영등할망이, 영등할미, 영등할매, 영등할망, [영등제](/topic/영등제)석, 영동, 영동할머니, 영동할만네, 영동할망네, 영동할매, 영동할멈, 영동제석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영둥할매, 영둥할마니, 영두할매, 영두할만네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다음은 영등신의 속성에 중점을 둔 호칭으로, ‘풍신’ 또는 ‘바람’에 ‘할머니’가 더해진 형태이다. 이때도 ‘할머니’는 지역적 방언을 취한다. 풍신, 풍신할머니, 풍신할매, 바람님, 바람할머니, 바람할매, 바람제석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영등신이 지상으로 강림하는 시기를 강조하여 ‘이월’을 앞세우는 형식이다. 이월할머니, 이월할맘네, 이월할매, 이월손님 등이 그 예이다. 이월영등할머니, 이월풍신님네 등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은 ‘영등할머니’이다. 경남지역에서는 제석할머니와 제석할매, 제주도지역에서는 영등하르방 등으로 나타난다. 이 밖에도 ‘할마님네’, ‘구름제석 할마씨네’, ‘손’이라 부르기도 한다.
  • 지전
    364 2023.02.27
    종이를 돈 모양으로 재단한 것으로, 현물화폐가 아닌 저승에서 망자가 사용할 저승화폐를 상징화한 무구. 지전(紙錢)은 [한지](/topic/한지)나 [창호지](/topic/창호지)를 가늘게 접어 엽전의 원형이 길게 이어지도록 오린 것을 여러 가닥 모아 만든 조형물이다. 불교에서는 음전(陰錢)·우전(寓錢)이라고도 한다. 지전은 황해도·서울경기·동해안에서는 금전·은전으로, 호남 지역에서는 넋전·돈전, 제주도에서는 그 형태에 따라 지전·발지전·통지전이라고 부른다.
  • 거무춤
    752 2023.02.27
    강릉단오굿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등에서 부정굿 [꽃노래](/topic/꽃노래), [뱃노래](/topic/뱃노래), 등노래, [거리굿](/topic/거리굿)을 제외한 모든 거리에서 추는 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