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머리춤

한국무속신앙사전
큰머리춤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대모](/topic/대모)가 시왕탄일거리를 끝내고 [내림춤](/topic/내림춤)을 출 때 첫 번째로 [큰머리](/topic/큰머리)를 벗어 들고 추는 춤.
definition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대모](/topic/대모)가 시왕탄일거리를 끝내고 [내림춤](/topic/내림춤)을 출 때 첫 번째로 [큰머리](/topic/큰머리)를 벗어 들고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이병옥
정의[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대모](/topic/대모)가 시왕탄일거리를 끝내고 [내림춤](/topic/내림춤)을 출 때 첫 번째로 [큰머리](/topic/큰머리)를 벗어 들고 추는 춤.
내용신에게 올린 큰굿을 마친다는 의미로 머리에 쓴 [큰머리](/topic/큰머리)와 [비녀](/topic/비녀)를 벗어 들고 추는 춤이다. 먼저 큰머리를 양손으로 받쳐 들고 추다가 오른손에 큰머리, 왼손에 비녀를 각각 들고 좌우로 흔들면서 춘다. 이어서 [쾌자](/topic/쾌자)춤과 [치마](/topic/치마)춤을 추고 나서 평상복 차림으로 굿을 마[무리](/topic/무리)한다. 남쪽 지방의 굿은 북쪽 지방의 굿보다 [무복](/topic/무복)이 단순하고 흰 단색이지만 한 [가지](/topic/가지) 색으로 입는 것이 보편적이다.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의 [대모](/topic/대모) 무복이 화려하고 북쪽 지방처럼 위엄 있는 큰머리를 쓰는 것은 전승지인 통영 지방이 예전에는 삼도수군절도사가 주둔하던 지역이기 때문이다. 궁중처럼 관가의 위상이 높았으며, 그 영향으로 [마을](/topic/마을)굿이나 승전을 위한 굿에서 궁중의 왕을 대신하여 정성을 들이고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한양굿의 큰머리 차림과 같이 하면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큰머리춤
64569
큰머리춤
0 Comments